포털에서 이런 기사를 봤어요.

http://news.nate.com/view/20110221n26495


앞으로 운전면허 시험에서 S자 T자 코스를 제외시키고 운전면허 따는 것도 간소화하면서 준법 여부를 기준으로 바뀐다는게 골자에요.

댓글들을 보니 반대가 대부분인 것 같아요. 댓글단 사람들은 거의 모두 운전면허에서 그걸 없애면 도로가 개판이 될거라고 생각하는 걸로 보여요.

그리고 그렇게 되면 개나소나 면허를 다 딸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저는 한국에서 9년간 무사고 운전을 하다가 미국을 오게 되었어요.

그냥 무사고 운전만 한게 아니라 다니던 학교에서 운전을 할 일이 있으면 대부분 저에게 맡기는 공인된 운전담당이었지요.

그리고 여길 와서 당장 운전면허증이 필요하니 별 부담없이 면허시험을 봤지요.

그런데 면허 시험을 세번이나 떨어졌어요. 보통 한국에서 운전을 하던 한국 남자들이 불합격 확률이 매우 높대요.


미국 운전면허에서 "기능" 부분은 평행 주차 밖에 없어요.

하지만 그것도 한국 처럼 어깨선을 어디에 맞추고 핸들을 한바퀴 반 돌린 뒤에....뭐 그런식이 아니에요.

그냥 차량 흐름이 있는 지역에서 위험하지 않게 평행주차를 할 수 있는가....정도만 확인하는거에요.


미국의 주행시험은 약 3-4키로? 정도 되는 지역을 옆에 감독관을 태우고 운전하는 거에요.

감점 요인은, 안전벨트, 앞차와의 거리, 정지선 준수 여부, 비보호 좌회전 가능 여부, 스탑 사인 준수 여부, 과속 여부, 차선 변경시 후방 확인 등등 철저히 얼마나 교통 법규를 잘 지키는지 그리고 얼마나 안전하게 운전하는지에 대해 평가를 해요.



한국 남자 사람들이 미국 면허에서 주로 떨어지는 이유과 과속, 차선 변경시 후방 확인 등한시, 앞차와 거리 유지, 스탑 사인 준수 안함, 등등 인걸보면 (저도 마찬가지고), 그리고 수차례 면허 시험에 떨어지면서 한국 사람들과 미국 사람들 사이에 운전을 대하는 태도가 크게 다르다는걸 느꼈어요.


한국은 운전을 "기술"로 생각해요. 그래서 항상 대부분의 사람이 운전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는 "기술"에 대해 이야기를 하지요. 아마 자동차라는게 적고 운전을 하는 사람이 적었던 시대의 유물인 것 같아요. 운전은 특별한 것이고 따라서 그에 수반되는 기술들이 운전을 설명해주지요. 


하지만 미국에서 자동차는 많은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요소이고, 거기서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는건 좀 이상하지요. 기껏 십대들이 떠벌이고 다닐 주제라면 모를까. 다만 운전자들이 약속을 정확하게 지키고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면허를 주고 안주는 가장 중요하고 명확한 기준인 것이지요.


사실 한국에서 운전하다 보면 길에서 개판치고 다니는 애들은 자기 운전 기술을 과신하는 애들이지요. 앞차에 바짝 붙어서 위협을 하며 속도를 내는 사람들이나 차들이 많은 도로에서도 사이사이를 헤짚고 다니면서 가는 사람들 골목길에서 규정속도의 서너배로 질주하는 아이들 모두 자기 운전 기술을 과신하는 사람들이지요. 


한국 도로교토공단에 있는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 수에요. 

http://www.rota.or.kr/Work/Code/RotaSafety/RotaSafety17_5_list.jsp


한국은 통계가 등장하는 80년대부터 압도적 1위. 최근에도 한국의 사망자수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나라들은 헝가리, 터키 뿐이에요. 

이런 나라에서 S자와 T자 코스를 없애면 도로가 개판이 되고 개나 소나 면허증을 갖게 되니 어렵게 딴 자기만 불리하다는 이야기가 댓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 좀 안타까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1
120955 쿠키런 딱지 놀이가 하고 싶어요.. [2] 헐렁 2013.10.16 5238
120954 방 꾸미기의 달인들이여!!! [18] 있어서도안되고있을수도없는일 2010.07.15 5238
120953 생각보다 많이 기운이 빠지네요 [2] 셜록 2010.06.03 5238
120952 유희열 케이팝스타4, 섬유유연제 [27] 자본주의의돼지 2014.11.23 5237
120951 자백까지 나온 마당에 공동금메달 [7] 익명함 2014.02.22 5237
120950 노홍철이 연예인이 안 되었더라면...? [9] 빠삐용 2012.06.24 5237
120949 레고로 표현한 유명한 사진 [17] 호레이쇼 2012.06.22 5237
120948 세계 10대 추리소설( and 3대 추리소설) - 스포덧글 강력히 금지! [27] 무비스타 2011.12.26 5237
120947 아이허브 코코넛 오일 시식기 [9] Diotima 2011.10.28 5237
120946 [듀9] 둘이서 할 수 있는 카드 게임. [7] Gillez Warhall 2011.05.25 5237
120945 말레이곰 잡혔네요 [27] 열아홉구님 2010.12.15 5237
120944 짧은 바낭-올가을엔 '바람이 분다' 이야기가 없군요. [8] 안녕핫세요 2010.10.01 5237
120943 레이첼 맥아담스, 엘리자베스 뱅크스, 파커 포시, 니브 캠벨 [8] magnolia 2010.08.13 5237
120942 이런 조건에 맞는 영어단어 뭐있을까요? [14] 새로운아침 2010.06.13 5237
120941 안젤리나 졸리 유방절제 [16] 사과식초 2013.05.14 5236
120940 카페 진상 혹은 민폐; [18] 냥품 2013.02.24 5236
120939 진짜 프랑스 고등학생들은 이거 풀어야 대학가나요? [16] 생선까스 2013.02.07 5236
120938 펜싱 판정에 대한 미국내 반응 (미국인 1명 반응) [15] loving_rabbit 2012.08.01 5236
120937 노희경 작가 또 공중파에서 편성 보류 [13] 달빛처럼 2012.09.28 5236
120936 진중권 BBK 관련 발언 이해가 되시는지요? [43] 잉명12 2012.01.07 523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