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극복 300일 프로젝트, '우울증을 넘어 행복으로 가는 길', 첫 번 째 '마음챙김' 연습 중입니다.

 

 얼마 전까지 저는  '생존'에 필요한 활동 '만' 겨우 하고 나머지는 집에서 멍 때리고 홀로 놀았습니다. 일종의 동면과 같은 삶으로, 꽤 많은 우울증 환자의 일상이죠. 실제로 이리 쉬고 나면 몸과 마음이 좋아져요. 그래서 가끔, 망가진 몸과 마음에 휴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저앉아 쉬게 되는건가... 싶기도 합니다. 문제는 난 앉아서 쉬는데 세상은 미친 듯 달려나간다는 거? 서글프죠. 훗...

 

그러다 며칠 전부터 보통 정상인들의 활동 수준 (70~80%?)으로 움직이게 되었습니다. 죽겠더군요-_- 대체 어찌 그리들 부지런하신가요.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그것도 매일매일 규칙적으로. 일과도 빡빡한데, 사람들과 부대끼는 건 정말 힘들어요. 사회생활을 접은 지 너무 오래라 인간관계 기술이 모조리 퇴화했던 터라, 갑자기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일을 시작해야 하니 정말이지... 일은 차라리 괜찮은데, 사람들과 작업을 하고 대화를 할 때 저의 반응이 들떠? 붕 떠? 있다는 걸, 그러니까 어딘가 튀고 어색하다는 걸 나 스스로 너무 잘 보이니까, 그게 참 힘들었어요. 자학하지 않고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마음챙기는데 정말 노력 많이 했어요. 거기에 출퇴근 시간. 제 오늘 이동 시간은 4시간 정도였는데, 몸(과 피부)가 거덜나는게 느껴지더군요. 결국 오늘 퇴근길 지하철에서 침 흘리기 신공을 펼치다, 엉뚱한 역에 하차, 택시타고 집에 오는 와중 그만 자학폭발을.. (오늘 택시비로 쓴 돈을 계산해보다 ㅠㅠ). 길에 가는 모든 '보통 사람들'이 영웅으로 보였어요. 그런데 더 심한건, 정상인 중에는 이런 힘든 일상을 견디며 자기 일을 잘 해내는 것을 넘어, 스스로 일을 창조하고 자신에, 주변에, 또 사회에 무언가 만들어 넣는 사람들이 있다는거 아닌가요. 으으으으.....

 

데이비드 호킨스(사람들을 치유하는데 아주 유능한 정신과의사였다가, 후에 유명한 영성스승이자 강연자, 저술가가 되신...)라는 분이 계세요. <의식혁명>의 저자로 소개되기 시작, 요새 이분 서적이 우후죽순 번역되어 나오던데, 전 <의식 수준을 넘어서> 을 가장 재미있게 읽었어요. 그 책에는 그 분이 고안하셨다는 임상과학(이건 방법론을 들으면 잘 읽던 책을 집어던지고 싶을 정도로 좀 그래서-_-;; 별로 이야기하고 싶지 않네요. 오링테스트 비슷한 느낌? 그러니까 아래 수치들은 모조리 재미로 보아야합니다. 그저 재미......로 보기엔 또 그건 아닌데 참--;) 으로 인간의 의식수준을 수치로 측정, 의식의 지도를 만들어놓으셨죠. 이 수치 부분을 옮겨볼게요. 재미로.

 

20. 수치심

30. 죄책감

50. 무감정, 증오

75. 슬픔

100. 두려움

125. 욕망

150. 분노

175. 자부심

200. 용기

250. 중립

310. 자발성

350. 수용

400. 이성

599. 사랑

540. 기쁨

600. 평화

700-1000 깨달음. (붓다와 예수의 의식수준은 1000)

 

 이 책은 '인간 의식'이 어떻게 초월을 향해 나아가는가를 유사과학(-_-)을 통한 의식의 수치화를 통해 단계별로 설명해 놓은 책이에요. 200 이하는 동물적 생존에 급급한 수준. 먹고 먹히는 적자생존수준.  200이상이 되면 타자에 대한 배려, 사회적 발전이 시작되는 수준..비로소 인간이 되어 발전하기 시작하는 단계지요. 이렇게 발전한 인간이 세속적인 의미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은, 논리와 지성이 지극히 우월해지는 '위대한 과학자, 철학자'의 수준.. (400~499. 재미로 몇몇을 언급하면, 윌리엄 제임스 490,  J.S.밀 465,  갈릴레오 485,  프로이트 499,  마키아벨리 440,  플라톤 485,  아리스토텔레스 498.....마르크스 130 충격;; 재미로 보세요 재미..-ㅅ-;;;), 그리고 이성과 논리를 넘어 영성으로 들어가는 단계인 500은 일종의 돌파, 초월이 시작되는 수치로,  부처와 예수는 1000을 달성한 것으로 보더군요.  당시 심리상담 와중 제가 이 책 재미있게 읽고 있다고 하니까, 선생님이 '넌 그런 책 읽을 단계가 아니다. 우선 기본적인 생존부터 제대로 해야지' 하고 비아냥(-ㅅ-)? 음...질책을 하셨던 기억이 있는데, 사실 제가 이 책에서 열심히 읽고 큰 도움을 받은 부분은, 200보다 낮은 수준들에 대한 부분에서였어요. 정말 모두 다 저와 관계가 있는 이야기들이었거든요. 더구나 저자가 과거 아주 유능한 정신과의사였던터라, 영적 흐름 속에 정신분석용어부터 임상적 소견까지 풍성한 이야기를 넣어놔서,  정말 폭 빠져 읽었어요. 제가 이 책을 읽을 때 제 의식 수준은, 책의 묘사에 따르면, 20이었어요. 생존한 인간에게 측정한 최저수치. 데이비드 호킨스 박사가 그러더라고요. '이 수준에서는 병원 가서 약부터 먹어야 한다.'  음. 약 먹기 시작한 직후 이 책을 봤으니 뭐...

 

재미로 보는(-ㅅ-) 저 수치에 따르면, 제가 감탄했던 보통 사람들은 250~400사이 어디쯤이고, 특히 자발적으로 일을 해 나가고 주변에 세상에 무언가를 더 하는 사람들은 310, 자발성 수준이겠죠. 제 지금 상태는...아마 200인 '용기'? 변화의 용기를 내기 시작한 수준. 지하에서 헤메다 이제 겨우 지상으로 고개를 살짝 내민 수준.. 가야 할 길이 너무 멀죠.

 

제가 이 프로그램을 끝마칠 즈음 단단히 연습한 '마음챙김'으로 도달하기를 바라는 수준은 '수용'이에요. 음,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을 받아볼가 싶기도 해요. 이거 위빠사나 명상과 현실에 대한 '수용'을 결합해 놓은 제 3의, 신인지치료 트렌드 중 하나인 치료법으로, 국내에 막 도입이 되고 있죠. 관련 서적 읽다 보면 이게 불교 서적인지 영상 서적인지 인지치료프로그램인지 헷갈림. (그래서 저에게 잘 맞을 것 같아요.) 

 

남들보다 한참 뒤처진 상황인데도, 저는 '제 페이스'에서는 너무 빠르고 조급한 것이 아닐까 걱정이 되어요. 예전에도 이런 식으로 (저 딴에는) 갑자기 많은 일을 시도해서 성공적으로 잘 해 나가다가 한방에 풀썩 꺾인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거든요. 그래서 이번에도 본의 아니게 갑자기 붕 뜨게 된 상황과, 현실의 제 몸이 있는 것 같은 바닥 사이의 공간을 마음챙김으로 촘촘히 채워나가야지... 다짐해요. 그래서 제 상태가 외부에서 억지로 끌어 땅겨 속은 빈 상태로 빵빵하게 부풀어만 오른 텅 빈 누각이 되지 않도록, 속도 꼭꼭 차 있어서 무너지지 않고 차근차근 밟아 올라갈 수 있도록.  오늘 흥분되고 피곤하고 힘들었는데, 그때마다 (피곤할 때면 더욱) 잘 쉬어지지도 않는 숨을 집중해서 쉬며 몸에 주의를 집중하려고 무던히 노력했어요. 차근차근...지금 여기에...숨 들이쉬고 내쉬고...지금 하는 일에 집중...

 

<약 없이 우울증과 싸우는 50가지 방법>에는, 공식적인 명상 뿐 아니라 명상활동이 될 수 있는 유익한 활동들을 소개하고 있어요.

 

산책하기

골프치기

음악을 듣거나 연주하기

정원가꾸기

침묵속에 있기

수영

달리기나조깅

애완견 산책시키기

호흡 연습

스트레칭 연습

요가나 기공 수련

 

모두 다, '자신이 현재 하고 있는 것에 최대한 집중하며 그것을 느끼'면, 그게 바로 명상활동이 되는거죠. 음음..그래요. 전 최대한 느끼며 먹고 양치질하고 로션 바르는 것 부터.

 

 

하루 삼십 분의 명상은 필수이다. 단, 당신이 바쁠 때는 예외다. 그럴 때는 한 시간이 필요하다.   - 성 프란시스 드 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80
106126 외국 영화 자막을 너무 보다보니 한국 영화 보는게 어색해요 [11] 샤유 2011.02.23 2072
106125 여기저기 물건 흘리고 다니는 병. [5] Paul. 2011.02.24 1834
106124 기분이 우울할 때 보게 되는 세 개의 광고. [7] poem II 2011.02.24 2123
106123 구제역에 관한 질문.. [4] 파체카 2011.02.24 1262
106122 책 추천좀 부탁드려요. [6] 원구 2011.02.24 1518
106121 연애를 하는 것 자체가 죄업을 쌓는 일 같아요. [22] clutter 2011.02.24 4214
106120 빅뱅 신보 1분 미리듣기 [3] management 2011.02.24 1932
106119 퀴어에즈포크 엔딩 기억하시나요? (스포?) [4] 노루잠 2011.02.24 2232
106118 후유증?이 오래가는 영화들 [13] pingpong 2011.02.24 2382
106117 [듀나무 숲] 이별하고 잊는 거 쉽지 않네요 [1] purpledrugs 2011.02.24 1689
106116 단지 여자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39] 2011.02.24 6158
106115 개꿈 [2] 그냥저냥 2011.02.24 1084
106114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보고.. [3] 라인하르트백작 2011.02.24 2049
106113 [듀숲]또다시..누군가의 부담이 되어버렸답니다.. [2] 라인하르트백작 2011.02.24 2152
106112 아파요 ㅠ [2] 아.도.나이 2011.02.24 1443
106111 다리를 저는 미남 [3] 프레데릭 2011.02.24 2960
106110 정의 Justice with Michael Sandel 강의 - 칸트에서 딱 멈추네요. [5] 2011.02.24 2072
106109 한밤에 야근하는 놈 정신 들게 만들기. [4] 01410 2011.02.24 2172
» [우행길] 9. 정상인의 생활을 존경함. <의식수준을 넘어서>의 의식레벨 측정치 [10] being 2011.02.24 3199
106107 회사앞에서 영화 찍는데 [12] loving_rabbit 2011.02.24 29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