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글 쓰기.

2011.03.01 16:57

고인돌 조회 수:1851

바둑 전문기자 박치문씨의 글입니다.

http://news.joinsmsn.com/article/964/5124964.html?ctg=

 

[삶의 향기] 인생살이 ‘치수’

바둑은 18급부터 시작해 1급이 되고 그다음 1단부터 9단까지 이어진다. 실력 차이가 분명하다. 5급이 1급과 맞두어 이긴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따라서 5급이 1급과 내기바둑을 두려면 4점을 접어야 한다. 이런 걸 ‘치수’라고 한다. 골프에도 핸디캡, 즉 ‘핸디’라는 게 있다. 만약 1급이 실력을 숨긴 채 5급과 내기바둑을 둬 큰돈을 땄다면 무슨 죄목에 해당할까. 사법당국은 도박죄가 아니라 사기죄로 처벌한다.

 가끔 IMF 사태 언저리에 우리나라 금융 실력은 몇 단이나 됐을까 상상해 본다. 서양의 고수들은 이창호·이세돌 수준인데 그들과 맞바둑을 두며 버틴 우리 실력은 어느 정도였을까. 우리가 돌반지까지 바쳐 가며 나라가 잃은 큰돈을 메웠지만 국제사법재판소가 그들 서양의 고수를 사기죄로 처벌했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다. 세계화, 특히 머니게임(money game)의 세계화는 고수들의 계략이란 생각마저 든다. 강자들끼리의 게임은 피곤하고 리스크도 크니 국경을 넘어 하수들의 세계에서 합법적으로 마음껏 놀아 보자는 얘기처럼 들린다.

 바둑이나 골프·당구 등은 치수가 확연하고 예술이나 스포츠·연예도 치수가 어느 정도 드러나지만 세상사의 대부분은 치수를 잴 수 없다. 기술·능력뿐 아니라 재능·돈·가문까지 넓히면 인생살이의 치수 규격화는 엄두도 낼 수 없다. 하는 수 없이 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맞바둑’을 두고 그걸 저항 없이 받아들인다. 때로는 이기고 때로는 지면서 그렇게 살아간다.

 문제는 세상이 점점 ‘게임화’돼 가는 데 있다. 세상살이가 비정한 승부의 논리를 닮아 가면서 강자들은 점점 신(神)이 돼 간다. 한국 부모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일찌감치 결사항전을 시작하는 것은 그런 점에서 무서운 통찰력의 발로가 아닐 수 없다. 입시도 선거도 결혼도 게임이 돼 간다. 리비아의 민주화도 승부 관점에서 본다.

  세상은 강자들의 얘기로 도배되기 시작했다. 정치·코미디·경영·축구·영업·요리·공부 등 새로 뜬 강자·스타들의 얘기로 가득하다. 그걸 보며 우리는 이를 악문다. 8급이 7급이나 6급이 된들 도토리 키 재기에 불과할 뿐이지만 가만있으면 안 될 것 같아 하다 못해 성형이라도 하고 자기계발서를 읽으며 인간관계라는 게임의 몇 가지 하찮은(?) 수라도 익힌다. 애들만 게임 중독이 아니라 어른들도 게임 중독이다. 게임의 함정, 맞바둑의 함정이 세상을 광분케 한다. 그럴수록 세상은 고수의 놀이터요, 하수의 지옥이 된다.

 인생살이가 게임이 되려면, 즉 인생살이가 굳이 승자와 패자를 가리는 것이라면 ‘치수’가 있어야 공정하다. 치수가 없으면 법의 판단 그대로 ‘사기’가 된다. 따라서 치수를 잴 수 없는 인생살이는 게임이 될 수 없고 승패도 논해서는 안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세상 사람 대부분은 별수 없이 하수나 중수에 속한다. 40평 아파트가 20평 아파트를 괄시하는 것, 평범하게 살아가는 사람끼리 헐뜯는 것, 한 수 위에 있다고 짓밟는 것은 하수들이 흔히 저지르는 서글픈 자살골이다.

 

 

인터넷에 널린 찌라시 기자들이나, 연예전문 기자들도 이런 정도의 글쓰기 능력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바둑TV에서 해설.. 바둑전문기자. 거의 바둑으로만 먹고 사시는 분이 쓴 글로는 읽어 볼만 해서 퍼왔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8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20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332
105860 기사 몇개 보고 [2] 메피스토 2011.03.01 1079
105859 부부의 일상 [38] 세호 2011.03.01 6342
105858 여러 가지... [9] DJUNA 2011.03.01 3120
105857 대여점이 오늘부터 점포정리에 들어가네요 [4] miho 2011.03.01 2028
105856 절판이라면 기를 쓰고 구하고 싶은 이 이상심리... 롤리타 [6] 무비스타 2011.03.01 2245
105855 3.1절의 엔하 위키 질 [1] Johndoe 2011.03.01 1645
105854 마지막 잎새 [3] 말린해삼 2011.03.01 1308
105853 BBQ 1000가지 치킨의 현실. [2] 달빛처럼 2011.03.01 3630
105852 [전세대란 기사] 범례로 선택한 사례가 연봉 6천5백만원? = 정말 이 게 범례인가요? [21] 고인돌 2011.03.01 3597
105851 피임 하고 계십니까? [14] 도야지 2011.03.01 5533
105850 Jane Russell: 1921 - 2011 R.I.P. [5] 조성용 2011.03.01 1309
105849 30대 중반 남자의 적정 보유 자산 [20] 휴지통 2011.03.01 21401
105848 French actress Girardot dies at 79 [2] DJUNA 2011.03.01 1156
105847 [우행길] 15. 여자의 달리기, 순환운동, 혹은 다이어트 비디오 하나 돌려보기. [11] being 2011.03.01 3889
105846 동물학대죄에 대한 질문 [3] at the most 2011.03.01 1444
105845 Black Swan을 보고서 뜬금없이 이 노래가 생각났어요 amenic 2011.03.01 1235
105844 3.1절되니까 생각이 나는데 순풍에피소드 중 독립운동가 이야기가 있었는데 [10] 무간돌 2011.03.01 2606
105843 오랜만에 차를 마셔보니... (카페인) [3] 늦달 2011.03.01 1694
» 기자의 글 쓰기. [5] 고인돌 2011.03.01 1851
105841 제시 아이젠버그는 오덕이나 너드 역할을 자주 맡네요. [17] 자본주의의돼지 2011.03.01 38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