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제가 잘못 아는 걸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까칠하게 지적해주셔도 달게 받을게요;


 한국의 경우 대부분 온돌이고 바닥마감재도 아주 얇은 장판지류가 대부분인데 기것해야 3mm두께의 비닐계장판이 대세일텐데

 이게 층간소음에서 윗층의 울림에 속수무책인 이유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콘크리트슬라브-바닥구조체- 두께야 어느나라나 비슷하거든요)


 중국의 경우 온돌을 안 까는 집은 마감재로 대부분 18mm정도의 원목마루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 마루를 그냥 까는 것도 아니고 30-40mm 각재틀을 짜고 그 위에 합판을 깐 뒤에 원목마루를 깝니다. 제대로 된 집은 그 합판위에

 방진패드를 깔아주기도 하구요. 이렇게 하면 층간소음이 훨씬 덜하게 되죠. (하지만 벽간 소음은 좀 짱 나요;;;--- 벽체단열을 제대로 안하는

 집이 많아서)


 일반가정집 신세를 져본게 중국 외에는 프랑스, 독일 그리고 체코 뿐인데 대게 중국과 마찬가지로 바닥마감재가 한국보다 두꺼운 편이거나

 슬라브와 마감재 사이에 공간을 두는 방식입니다 (파리에 두어주 신세를 졌던 친구집은 전기온돌바닥이었는데 마감재는 카페트여서 층간소음이

 덜했던)


 아무래도 층간소음문제를 모를리 없는 건설사들이 왜 이런 얆은 바닥재를 고집할까도 미스터리입니다.

 제가 추측하는 것은..... 와마도 좌식생활탓이 아닐까 싶어요.  집에 소파도 있고 슬리퍼도 신고 다니긴 하지만 

 생활방식이 아직은 바닥에 뒹굴거리는 습관 때문에 바닥이 매끈한 장판지를 선호하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거죠.

 아무래도 마루판(온돌 마루라 할지라도) 은 이음새 부분에 이물질들이 끼고 축적되기 마련이라 안그래도 펑결에 결벽증적인 성향의

 한국중산층들이 얇은 비닐계 장판지를 선호하고 그래서....


 그렇다면 왜 옛날 집들은 덜했나? 라고 반론이 나올 수도 있는데요.

 사실 아파트가 일반화된 이래 층간소음은 그 전이나 지금이나 매한가지였어요.

 2-3층 정도 되는 주택에서는 온돌층이 매우 두껍고 단열층도 있어서 슬라브두께의 1.25~1.5배 정도가 온돌+단열층이었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전에도 층간소음 문제에 대한 글을 듀게에 올린 적이 있었는데, 문득 외국 가정집에서 층간소음문제가 별로 의식되어 본적이 없었던게

 생각이 나서 이런 방향으로 생각을 해봤어요.  


 결론은.... 애들이 무슨 죄가 ㅠ.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45
172 [더 브레이브 True Grit] 간단 후기 [7] 프레데릭 2011.03.02 2425
171 때깔도 곱지 [5] 가끔영화 2011.03.04 2100
170 현빈 금방 군인 [7] 가끔영화 2011.03.08 3622
169 재밌게 본 <1Q84> 3권과 <1Q84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catgotmy 2011.03.27 2064
» 한국이 유독 층간소음문제가 유별난 이유에 대한 전문가적 고찰? [17] soboo 2011.03.29 5183
167 버거킹 와퍼 주니어 600원에 드세요. [12] 자본주의의돼지 2011.03.31 3856
166 (바낭)올해는 유난히 아이들이 밥을 많이 먹어요 [2] 수지니야 2011.04.05 1579
165 아이폰으로 찍은 영화 파란만장이 [6] 가끔영화 2011.04.06 1929
164 외근 중에.. Nikiath 2011.04.13 1327
163 초콜렛 사냥 : Across the internet [2] calmaria 2011.04.18 1074
162 [연애바낭]참..거지같네요.. [10] 퀴트린 2011.04.20 3612
161 회사 화단에 떨어진 새끼고양이. [2] Paul. 2011.05.03 2189
160 할아버지 장례식에 다녀왔습니다. [6] sweet-amnesia 2011.05.03 1925
159 나가수 본 다음에 CJ 광고를 보는데 [3] 자두맛사탕 2011.05.08 2725
158 [스포일러] 마츠 다카코의 '고백'을 봤습니다. 크하하. [9] 로이배티 2011.05.12 2803
157 밀어서 잠금해제 종결.jpg [4] management 2011.05.28 5869
156 [bap] 배우 박정자님 좋아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1] bap 2011.06.07 1322
155 옛날 영화 포스터 [4] 가끔영화 2011.06.07 1928
154 옛날 사진 [1] 가끔영화 2011.06.08 1273
153 아침부터 대나무숲 이용. 주먹이, 주먹이... [2] chobo 2011.06.15 154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