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일본 문화에 빠졌지만 지금은 그 특유의 과장적 감성이 맘에 안들어 지금은 일본 문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영화 고백이 끝내준다는 말을 듣고 영화 보러 갔죠. 좀 먼 곳에 있더군요. 도착해보니 상영시간이 늦어서 4시간을 더 기다려야 했습니다. 이 영화 보려고 이렇게 기다려야 하나, 써커 펀치를 볼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충동적으로 표도 구매한 이상 일단 기다렸다 보기로 했죠
후회할 선택은 아니더군요

시작부터 꿈결같은 영상들이 나오더군요. 종업식의 지루함을 잘 표현하는 듯한 영상. 그리고 꿈결같은 목소리들이 들리고 하죠. 그러다 갑자기 펑, 하고 터뜨리는데, 포스터 때문인지 생각보다 큰 충격은 없었습니다. 흥미로웠던 건 스토리텔링 방식이었는데, 대화가 많은 소설을 영화화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최선은 아니지만 가장 강렬한 방법을 썼더군요. 초반 30분 정도의 종업식 시퀸스는 그야말로 극상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다음 그 중2병 중증의 과거사가 나오는데, 후반 1시간이 지지부진하다는 말을 듣고 아, 이 영화도 사실 이 자식도 나쁜 놈이었구나, 라는 식으로 가는구나 싶었죠. 사실 그런 줄 알았기도 했어요. 그 보통 중2병 귀여운 여자애와의 로맨스나, 과거의 트라우마 같은건 참 진부하거든요. 여타 일본 만화에서 자주 쓰는 방법 아닙니까. 역겹죠.
그 말고 다른 멍청이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사실 전 얘 이야기에는 별 관심 없었어요. 관심 없다기보다는 보기 싫었죠. 특히 엄마가 꼴보기 싫어서요. 그런데 전 얘 엄마가 얘에게 일부러 목을 들이댄거 같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맞나요?
사실 이 부분은 별로였어요. 다만 보통 중2병 여자애가 가장 현명한 방식으로 고백을 끝마친건 맘에 들었지만요. 그래도 다시 선생이 나올 때 까지는 그렇게 큰 흥미는 없었습니다. 영상은 역시 좋았지만요.
자기 손에 피내서 여자애 구해주는 장면에서 웃음이 나오더라고요. 이 소년만화 스러운 전개는 뭔가 싶어서요. 진짜 만화적인거 아닌가? 이게 걸작에서 급 졸작으로 떨어지는 과정인가? 싶기도 했고요.

근데 다시 선생이 나오자마자 영화가 급격하게 흥미로워지더군요. 네. 왠지 모르게 이 아줌마가 안 나온다 싶었어요. 내심 기다리고 있었거든요. 지나칠 정도로 멍청해 보이던 베르테르 선생의 행동도 제대로 설명이 되었고요. 그리고 나서 대사 한 마디 한 마디 듣는거 자체가 고역인 중증 중2병의 대사가 나오는데, 네, 그 귀여운 여자애를 죽이는 장면에서는 욕이 나오더라고요. 진짜 귀여웠는데. 그리고 나서 중2력을 폭발시키려고 하지만, 선생이 그 중2력을 완벽하게 자근자근 밟아주죠. 그제서야 지지부진한 중반부가 이해되더군요. 

네, 중2병 까지는 이해할 수 있어요. 근데 그거 가지고 죄 없는 사람에게 해를 주면 그건 병이죠. 아니, 죄죠. 자기 문제는 자기가 해결해야지 왜 남한테 터뜨립니까?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제가 원했던 부분을 완벽하게 긁어주더라고요. 전 이 영화가 일본 문화 전체적인 모습에 대한 비판이라고 느꼈습니다. 나쁜 놈이 펀치 한대 얻어맞고 갱생하고 이런게 말이나 됩니까? 요새야 중2병에 대한 비판도 좀 나오고 있지만 에반게리온으로 대표되는 이 중2병 문화는 아직 여전하죠. 요새는 같은 작품 리메이크로 자기 디스를 하긴 합니다만.
이 영화 초반 30분이 청소년 보호법에 대한 비판이었다면, 후반 1시간은 일본 문화의 총체적 문제에 대한 비판이라는 느낌이었어요. 그리고 '소중한 것이 사라지는 소리가 들리더군요. 틱, 하고.' 이 들을 때마다 넘쳐나는 허세에 절로 시공간이 오그라들던 이 대사를 완벽하게 비꼬는 그 대사가 나왔을때, 저는 킹스 스피치에서 제대로 된 연설을 하던 왕을 보던 라이오넬과 비슷한 감정이 들었습니다. 쾅. 짝짝짝

제가 세상에서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자기가 전 세계에서 가장 불행한 인간인 양 행동하는 인간들입니다. 왜냐면 자기가 아무리 바닥까지 떨어졌다 느껴도, 그 바닥보다 아래에 있는 사람은 분명히 있기 마련이거든요.
그래서 전 이 근성부터 썩은 중증 중2병을 완벽하게 밟아주고 자신이 바닥이라고 생각했던 그 바닥 아래 지옥을 맛보게 해 주는 이 영화가 더 맘에 들었던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장난이에요, 라는 마지막 대사까지도 완벽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9
102978 감정의 낙차가 큰것도 병일까요? [11] 주근깨 2011.04.08 2378
102977 고민입니다.. 다섯살 아이의 성적 (sexual) 표현.. [27] Eun 2011.04.08 6020
102976 류헨진, 두경기 연속 탈탈탈 [6] 달빛처럼 2011.04.08 2000
102975 박예진은 올해 계속 영화를 하는군요. [2] 발없는말 2011.04.08 1967
102974 스크림4 새 클립 몇 개. [2] mithrandir 2011.04.08 1080
102973 이게 어떻게 한다는 말이죠? [3] 가끔영화 2011.04.08 1636
102972 개인적으로 부활 보컬 탑 투 중 한 명으로 꼽는 이성욱의 노래... [6] Aem 2011.04.08 2133
102971 새가 고양이를 괴롭히는 이유가 있었군요 [1] 가끔영화 2011.04.08 1874
102970 위대한 탄생 생방송 시작 [104] 01410 2011.04.08 4427
102969 원작의 향기, 여러가지.... 밀리터리 4편 [2] 무비스타 2011.04.08 1423
102968 여러 가지... [9] DJUNA 2011.04.08 2859
102967 맥도날드 해피밀 세트 첫체험. [14] 2B 2011.04.08 4405
» 고백은 중2병 문화에 대한 완벽한 비아냥이더군요(스포) [8] 샤유 2011.04.08 4269
102965 기아 타이거즈는 뭐가 문제일까요 [10] 감동 2011.04.08 2166
102964 사실 전 위대한 탄생이라는 이름 듣고 조용필이 나오나 싶었어요. 샤유 2011.04.08 1013
102963 어떤 형의 운동화가 좋을까요 [1] 가끔영화 2011.04.08 1660
102962 이거 하나만 바뀐다면 내 삶은 훨씬 더 행복할텐데...라는 거 있으세요? [18] livehigh 2011.04.08 2739
102961 내가 제일 좋아하는 리세쨩이 떨어져서 슬프단 말야 [7] management 2011.04.09 3517
102960 지금 유희열의 라디오천국에 정성일씨가 나오네요 [5] SillyBat 2011.04.09 2682
102959 [스포일러] 오늘 위대한 탄생 [8] 로이배티 2011.04.09 299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