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 큐브릭 감독 1962년판과 1997년 애드리안 레인 감독의 Lolita중에서 험버트가 미망인인 샬롯 헤이즈의 집에 처음 왔을때 돌로레스 헤이즈(로)를 처음 본순간입니다.

두편 모두 세를 구하기 위해 왔다가 로를 처음 보고 험버트는 말을 못하고 더듬을 정도이고 제레미 아이언스.험버트는 뷰티풀을 연발 하는 장면입니다.
블라디미르 나브코프의 로리타에서 위험한 시작의 순간의 명씨퀀스입니다.


lolitar
>> 위 1962년 스탠리큐브릭감독의 로리타. 아래 1997년 애드리안 레인 감독의 로리타

(험버트역 : 62년판 제임스 메이슨, 97년판 제래미 아이언스)

 


1962년판이 대체로 점수가 높은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시나리오 작업을 원작자인 블라디미르 나브코프가 썻기 때문입니다.

큐브릭 감독은 원작을 자기만의 영화적해석으로 수정하는 감독으로 유명하죠. 일종의 작품의 재탄생입니다.

대표적으로 2001 오딧세이,샤이닝이 그렇습니다.

그런데 1997년 애드리안 레인감독의 로리타는 큐브릭판보다 원작에 가깝지만(스토리라인)

문제는 너무 감각적이고 어두운 로리타류와 그경계에서 줄타기를 하는 작품같이 보인다는것입니다.

그리고 미국적인 재해석과 직관적으로 레인감독은 접근을 합니다. 

주인공 싯점 자체도 감독이 모두 통제하려는듯, 로의 피부 터치까지도 느껴지게 만들려는 섹슈얼감성을 이끌어 내려고 한다는겁니다.

그러나 큐브릭 판은 제한적인 주인공싯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작의 주인공싯점의 로에 대한 감성이 낱낱이 밝혀내는것 보다는(책에는 하나하나의 심리적 묘사가 모두 나옵니다.) 

감독은 관객이 느낄수있도록 그 기회를 제공한다는것이죠.(간단한 예로 로가 캠프로 떠나고 험버트교수가 로의 방에 가서 침대에 앉아 실망하는 씬을 보면 이점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거의 35년만에 리메이크된 Lolita 는 애드리안 레인감독의 재해석적인 이 영화는 실패라고 까지는 할수없지만,

스토리와 영화적 충실도는 앞에서 이야기한 섹슈얼코드의 가미로 다소 마이너스가 된면도 없진 않으나 원작의 스토리라인은

62년 큐브릭판보다 더 낫습니다. 62년판보다 생뚱맡은 이야기도 안나오기 때문이죠.
(62년판에서 셜리윈터즈가 전남편의 권총을 꺼내들고 설치는 권총씬은 묘하게 히치콕영화맛마저 느끼게 해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7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65
102442 [연애바낭] 밀고 당기기 [3] 물고기결정 2011.04.17 2844
102441 코스비 가족 [2] always 2011.04.17 1481
» 로리타(Lolita) 위험한 시작의 순간 [8] 무비스타 2011.04.17 5426
102439 프런코3 끝났네요 (우승자 스포 유) [12] 당근케잌 2011.04.17 3577
102438 책느낌 - 어제도착한 몇가지( 영국3대연애소설,메피스토 etc...) [2] 무비스타 2011.04.17 2096
102437 20대 세대론을 보다가... [19] 허튼가락 2011.04.17 2738
102436 푸치니 '투란도트'중 공주는 잠 못이루고 [6] 늦달 2011.04.17 2516
102435 신정아 궁금한 대목 [6] 가끔영화 2011.04.17 4295
102434 (종료)음악방송합니다.(Vocal) JnK 2011.04.17 879
102433 스타 2 한국 흥행은 거의 실패 같네요. [10] 아리마 2011.04.17 3928
102432 질문 - 시놉이나 트리트먼트 저작권에 대해 [3] 무비스타 2011.04.17 1773
102431 [바낭] 내 돈은 어디에...? [3] Serena 2011.04.17 1762
102430 마늘밭에 가고 싶다 [3] 가끔영화 2011.04.17 1694
102429 상대방을 거절할때 예의에 대해 질문입니다.. [13] 알베르토 2011.04.17 3721
102428 여러 가지... [14] DJUNA 2011.04.17 5217
102427 최근에 본 명언(?)들. [3] 부기우기 2011.04.17 2769
102426 인터넷에서 자본론에 대한 비판을 좀 읽어보려면...? [1] 양산 2011.04.17 1136
102425 언제부터 영화 오프닝 타이틀이 달라졌을까요 가끔영화 2011.04.17 1431
102424 세대론에 대한 음모론 [4] catgotmy 2011.04.17 1296
102423 조지 마이클 솔로데뷔 앨범, 귀에 착착 감기네요. [7] 감자쥬스 2011.04.17 19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