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외부기고자의 글입니다. 맨 아래에 조선일보 편집방향과는 다를 수 있다는 토가 달려있었긴 합니다만

그냥 퍼왔습니다. 글이 조금 길긴 하지만 읽어 볼 만 하다 싶어서.. 

 

[기고] 실업高 학생에게 '반값 등록금'은 배부른 이야기
김소한 안산공고 교장·전국공업고등학교장회 회장

 

지난주에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대학생들의 도심시위가 벌어졌다. 유명 연예인도 나오고 정치인도 합류했다.

대학생들의 요구는 이미 등록금의 합리적 조정 정도가 아니라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이 돼 버렸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오랜 기간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쳐온 사람으로서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 없다.

 

과거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소 팔고 논밭 팔아서 대학 등록금을 마련했다.

때문에 '우골탑(牛骨塔)'이라는 말까지 생겼다. 당시는 학비를 마련할 수 없으면 대학입학 자체를 꿈도 꾸지 못했다. 

대학교육은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랐고, 대입 진학률은 30%대였다. 현재 우리는 82%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진학률을 보이고 있다.

대학 교육은 의무교육처럼 된 지 오래고, 대학에 다니지 못하면 창피한 사회가 됐다. 하지만 대학을 나와도 일자리가 없어 '대졸 실업'이 또 다른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한 해 5조~6조원의 국민 세금으로 대학을 지원해 학생 정원조차 채우지 못하는 부실대학을 살리고,

무작정 대학 진학률을 높이는 것이 올바른 방향인지 묻고 싶다.

부실대학 여부에 상관없이 '대학 간판'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해 재정지원의 효율성은 무시하고 모든 대학에 다니는 모든 대학생들에게

등록금의 반값을 무조건 지원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다른 면에서 보면 2010년 현재 실업계고 재학생은 46만6000여명으로 일반계고 재학생의 30% 수준이다. 그마저도 감소 추세다.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에 따르면 부모의 학력이 대학 중퇴 이상인 경우 86.2%가 일반계나 특목고에 진학한다.

반면 부모가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경우 52.1%가 실업계고에 진학한다. 실업계고 학생 중 중도탈락자는 일반계고의 4배에 이른다. '가난의 대물림'이다.

 

우 리 학생들은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 묵묵히 공부하고 실습하고 있다. 졸업 후에는 대학 졸업생이 꺼리는 '3D 업종'도 마다않고 진출한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접고 일찌감치 생활전선에 뛰어드는 아이들에게 대학생들의 '반값 등록금' 시위는

다른 세상의 배부른 이야기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직업학교 학생 비율(25%)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 가운데 23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독일(65%), 대만(45%), 핀란드(40%) 등과 비교해 크게 떨어진다. 한 나라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지식을 생산하고 연구에 몰두하는 대학도 필요하지만

산업 기층인력을 양성하는 직업교육도 있어야 한다. 천연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기술 혁신만큼 중요한 것이 기술 인재의 양성이다.

 

이번 기회에 단순히 등록금 문제가 아니라 젊은이들이 굳이 대학에 진학하지 않아도 되는 교육구조의 근본적 개혁을 검토해 봐야 한다.

기술과 능력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특히 민심을 걸러 합리적 대안을 모색해야 할 정치권이 정치적 목적으로 시위를 선동해서는 안 되며, 지식인들도 비등하는 여론에 무책임하게 편승해서는 안 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했다. 인기에 영합하지 않고, 책임의식을 갖고 보다 근본적인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인과 교육자,

학생들의 올바른 의식이 절실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15
93 [미드잡담] 하와이 파이브오 2시즌은 전대물이군요. [1] 가라 2012.04.25 1921
92 수혈과 교리 [19] 와구미 2010.12.13 1922
91 계란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5] 부기우기 2012.04.01 1934
90 트와일라잇 시리즈를 중고로 모두 팔아치웠습니다. 아, 속시원해. [2] 스위트블랙 2010.10.30 1992
89 다이빙 벨 봤어요 [5] walktall 2014.11.02 2027
88 '비긴 어게인' 보고 왔습니다 [2] Johan 2014.09.08 2039
87 오늘 다녀온 김연수 작가 낭독회 이야기 [9] 봄눈 2013.11.22 2075
86 [바낭] 눈은 무슨~..어린이집 문제가 또 불거졌네요~ 그리고..떡밥성바낭 [5] 러브귤 2010.12.08 2081
85 [바낭] 회식, 30 Rock, 결혼 [5] 가라 2010.12.22 2105
84 무사 백동수 [6] 달빛처럼 2011.08.03 2108
83 아래 '사회부장의 입장에 반대한다' 글에 관한 잡담 [46] 타락씨 2019.10.12 2153
82 하루종일 앉아계신분들 다리 안아프신가요? [6] 103호 2012.08.06 2164
81 DHC 화장품 좋은 것 같아요. [1] 늦달 2011.03.28 2183
80 구글 12살 [2] 가끔영화 2010.09.27 2211
79 [듀나인] 여수 맛집 , 좋은데(?) 추천 부탁드려요~ [7] 飛頂上 2011.02.22 2218
78 교과서적인 이야기 - 삼겹살에서 극장예절까지 [12] 곽재식 2012.10.12 2246
77 [듀숲]글 쓴 다는 애가 맞춤법이 이게 뭐니! [11] 쏘맥 2011.12.06 2272
76 생방송은 대본이 없어야 [5] 가끔영화 2011.05.20 2300
75 아이돌)그냥 인피니트 사진 여러가지 [8] 발광머리 2012.07.12 2305
74 [읽을거리] <위대한 탄생> '위대한 콘서트' (....)를 앞두고, <위대한 탄생> 시즌 1 결산 좌담입니다. [6] 루이와 오귀스트 2011.06.03 23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