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전자는 일단 프랑스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단 TGV전동차 도입시 약정되었던 병인양요 때 약탈된 외규장각도서반환의 파기문제가 꾸준한 떡밥이구요.

거기에다 브리짓드 바르도의 개고기 발언이라든가 서래마을 영아살해사건 때의 반응등이

기존의 악감정을 조금씩 부추기는 구실을 한 거 같아요.

인터넷 보면 근현대사에서 프랑스의 삽질이나 굴욕같은 것을 놓고 중국에 빗대서

유럽짱O니 하는 식으로 무시/비하하고 우습게 보는 표현도 꽤 보입니다. (대게 영국이나 독일은 긍정적으로 묘사되어 있죠)

 

그런데 이런 악감정은 상호적인가 생각해보면,

거의 대부분의 프랑스인한테는 이런 일부(?)한국인의 악감정은 전혀 예상치 못한 아주 당혹스러운 것일 게 분명합니다.

물론 한국에 오래산 극소수 프랑스인들은 느낄지도 모르지만(이다 도시같은 사람들은 확실히 알고 말하죠) 말이죠.

대부분은 외규장각반환문제따위 전혀 모르는 일이고, 아예 한국이란 나라 자체의 이미지도 불확실한 상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요즘은 좀 더 알려졌겠지만, 예전에 대우가 프랑스 톰슨을 인수할 당시, 반대시위대가 들고 있는 한국인을

묘사한 그림을 보면 베트남 농부들이 쓰고 있는 삿갓모자를 쓰고 눈이 쭉 찢어진 스테레오타입을 하고 있었으니까요.

 

반대로 은근히 한국인을 싫어하는 곳으로는 아르헨티나를 꼽습니다.

아르헨티나는 보통 축구,포클랜드 전쟁,실패한 경제정책등 몇가지 문제를 언급할 때 등장하긴 하지만,

일반인식으로는 한국과 교류가 많은 나라는 아니지요.

그런데 아르헨티나에서 인종차별을 당했다는 이야기가 꽤 있습니다. 물론 유색인종/아시아인으로서 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본인은 해당 안 되고 한국인이어서라는 국적이 특정되는 혐오가 있는 거 같습니다.

이건 아르헨티나에 사는 교민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남미에서도 백인비율이 압도적이면서 경제사정이 팍팍한

아르헨티나에서 유색인인 한국인 교민사회가 적응이 어렵고 아르헨티나에 돈벌러 와 있는 주변나라의 유색인종

(볼리비아,페루,브라질등) 노동자들을 또 무시해서 갈등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군요. 그리고 한국인이 운영하는

회사가 노동력을 착취하거나, 임금을 주지 않거나 횡령사건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로 아르헨 경찰의 수사를

받는 등 물의를 일으킨 적도 있었나 봐요. 그래서 한국인은 "돈만 아는 탐욕스런 이방인들"비슷한 인식이 있다더군요.

그래서 사실 경제나 국제적 지위에서 한국이 아르헨보다 더 위라고 생각하는 한국인이 보기엔 생각지 못한 당혹스런 대우

로 여겨질 것 같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24
» 상대는 잘 모르는데 한국에서 안티가 많은 나라(그리고 그 반대) [5] nomppi 2011.06.30 2903
97605 남들은 다 봤는데 저만 아직도 못 본 영화들 [25] 한여름밤의 동화 2011.06.30 2007
97604 소수자를 희화화 하는 것에 대하여 [14] 오늘은 익명 2011.06.30 3138
97603 참 보기 싫게 나온 사진(혐짤있음) [4] 가끔영화 2011.06.30 2464
97602 [bap] 재즈파크 그루브올스타즈 - 천원의행복 [3] bap 2011.06.30 1124
97601 여행 100일하고도 벌써 일주일째 [6] 쭈™ 2011.06.30 2110
97600 과자 라면류는 오픈프라이스 제외 한답니다. [4] 자두맛사탕 2011.06.30 2065
97599 부천 예매 잘 하셨나요? [8] 로즈마리 2011.06.30 1464
97598 연양갱광고 엄청나군요 [7] 메피스토 2011.06.30 4052
97597 소득세, 정의론, 스웨덴, 경제학, 자유주의 vs. 간섭주의 [5] 김리벌 2011.06.30 1891
97596 의무교육의 무상성 관련 법 [5] 난데없이낙타를 2011.06.30 1302
97595 근데 여자들이 이혼 후, 위자료를 요구하는 이유는 뭔가요? [16] 안드레이 2011.06.30 5623
97594 장화 뺏은 고양이 [2] 사팍 2011.06.30 1478
97593 이탈리아 영화음악 작곡가 니노 로타와 엔니오 모리코네 중에 가끔영화 2011.06.30 1240
97592 벤츠 열쇠고리 주웠다가 벤츠 살 기세.. [3] 도야지 2011.06.30 2972
97591 바낭-나이에 따라 피식 웃거나 무서워하는, 아주 짧은 귀신 이야기 재중 [12] 안녕핫세요 2011.06.30 2524
97590 올해 처음 부천 영화제에 가요.. [2] 제주감귤 2011.06.30 991
97589 이런 내용의 소설(아님 영화?드라마?) 아시나요? [4] 외팔이 2011.06.30 1114
97588 미쟝센단편영화제 결과 [5] 아.도.나이 2011.06.30 1642
97587 [듀나인] 모파상의 이 단편 제목이 뭐죠? [4] 안녕핫세요 2011.06.30 16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