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전에 썼는데

 

새로 글을 쓰는건 그렇지만,

 

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에 새로 남깁니다.

 

앞의 글에 추가로 이어붙이기는 뭐해서요.

 

 

 

영화의 결말에 대해서 어떤 사람은 열린 결말이라고도 하고

 

확실히 닫힌 결말이라고도 하더군요.

 

검색해보니 의견이 분분한데

 

 

제 생각은

 

<닫힌 결말의 개연성이 크지만, 열린 결말이라고 느껴질 무언가가 있다>는 겁니다.

 

확실히 설명할순 없지만,

 

결말 부분이 아주 매끄럽진 않고 친절한 개연성을 보여주고 있지 않기 때문인것 같은데요.

 

 

 

열린 결말과 닫힌 결말에 대한 논의 자체가 좀 기묘한 부분이에요.

 

왜냐하면

 

닫힌 결말에서라면 <어떤 것이 생각의 왜곡이고, 어떤 것은 아니다.>라는 게 명확합니다. 왜곡이 없는 세계죠.

 

이 영화를 열린 결말로 보면 <어떤 것이 왜곡이고 아닌지가 불분명해집니다.>

 

열린 결말에서의 어떤 해석은 닫힌 결말에서 보면 바로 그게 <생각의 왜곡>을 뜻할수 있죠.

 

 

 

이 영화를 본 감상자의 견해 차이가, 뭐랄까요.

 

이 표현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메타적인 감상이 돼버리는거죠.

 

 

이게 어느정도 정신없는 영화를 만든 감독의 의도일지 아닐지는 모르겠지만

 

꽤나 미묘하고 찝찝한 구석이 있는건 맞습니다.

 

단순히 하하 호호, 해피엔딩 영화는 잘 끝났어요가 아닌

 

살고있는 세계에 대한 시선을 찝찝하게 만들어버리는 구석이 있는..

 

뭐 그런 영화였네요.

 

 

 

추가(7/5 10:22)//

 

이런 소재를 다룬 영화는 제 경험으론 두가지 정도의 결말을 보여줍니다.

 

1.생각의 왜곡을 치유하거나

 

2.결말을 아예 열어버리는

 

 

셔터 아일랜드는 형식상으론 1을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엔 반전은 그렇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반전을 다루는 방식을 보면 그렇습니다.

 

반전은 성급하게 성의없이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듯이 처리됩니다.

 

영화 내내, 초반부터 계속 반전에 대한 암시를 주고있는데도 불구하고

 

이 반전이 의도된 부실함이라는걸 티나게 느껴지게 합니다.

 

반전에 대한 암시를 나타내는 부분은 성의있게 처리하면서도

 

정작 반전 부분은 중요하지 않게 보이죠.

 

 

감상자는 이렇게 생각하게 됩니다.

 

'이게 분명히 반전이지만, 뭔가 다른게 있는것 같아. 확실히 말할수는 없지만 뭔가가 있어'

 

말하자면 감상자 자신이

 

1. 생각의 왜곡을 치유하는 결말

 

1을 은연중에 거부하게 하는, 감상자 자신을 생각의 왜곡을 가진 상태로 이끕니다.

 

 

이 지점에서 이 영화는 1도 아니고, 2도 아닙니다.

 

1이라면 휴먼 드라마가 되겠고

 

2는 유희가 될 가능성이 크지만

 

 

셔터 아일랜드는 어딘가 완전히 매끄럽진 않은 이야기를 갖고

 

감상자를 기묘한 위치로 이끌어버립니다.

 

 

 

실로 기묘한 영화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0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3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19
119 ㅂㄱㅎ 원맨 아니 원워먼쇼 불판 깝니다. [249] 데메킨 2012.11.26 8835
118 식 안하는 이효리 글을 보면서..여자란 일반적으로 그러한가요? [57] 103호 2013.07.31 6947
117 저만의 홍대 맛집 [48] 유니스 2012.10.23 6717
116 성시경이 김윤아에게 귀여운 표정을 지어보라고 하자.. [20] catgotmy 2011.07.27 6112
115 프라이머리 Caro Emerald 표절 의혹 [29] 푸네스 2013.11.05 5199
114 김영삼옹께 50대 친아들이 생겼다는 기사를 보니 새삼 김영삼옹 어록이! [14] chobo 2011.02.28 5195
113 다리 좀 덜 짧아보이는 여성 운동화 없을까요? [13] 라면먹고갈래요? 2011.03.04 4875
112 스마트폰 패턴 잠금의 부적절한 사용의 예? [7] chobo 2013.03.04 4726
111 이정도는 되어야 포비아 대왕이라고 불림 [12] chobo 2010.11.12 4452
110 [속보] 방통위, 일베 유해사이트 지정 검토 [15] Kriemhild 2012.11.13 4383
109 아이돌 애들이 "선배님", "선배님" 하는거 거슬리지 않나요? [25] 슈크림 2010.12.04 4363
108 박근혜 기자회견 했나봐요... "임기내 코스피 4000 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 [24] 아니...난 그냥... 2012.12.18 4258
107 노다메 좋아하시는 분들 [내일도 칸타빌레] 보셨나요? [17] 쥬디 2014.10.15 4035
106 [듀나인] 아기를 낳으면 필요로 하는 차의 크기? [30] 가라 2012.05.30 4017
105 [회사바낭] 부장님의 오지랖으로 이직의 욕구가 활활...... [14] 가라 2012.06.05 3957
104 20대초반에 만난 사람과 결혼하신 분들은 참 축복받으신 듯 해요 [10] 사과씨 2012.02.03 3888
103 이 배우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14] pingpong 2010.10.24 3798
102 토요일 낮, 이대앞에서 수원 경희대까지 가는 제일 빠른 방법이 뭘까요? [33] 로테 2010.10.20 3796
101 (속보) 김무성이 명예의 전당에 올랐습니다. 김무성 "대화록 본적 없다" [8] chobo 2013.11.13 3762
100 요즘 미국 웹사이트에서 돈다는 짤방, 삼성, 애플 그리고 노키아. [4] chobo 2012.08.29 375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