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은 아래 주소로 가시면 보실 수 있읍니다.

 

http://www.abc.net.au/religion/articles/2011/07/26/3030861.htm

 

항상 그렇듯이, 지젝의 이 글도 기존의 글을 대부분 재활용한것입니다만 지젝의 글을 많이 보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올립니다.

 

 

-----------------------------------------------------------------------------------------------------------------------------------------------------------------------------------------------

반 이민주의 정치 :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주의

 

최근의 사건- 예를 든다면 집시의 프랑스로부터의 추방, 독일에서의 국수주의와 반이민주의의 부흥, 노르웨이에서의 학살-은 서부 및 동부유럽에서의 장기에 걸친 정치 공간의 재배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최근까지,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유권자의 다수를 대표하는 두 개의 주요정당- (기독신민당, 자유보수당, 인민당과 같은) 중도우파 정당과 (사민당, 사회당과 같은 ) 중도 좌파정당이 주도권을 쥐고 (생태주의당, 공산당과 같은) 군소 정당이 소수 유권자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동유럽 뿐만 아니라 서유럽에서의 최근의 선거 결과는 다른 양극화의 출현의 징후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예를 든다면 낙태, 게이의 권리, 종교적 그리고 인종적인 소수자에 대한 관용과 같은) 자유주의적인 문화 주제와 더불어 글로벌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하나의 압도적인 거대정당이 존재한다. 이의 반대편에는 점점 강력해지고 있는 반이민주의 포퓰리스트 정당이 있으며 주변부에 공개적으로 신파시스트 집단을 거느린다. 이러한 것의 가장 좋은 예는 폴란드이다. 폴란드는 과거 공산주의의 소멸 이후 주요 정당은 수상인 도널드 터스크의 “반 이데올로기적인” 중도 자유당과 카진스키 형제의 보수 기독교 법과 정의당이다.

 

비슷한 경향이 우리가 목격한 바와 같이 노르웨이. 네덜란드, 스웨덴, 헝가리에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어떻게 핵심에 다가갈 것인가??

 

복지국가로 유지된 수십년 동안의 희망 이후, 재정 삭감은 일시적인 것으로 판매되었고 사물들은 곧 정상화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유지될 때, 우리는 위기, 혹은 긴급 경제상황이 영원한, (복지를 축소하고, 건강과 교육 서비스를 감축하고, 직업을 더욱 비정규화하는) 모든 종류의 내핍 수단을 사용하는 새로운 시대로 입장하게 된다. 위기는 생활 방식이 되고 있다.

 

1990년대 공산정권의 몰락 이후 우리는 국가 권력의 실행의 주된 형식이 탈정치화된 전문가 행정과 이해관계의 조정이 되는 새로운 시대로 입장했다.

 

열정을 이러한 종류의 정치로 인도하는 유일한 방법,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동원하는 유일한 방법은 공포를 통해서다. 이민자에 대한 공포, 범죄에 대한 공포, 신 없는 성적 타락에 대한 공포, (높은 세율과 통제라는 부담을 가지는) 과도한 국가에 대한 공포, 생태적 파국에 대한 공포, 그리고 성 희롱에 대한 공포 말이다(정치적 공정성political correctness은 공포의 정치의 전형적인 자유주의적 형식이다).

 

이러한 정치는 항상 편집증적인 군중에 대한 조종에 의지한다- 공포에 질린 남녀에 대한 공포스러운 결집 말이다. 바로 이것 때문에 새천년의 첫 10면에서 가장 큰 사건이 반이민주의 정치가 주류에 편입되고 결과적으로 그것을 주변부의 극우 정당과 연결한 탯줄을 끊어버렸던 순간이 되었다.

 

자신의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 프랑스에서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네덜란드에 이르는 주요 정당들은  이민자들이 그들을 맞이하는 나라를 정의하는 문화적 가치에 적응하여야 하는 손님일 뿐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을 이제 수용한다. “여기는 우리나라다. 사랑하거나 아니면 떠나라”가 메시지인 것이다.

 

진보적인 자유주의자들은 물론 이러한 포퓰리즘적인 인종주의에 공포를 느낀다. 그러나 조금만 더 자세히 본다면  그들의 다문화주의적인 관용성과 차이에 대한 존중이 이민에 반대하고 다른 사람들과 적절한 거리를 두고 유지하는 자들과 얼마나 공통점을 가지는지 알게 된다. 자유주의자들은 말한다. “타자, 좋습니다. 나는 그들을 존중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나만의 공간을 너무 침범해서는 안됩니다. 그 순간, 그들은 나를 불편하게 합니다-나는 약자에 대한 우대조치affirmative action를 전적으로 지지합니다. 그러나 나는 시끄러운 랩뮤직을 들을 준비가 전혀 되어있지 않습니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중심적인 인권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은 “불편해지지 않을not to be harasseed 권리”, 즉 타자에 대하여 안전한 거리를 유지할 권리이다. 실행이 저지되어야 할 인명살상을 계획한 테러리스트는 법의 지배로부터 면제된 텅 빈 공간인 관타나모에 소속된다. 그리고 근본주의 이념을 가진 자들은 그가 증오를 전파했다는 이유로 침묵하여야 한다. 그러한 사람들은 나의 평화를 방해하는 유해한 주체들이다.

 

오늘날의 시장에서 우리들은 유해 요소가 제거된 일련의 상품을 발견한다. 카페인 없는 커피, 지방 없는 크림, 알콜 없는 맥주 등등. 그리고 목록은 계속된다. 섹스 없는 가상 섹스는 어떤가? 사상자 없는 전쟁이라는 -물론 우리 측 이야기다- 콜린 파웰의 교전 원칙은 전쟁 없는 전쟁 아닌가? 전문가들의 행정 기술이라는 우리시대의 정치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정치 없는 정치 아닌가?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오늘날의 관용적인 자유 다문화주의를 타자성이 박탈된 타자-카페인 없는 타자-대한 경험로 이끈다.

 

이러한 중화의 메커니즘은 1938년에 로버트 브라지야크Robert Brasillach가 가장 잘 정식화했다. 그는 프랑스의 파시스트 지식인이었는데 자기 자신이 “온건한” 반유대주의자라고 생각했으며 합리적인 반유대주의의 공식을 고안했다.

 

“우리들은 영화를 보면서 절반은 유대인인 찰리 채플린에 갈채를 보낼수 있으며 완전한 유대인인 예후디 메뉴인에 대해서도 갈채를 보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무도 죽이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떠한 학살의 실행도 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또한 우리는 예측이 불가능한 본능적 반유대주의 행동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합리적인 반유대주의를 고안해 내는 것임도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이민자들의 위협”을 다루는 우리들의 정부의 방식과 유사하지 않는가? 그들은 직접적인 포퓰리스트 인종주의를 “비합리적”이고 우리의 민주주의적 기준에 수용될 수 없다고 것으로 정당하게 거부한 후, 인종주의적 방어수단을 “합리적으로” 지지한다.

 

혹은 오늘날의 브라지야크로서 그들중 일부인 사민주의자들은 우리에게 말한다. “우리들은 아프리카계 스포츠맨, 동유럽계 스포츠맨, 아시아 의사, 인도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에게 갈채를 보낼 수 있습니다. 우리들은 아무도 죽이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들은 어떠한 학살도 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또한 우리는 항상 예측불가능하고 폭력적인 반이민주의 방어수단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합리적인 반이민주의 방어를 고안해 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이웃의 독성에 대한 중화라는 이러한 환상은 직접적인 야만주의로부터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주의로의 명확한 여정을 암시한다. 그것은 자신으 이웃을 사랑하라는 기독교적인 사랑으로부터 야만적인 타자와 맞선 우리 부족에 대한 이교도적 특혜로의 퇴행을 드러낸다. 그것은 비록 기독교적 가치에 대한 방어로서 은폐되어 있긴 하지만 그자체가 기독교적 전통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인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27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3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980
95091 [듀나in] 카카오톡 차단하면 상대한테 메시지 안 오나요? [2] smiles 2011.08.11 4185
» 슬라보예 지젝의 최신 글 "반이민주의 정치: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주의" 입니다 [3] zizek 2011.08.11 1812
95089 청소 로보트 Cleaning Robots [8] Q 2011.08.11 2829
95088 정말 너무 달다고 느낀거 뭐 있으신가요 [29] 가끔영화 2011.08.11 3543
95087 꿈과 희망의 니케이 225 차트 [3] catgotmy 2011.08.11 1793
95086 강호동은 jTBC행, 나영석 피디는 CJ E&M행이네요. [11] 노란잠수함 2011.08.11 5610
95085 은둔자도 카카오톡 쓸만한가요? [8] 변태충 2011.08.11 2546
95084 자기가 쓴 글에 달린 댓글에 댓글달기 [18] 나으존재야 2011.08.11 2258
95083 마익흘의 Seoul Subway Song [2] 그리스인죠스바 2011.08.11 1025
95082 현재 가장 고대하고 있는 게임 결국 예약 했어요. [7] 외팔이 2011.08.11 1702
95081 카우보이 & 에일리언: 1+1이 1보다 작을 수도 있습니다;; [6] 폴라포 2011.08.11 1971
95080 하지말라면 더 하고 싶어지는 성격 [13] 화양적 2011.08.11 2473
95079 무더운 요즘 지른책 [2] 무비스타 2011.08.11 1476
95078 [듀나인] 혹시 이 영화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3] 아모르 파티 2011.08.11 866
95077 기춘씨에게도 봄은 오는가 [5] elnino 2011.08.11 2213
95076 여러 가지... [9] DJUNA 2011.08.11 2225
95075 어떤 영화가 과대평가 대상에 가장 많이 올라오던가요 [14] 가끔영화 2011.08.11 3028
95074 오늘 공주의 남자 [47] DJUNA 2011.08.11 2921
95073 GS-25. 위대한 피자. [8] catgotmy 2011.08.11 2916
95072 달이 좋군요. [4] 텔레만 2011.08.11 129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