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출처가 스포츠조선이라 참 거시기 하네요;

 

  [송진현 기자의 WHY?] FIFA, '비디오 리플레이 판정' 반대 이유

 

 위 제목을 클릭하면 원문 기사가 새창으로 뜹니다.

 

 위 기사에 꽤 많은 정보들이 담겨져 있는데요.

 

 축구 룰의 토대를 만들고 그 국제기준을 쥐고 있는 8명의 IFAB (국제축구평의회)의 멤버들중 4명이 축구종주국 영국(잉글랜드-웨일즈-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 소속이고

 

 8명중 6명이 동의하여야 룰이 개정될 수 있다고 합니다.

 

 

 축구의 각종 판정에서 기계장치의 도입에 대한 강한 저항이 있고 그것은 단지 피파내의 보수파들에 의해서만 옹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휴먼축구라는건 좀 손발이 오그라드는 표현이긴 하지만....피파가 4년에 한번 축구보는 사람들의 의견까지 수렴하여 축구룰을 개정하게 된다면

 

 아마 더 많은 수의 골수 축구팬들을 잃게 될지도 모른다는게 피파가 기기장치의 도입을 쉽게 하지 못하는 이유일거에요.

 

 

 아마 이런건 다른 분야의 스포츠에도 적용이 되는 문제일겁니다 (육상이나 수영같은 기록을 겨루는 스포츠는 제외하구요)

 

 심지어 피겨도 심판판정의 문제점이 많이 거론되고는 있는데,  그렇다고 컴퓨터가 채점을 하자는 주장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피겨에서 심판판정이 문제가 된다고 기계가 채점하게 하자는 의견이 나오지 않는것과 마찬가지 다소의 문제가 있어도 그런 문제를 다 안고 가보자는 발상 자체가

 

 어찌보면 스포츠다운게 아닐까 싶어요.

 

 기록경기도 그렇습니다. 그저 순수하게 기록만으로 승부를 보자고 한다면,  굳이 한날 한시에 모아놓고 딱 한번 뛰거나 헤엄치게 할게 아니라....

 

 해당되는 선수들 모두 각자 컨디션 최상일때 뛴 기록이 기기로 자동채점되어 금은동  나눠주고 선수권 주고 세계기록 세우고 그러지 않는 것도 비슷합니다.

 

 

 1.  수와레즈의 배구 블로킹은 응당한 처벌을 받았고 그 보상으로 상대방에게 패널티킥을 주게 하였습니다. 

      수와레즈에 대한 인간성이나 인격에 대한 비평은 각자 자유겠으나 이것을 축구 자체의 문제로 확대하는 논리는 좀 뻘스럽기 짝이 없습니다.

 

 2.   이와 비슷한 룰(슛동작에 반칙한 경우 자유투를 쏘게 하는거) 농구에도 있고 , 핸드볼에도 똑같이 있고, 하키 등등 대부분의 구기종목들은 그러합니다.

      아마도 신체의 어느 한 부분을 특정지어 사용하게 하는 스포츠들 중에 유일하게 축구만이 골키퍼를 제외하고는 팔을 못쓰게 하면서

      발과 다리 위주로 쓰게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핸드링이라는 반칙이 있는 것이고 그에 대한 강력한 응징이 있고요.

 

 3.   팔과 손에 비하여 정확도가 여실히 떨어지지만 파워면에서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발과 다리를 위주로 경기를 하는 탓에 우연적인 상황들이 많이 발생이

       됩니다.  (그런 위치에서라면,  농구나 핸드볼의 경우 백발백중으로 골이 들어가야하지만 안들어 간다던지) 그리고 그런것들도 축구의 매력 중의 하나로 오랜시간을

      거처 형성이 되어 왔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5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9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92
185 스포일러 없고 짤막한 '화차' 잡담 [12] 로이배티 2012.03.20 2725
184 베리드 봤습니다(스포잔뜩) [6] 비오는날 2010.12.08 2708
183 [듀9] 도둑들에서... (약스포) [9] duckling 2012.08.02 2705
182 [스포일러] 뒤늦게 수요일자 로열 패밀리 짤막 잡담. [10] 로이배티 2011.03.31 2690
181 박민규 - 핑퐁 [8] catgotmy 2010.10.25 2689
180 [초바낭] ..... 아쿠아 슈즈 [4] eple 2010.08.15 2677
179 바낭)아이폰4깨진 액정 아직도 못 고쳤어요. [3] 비엘 2010.09.26 2665
178 바낭)자신이 가장 초라해질 때 [15] 가끔영화 2012.01.05 2655
177 갤럭시 터치? [3] Tamarix™ 2010.06.16 2653
176 이거 보고 제발 분발들좀 하세요 [13] pingpong 2010.10.28 2638
» [축구] 여러가지 오심, 반칙등과 관련된 논란에 대한 [10] soboo 2010.07.05 2610
174 박근혜 대선 출마의 긍정적 측면 [5] 푸네스 2012.12.18 2591
173 구내식당 밥 만족하시나요? [15] chobo 2012.06.07 2585
172 [바낭] 애잔함이 강물처럼 흐른 오늘 뮤직뱅크 잡담 [2] 로이배티 2012.04.28 2584
171 (기사링크) 각하, 북극시찰.."녹색성장 정신으로 왔다" [9] chobo 2012.09.10 2565
170 영국의 흔한 5살 아기.avi [7] 닥터슬럼프 2011.11.17 2543
169 우리는 이것의 측면에서 절대 새누리당을 이길 수 없습니다. [3] 데메킨 2012.11.24 2542
168 친한 친구가 자신이 믿는 종교를 강권한다면... [5] 고인돌 2010.07.28 2538
167 더운데 금자 눈 [4] 가끔영화 2011.07.04 2537
166 [바낭] 오늘까지의 감자별 잡담 [9] 로이배티 2013.10.31 25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