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32개국이 의무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처럼 벌칙에 불복하면 강제력이 발동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벌칙만 있고 강행규정은 없는 나라도 있다. 2006년 현재 세계 32개국이 의무투표제를 시행중이며 그중 19개국은 강행규정을 가지고 있다.[1] OECD 국가 중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그리스, 스위스, 터키가 강행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 이탈리아는 강행규정은 없이 벌칙만 있다.

벌칙과 불편을 부과하는 실태는 나라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1. 과태료: 오스트레일리아는 20AUD, 아르헨티나는 10-20 페소, 스위스는 3 스위스프랑, 키프로스는 300 키프로스 파운드 등을 부과한다.
  2. 참정권 박탈: 벨기에에서는 15년 동안 4회이상 투표에 불참하면 투표권이 10년간 박탈된다. 싱가포르에서는 불참자는 유권자 명부에서 지워지고, 복구를 원하는 사람은 불참에 대한 합당한 사유를 제시하면서 투표권을 다시 신청해야 한다.
  3. 기타 공공서비스 제한: 그리스는 여권과 운전면허증 발급을 제한한다. 벨기에는 공공기관 채용을 제한한다. 페루에서는 선거에 참여했다는 인증서를 수개월 가지고 다녀야 한다. 그것이 없으면 여러 가지 불편을 겪는다. 볼리비아에서는 석 달 동안 자기 은행계좌에서 봉급을 인출할 수 없다.

강행규정이 있는 나라

의무투표제를 시행하면서 투표불참자에게 벌칙을 정하고 있는 나라는 다음과 같다.

  • 아르헨티나 : 18세~70세 사이 모든 시민 대상. 70세 초과는 적용되지 않는다.
  • 오스트레일리아 : 18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 대해 지역, 주, 국가 차원의 선거에 등록된 선거인.
  • 벨기에 : 1893년에 보통선거를 실시하면서 동시에 의무투표제를 도입했다. 당시 투표율이 30-40%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투표불참자는 법원으로부터 사유를 소명하라는 편지를 받고, 소명한 사유가 합당하다고 인정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처음이면 25-50유로지만 두 번째에는 50-125유로로 액수가 커진다. 15년 동안 네 번 투표에 불참하면 그 후 10년 동안 투표권이 박탈된다. 그러나 실제로 처벌을 받는 사람 수는 많지 않다. 예컨대 1985년 불참자 450,000명 가운데 과태료가 부과된 사람은 62명에 그쳤다. 무엇보다 법원의 업무가 폭주해서 이 사무의 우선순위가 높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기에의 투표율은 90%를 넘는다. 최근 30년 사이에 최고 94.6%(1981), 최저 90.6%(1999)이다. 네덜란드가 의무투표제를 폐지한 1970년 이후 벨기에에서도 폐지론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실제 폐지할 정도의 다수 여론이 모이지는 않고 있다.[2]
  • 브라질[3] : 16세~18세 사이 시민과 70세 초과의 시민은 해당되지 않는다.
  • 칠레 : 선거인 등록자 자율 선거
  • 키프로스
  • 콩고 민주 공화국
  • 에콰도르 : 18세~65세 사이 모든 시민에게 적용. 16~18세 사이 시민과 문맹자, 65세 초과의 시민은 해당되지 않는다.
  • 피지
  • 리히텐슈타인
  • 나우루
  • 페루 : 18세~70세 사이 모든 시민에게 적용. 70세 초과의 시민은 해당되지 않는다.
  • 싱가포르
  • 스위스 : 샤프하우젠 주에서 적용.
  • 터키
  • 우루과이

의무로 정하기만 하고 강행규정은 없는 나라

의무투표제를 채택했지만 강행 규정이 없는 나라도 있다.

 

의무투표제를 시행했다가 폐지한 경우

 

네덜란드는 1970년에 의무투표제를 폐지했는데, 그 후 투표율이 약 20%포인트 하락했다. 베네수엘라는 1993년에 의무투표제를 폐지했는데, 그 후로 투표율이 30%포인트가량 떨어졌다

 

 

 

프랑스 - 기권자 벌금
벨기에 - 기권자 벌금형, 선거인명부말소, 공직제한
싱가포르 - 모든 국민 의무제(투표율 92%), 기권자는 명부말소, 벌금형
호주 - 벌금형, 3회 이상 불참시 감옥행 (투표율 98%)
그리스 - 70세미만 의무적, 불참시 1월이상 1년이하 금고, 운전면허 취득, 비자발급 제한
터키 - 벌금형(투표율 87%)

 

정권교체가 되면 단계적인 의무투표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5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0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5
90040 김어준 총수 남녀차별로 구설수 [11] management 2011.10.26 5163
90039 달시 파켓씨도 투표를 했네요. [2] amenic 2011.10.26 2158
90038 이 dvd 영어자막 유무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 무비스타 2011.10.26 789
90037 투표 안하시겠다는 분들 이해가 안가요.. [31] 도야지 2011.10.26 2743
» 타 선진국에서는 투표 안 하는 사람에게 어떤 처분을 내리는가 [17] management 2011.10.26 2504
90035 서울시장선거 - 구별투표율 감상 [7] soboo 2011.10.26 2837
90034 불투표할 권리와 야권 단일후보에 대한 생각 [3] 파라파라 2011.10.26 1004
90033 Why Vote? 사람들이 투표하는 이유는 뭘까? [1] 도야지 2011.10.26 686
90032 오늘 우리가 투표할 수 있는 것은 어제 누군가 피흘렸기 때문입니다 [2] 할루키게니아 2011.10.26 1076
90031 [구인] 듀게에 혹시 processing 다룰줄 아는 분 계신가요? [1] 김콩 2011.10.26 697
90030 어떤 할머니 + 맛있는 넛트 [8] 무독성 2011.10.26 1588
90029 [해외뉴스] 간절한 눈빛" 생매장 당한 견공, 극적 구조 (사진) [6] EEH86 2011.10.26 1690
90028 투표패션, 자고 일어나자마자 투표하러 간 모범시민 김경진 [3] 도야지 2011.10.26 2969
90027 근데 투표소내 촬영 금지라면서 정치인들 투표하는건 왜 찍나요? [2] 2011.10.26 1617
90026 10.26 선거- 오후 4시 현재 투표율(퍼옴) [1] 러브귤 2011.10.26 1489
90025 "입술을 깨물며 닥치고 투표한 내 친구들을 지지한다." [4] 사이비갈매기 2011.10.26 1904
90024 서울시장 당선자 100% 확실한 예언 [8] chobo 2011.10.26 3845
90023 투표안할권리는 없다고 굳이 글을 쓸필요는 없지않나요??????????????? [7] 여은성 2011.10.26 2171
90022 1.박원순 캠프 "범여권 결집···비상상황이다" 2.촘스키와 하워드 진은 오바마를 찍은 걸 후회하고 있을까? [19] mithrandir 2011.10.26 3134
90021 PC 성능 확인하기 [11] 달빛처럼 2011.10.26 178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