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궁금하네요. 지금 곽노현 교육감이 구속된 이유가 선거 후에 박명기 교수에게 돈을 주겠다, 자리를 하나 주겠다 뭐 이런 약속을 했다는 건데요... 과거 역사를 생각해보면 이런 거래는 많았던 것 같아서 말이죠. 그땐 규제하는 법이 없었나 싶기도 하고요.

 

저로서는 기억이 가물가물한 얘기지만 김영삼이 3당합당 하면서 나중에 내각제로 개헌하기로 하는 각서를 써준 사건도 있었다죠? 그게 보도되자 그런거 없다고 뻥쳤다가, 증거까지 나오자 "그거 무효"라고 하고 어물쩍 넘어가버렸다... 뭐 그런 이야기로 기억합니다. 정치인으로서는 대단히 치명적인 약속 파기지만, 그 피해자가 어쩌다보니 군사독재 잔당들이라 국민들도 그냥 통쾌해하고 넘어가는 분위기? 오히려 땡깡으로 노태우를 압박해 내각제 개헌 포기를 받아낸 김영삼이 칭송받는 분위기 조성.

 

제가 확실히 기억하는 97년 대선때 김대중 대통령은 김종필과의 이른바 DJP 연합을 통해 대통령이 되었고, 그래서 초대 총리 자리를 김종필에게 주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국회 인준이 잘 안되자 총리 '서리'라는 근본없는(혹은 근본없다고 주장되는) 이름까지 줘가며 결국 JP에게 한 자리를 주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선거 운동 당시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과 더불어 인기가 치솟은 정몽준과 단일화를 했는데, 이게 대선 전날에 깨져버리죠. 나중에 쓰여진 회고록에 보면 당시 정몽준측은 당선 후에 주요 권력기관 및 공기업들 사장 자리를 정확히 반 잘라서 자기네한테 인사권을 달라고 했었다는군요. 노무현은 거절했고, 연합이 깨질뻔 하다가 겨우 이어붙였는데 대선 전에 결국 파투.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무현은 당선되었으니 정몽준은 좀 아쉬웠으려나요. 당시 정몽준은 인사권 배분을 문서로 약속해달라고 했다는데 그거 써놨으면 노무현 대통령은 지금의 곽노현 꼴 났을지도.

 

결국 선거 후에 약속했던 자리를 제대로 준 경우는 생각해보니 DJP 연합 뿐인가요 ㅡㅡ; 당시에도 대놓고 초대 총리는 김종필이라는 약속이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땐 아마 그걸 규제하는 법이 없었던 모양입니다. 생각해보니 그때도 내각제 이야기도 있었던 걸로 기억나는데 그건 안지켰군요. ㅎㅎ 애증의 내각제. ㅎㅎ

 

뭐 이런 두서없는 이야기를 한 이유는... 어제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가 되었지만.. 거기에 힘을 보탠 진보진영이 앞으로 뭘 잘 찾아먹을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되어서 말이죠.. 지금 FTA 처리를 두고 벌써 민주당과 민노당이 삐걱거리는 걸 봐서는, 진보세력이 강력하게 원할 선거제도 개선 등을 약속받고 심지어 시키게 하는 게 과연 가능할까 싶네요.. 당선을 기뻐하기도 전에 걱정거리부터 생기는군요. 에효.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