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서 사귄 프랑스인 친구 3명과 이런 저런 얘길 하다보니 7시간을 넘게 얘기했어요;

영화 얘긴 밑에 게시물에 썼으니, 제외하고, 한국 문화, 프랑스 문화 등 여러가지 재밌는 것들을 공유해보려고요.

참고로 여기 대부분의 얘기는 영화작가를 꿈꾸는, 영화, 문학, 음식 등을 좋아하는 프랑스 남자애가 한 말이예요.

 

 

# 서울, 부산, 경주, 진주, 전주, 속리산을 여행했는데, 제일 좋았던 곳이 어디냐고 묻자,

프랑스 남자애의 대답은 의외였어요. 서울이래요.

 

# 자기가 둘러본 자연경치 중에선 북한산이 제일 좋았대요.

혼자 북한산 꼭대기에 올라와서 경치를 내려다봤는데 무척 좋았다고.

아마 단풍도 좀 물들었으니 그것도 한 몫을 한 듯 해요.

서울에 30년 남짓 산 저는 왜 북한산을 한 번도 안 가봤을까요.

 

# 서울에서 가장 좋았던 장소 또한 의외였어요. 종묘래요.

할아버지들이 모여 있고, 신발 벗고 양말만 신은 채로 벤치에 발을 올리고 앉아 있는 모습이나,

남의 눈치 안 보고 편하게 앉아서 바둑을 두고 있는 모습이 그렇게 보기 좋았대요.

흑백으로 사진을 여러장 찍었던데, 저도 보니 이쁘더라고요.

왜 전 종묘를 그냥 노인들만 가는 아무도 가지 않는 곳이라 생각했을까요.

제가 전 그런 풍경에 대해 별 신경 안 쓰고 지나친다 했더니,

그건 자기들이 파리 시내에서 체스를 두고 있는 사람들을 신경 안 쓰고 지나치는 것과 똑같대요.

 

# 또 의외였던 것은, 서울은 살기 편한 곳인 것 같다래요.

음식도 비싸지 않고, 맛있는 것도 많고, 밤 늦게까지 문 여는 곳도 많고, 노는 문화도 잘 돼 있고,

있을 거 다 있으면서 말예요. 그래서 제가 실상,

한국 사람들은 그들의 삶이 편하거나 쉽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매일매일 바쁘고 서로 경쟁적이며, 주말에 하루 놀기 위해 밤을 샌다 했더니.

그럼 이 주변에 있는 이 사람들은 뭐냐고 되묻더군요; (그 날은 홍대의 주중 저녁이었거든요.)

그리고 '우린 너무 바쁘다'란 말은, 일본, 중국, 홍콩, 프랑스 사람들 모두 그렇게 생각한대요.

 

# 저번에도 적었었지만, 한국음식을 다들 좋아해요.

한국 바베큐(삼겹살 등등)에 중독되었다라는 표현을 하더군요.

심지어 전주에서 '가맥'이라는 문화를 직접 체험했는데 좋았다고요.

가맥이란 일반 슈퍼에서 술을 파는 건데 마른 생선 같은 걸 안주로 준다고요.

저도 얼마 전에 알은 그 단어와 그 문화를 얘넨 직접 체험하고 설명해주더라고요.

그리고 심지어는, 전주 비빔밥 뿐만 아니라 진주(경상도) 비빔밥도 먹었다면서, 정말 맛있었다고요.

 

# 저도 해외에 가면, 그 나라에서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꼭 먹으려 하는데,

얘네들도 그렇더라고요. 술집에 가더라도 꼭 한국 맥주나 소주 막걸리를 먹어요.

그리고 한국 맥주가, 그다지 나쁘지 않은가봐요.

 

# 한국, 일본, 중국 음식을 비교하는데, 그 프랑스 남자애는 중국 음식은 별로라고.

그래서 제가 그건 아마도 좀 비싼 음식점에 가지 않아서 그런 것 같다고 했긴 했지만.

아무튼, 그는 중국 음식 보단 한국과 일본 음식이 좋대요.

 

# 한국 영화에 나오는 욕설이나 신경질 부리는 대사들이 참 재밌나봐요.

'ㅆㅂ'의 의미는 대충 알더군요. 근데 궁금해 하는 게 있었어요. '씨~ 쯧~'이요.

쯧~ 하고 혀를 입천정에 차면서 내는 소리 있잖아요.

그건 뭔가 짜증나는 일이 생겼을 때 내는 소리라고 했더니 굉장히 재밌어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부탁해서 프랑스어로 욕설 몇 개를 들었는데, 듣기에 전혀 욕설스럽지 않더군요;

 

# 전주에서 한옥집 두 군데에서 잠을 잤는데, 한 군데는 바닥이 미친 듯이 뜨거웠다고요.

40-50도 정도 되는 거 같았고, 6번은 잠을 꺤 것 같대요.

 

# 찜질방 문화를 꼭 체험해보고 싶었는데 못 해서 엄청 아쉽대요.

 

# 한국의 노래방 문화도 좋아하더라고요. 홍대의 외부에서 다 보이는 그런 구조에

재미나게 놀고 있는 모습이 굉장히 흥미로웠나봐요.

특히 여자애들이 복층 구조로 된 윗층에서 턱에 걸터 앉아 다리를 앞뒤로 흔들흔들 거리는 모습이 참 귀엽대요.

 

# 프랑스는 식당 같은 곳에서 음악을 틀기가 거의 어렵대요. 저작권 문제 때문에요.

자신이 구입한 CD라 하더라도 그걸 공공장소에서 트려면 별도 세금을 내야 한다고요.

정말 그들 스스로 이해할 수 없는 그들의 문화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한국에서 이렇게 쉽게 음악을 트는 게 좋고 부럽대요.

 

# 마찬가지로 길거리 음식도 프랑스에선 거의 없대요.

한국 처럼 길거리 곳곳에 음식이 있는 문화가 좀 낯설기도 하대요.

 

# 프랑스 여자애는, 한국 여자들이 자기의 얼굴 몸 전체를 무표정하게 쳐다보는 게 있다면서,

기분이 썩 좋지 않을 때도 있대요. 이해할 수가 없다더군요.

제가 상대의 패션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그런 거 같다고 했는데, 그리 공감하진 않더라고요.

 

# 이것도 좀 의외였는데, 의외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인들에게 직접 다가가서

길 가르쳐드릴까요 하고 먼저 묻는 경우가 꽤 있었나봐요.

심지어 어떤 남자는 좋지 않은 영어 실력으로, 몸짓 손짓으로 정성껏 알려주기도 하고요.

이런 모습에 정말 감명을 많이 받았다고요.

 

# 위와 같은 먼저 다가오는 친절함을 일본과 한국에서 겪었지만, 중국에선 겪지 못 했다고요.

 

# 하지만, 불만도 있었대요. 도대체 왜 몸을 부딪치는데 미안하단 말을 안 하냐고.

그거에 대해 전, 한국사람은 늘 바삐 움직이고 빨리빨리가 몸에 배어서

그런 건 그냥 생략하게 되거나 신경 안 쓰는 거 같다고 했어요.

 

# 자기들은 보통 저녁을 먹기 전에 간단히 술을 하고 그 담에 저녁을 먹는데,

한국은 저녁을 먹고 그 담에 2차로 술마시러 간다고 그게 자기들과 반대라네요.

 

# 홍대의 거리가 도쿄의 하라주쿠와 비슷하대요. 그 언덕진 큰 길 거기 말하는 거 같아요.

 

# 자기가 생각하기에 초콜릿의 베스트는 벨기에보다는 스위스래요. Lindt 사요.

그리고 프랑스의 Jean-Paul Hevin 사도 추천하면서 온라인 샵 주소를 알려주더군요.

 

# 길거리에 적혀진 잘못된 영어나 프랑스 표현들이 그들은 웃긴가봐요.

제일 웃겼던 건 Jang Pierre 라고 적혀진 어느 간판이었대요.

 

# 박찬욱이 새 할리우드 영화를 만들고 있고, 주인공이 니콜 키드먼이라고 하자,

니콜 키드먼? 하면서 왜 하필 니콜이냐는 듯한 표정을 짓더라고요.

KIDMAN님껜 죄송하지만, 니콜 키드먼이 박찬욱의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으로 전 받아들였습니다.

 

#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나라의 삶에 대해서 의외의 불만을 갖고 있고,

다른 나라의 삶에 대해 의외의 부러움을 갖고 있다는 거요.

그리고 팬시하게 꾸며진 곳보다는 소박하고 정겨운 그런 종묘 같은 곳이 외국인 눈엔 좋아 보인다는 거.

 

 

나중에 파리 가게 되면, 잠자리 제공 + 잘 알려지지 않은 곳들을 소개시켜준다고 약속하면서, 헤어졌네요.

마지막 밤이라서 되게 슬프다고 그러더군요. 파리 가기 싫어하는 거 같더라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0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0
89787 헛갈리는 두 사람 2.5탄 [4] 자본주의의돼지 2011.10.27 1688
89786 샴양라면이 요즘 이상한 모험을 합니다. [24] 자두맛사탕 2011.10.27 5539
89785 헛갈리는 네 사람까지는 아니고... [6] DJUNA 2011.10.27 1740
89784 한국영화를 사랑하는 프랑스 친구의 한국영화 최고작과 그가 추천해준 프랑스 영화와 문학. [16] 프레데릭 2011.10.27 4230
89783 헛갈리진 않지만 한 형제 같은 느낌의 사람들. [8] 자본주의의돼지 2011.10.27 2900
89782 으악! 루나가 왜 뜬금없이 뮤지컬 "금발이 너무해"에 출연하나 했더니... [2] 눈의여왕남친 2011.10.27 2958
89781 같은꼴 배우들 [2] 가끔영화 2011.10.27 1299
89780 [카덕] 카라 새 앨범(in 일본) 사진 몇 장 [3] 로이배티 2011.10.27 2078
89779 저도 닮은 사람들 [1] 자두맛사탕 2011.10.27 1034
89778 이 노래 아시는 분. [4] 트뤼프 2011.10.27 795
89777 닮은 꼴 말고 복제인간 [2] Johndoe 2011.10.27 1268
89776 월동준비하셨나요?( 독감 예방 주사, 히트텍) [11] 자본주의의돼지 2011.10.27 3058
» 프랑스인 친구와의 대화. 그들이 느낀 한국 문화, 프랑스 문화, 여러가지 [21] 프레데릭 2011.10.28 5240
89774 유니클로에서 쇼핑했어요 [2] gomorrah 2011.10.28 3070
89773 프렌즈 위드 베네핏..을 보고. [2] 라인하르트백작 2011.10.28 1919
89772 치즈인더트랩 다 봤어요. 웹툰 추천해주세요. [12] no way 2011.10.28 3085
89771 오늘 뿌리 깊은 나무 [5] misehan 2011.10.28 2507
89770 [듀나님] 애플 제품 iOS5에서 사파리 이용시 듀게 로그인 안되는 현상 [10] no way 2011.10.28 1279
89769 아따맘마 중에서 ㅎㅎ [2] 밍고 2011.10.28 1338
89768 [듀나in]외화 제목을 찾고 있습니다. [6] 원한의 거리 2011.10.28 12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