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가 나온 걸 보고 급하게 번역해봤어요. 혹시라도 잘못된 게 있으면 지적해주세요. 

원문은 http://www.nytimes.com/2011/11/02/world/asia/lampooning-leaders-talk-show-channels-young-peoples-anger-in-south-korea.html?_r=1&pagewanted=all%3Fsrc%3Dtp&smid=fb-share


지도자를 풍자하며 젊은이들의 분노를 전하는 토크쇼




서울의 라디오 토크쇼 나는 꼼수다 주간 팟캐스트 녹음 직전의 출연자들. 좌로부터 김용민, 정봉주, 김어준 그리고 주진우. “I’m a petty-minded creep”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이 집단의 이름은 한국의 지도자 이명박 대통령을 가장 고약하게 비판하는 별명으로부터 가져왔다.
최상훈 기자, 2011년 11월 1일

서울: 매주 한 번 씩 네 사람은 빌린 스튜디오에 둘러 앉아 웃고, 비속어를 남발하며 한국의 지도자 이명박 대통령을 조롱한다. 그리고 그들은 그 대화를 녹음해서 온라인에 올린다.

이 방송은 한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팟캐스트로, 각 회는 200만 다운로드를 기록 중이다.

네 사람은 그들의 방송을 이명박 대통령, 혹은 “가카”에게 “헌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방송 제목을 한국의 지도자 이명박 대통령의 가장 고약한 비판적 별명으로부터 가져온 “나는 꼼수다” 혹은 “I’m a petty-minded creep”로 쓴다.

“우리는 가카에게 제기된 모든 의혹들을 드러냄으로써 사람들을 즐겁게 해요. 우리는 그러한 의혹을 지지하는 자료들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우리의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이 방송의 리더인 김어준(43)은 말한다. “우리는 가카의 보수정권이 사람들을 쫄게 만든다고 생각해요.”

김어준은 계속 이어간다. “그래서 우리는 청취자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쫄지 마!’ 우리가 내일 감옥에 가더라도 할 말은 하자!’”

“쫄지 마!”라는 구호가 적힌 팻말을 든 젊은이들이 지난 토요일 서울의 한 1600석의 콘서트홀을 가득 메웠다. 이것은 김어준과 세 동료가 함께 주최한 그들의 첫번째 오프라인 “콘서트”였다. 콘서트가 시작하자, 팬들은 비명을 질러댔고, 그들의 영웅들의 이름을 연호했다.

이 사람들의 인기는 치솟는 물가와 불안한 취업 전망 그리고 이명박과 한국의 보수적인 주류 언론들에 대한 불신 가운데 놓인 한국의 젊은 사람들에게 정치적인 각성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최근의 증거이다. 10월 26일 서울시장선거의 출구조사에 따르면  무소속 야당 후보가 20대, 30대 40대에서 정부의 지원을 받는 후보에 비해 거의 세배의 표를 획득했다.

“그 방송은 정부에 대한 우리의 분노를 전해요. 카타르시스를 느껴요.” 이 방송팬인 34세의 윤해영이  이 방송에 대해 한 말이다.

다듬지 않은 수염과 헝클어진 머리를 한 김어준은 1998년 정치 패러디 웹사이트인 딴지일보를 시작하면서 컬트팬들을 거느렸다. 한국에서는 나꼼수라고 줄여부르는 그의 최근 팟캐스트 방송으로 인해 그의 팀은 모든 정당들이 고려해야 할 정도의 힘을 갖게 되었다.

여당과 야당의 당대표 모두가 이 방송의 게스트로 나왔다. 야당의 두 대표가 단일화 압박을 받고 있을 때 그 두 대표는 나꼼수에서 설전을 벌였다.

가장 최근의 방송에 나꼼수팀은 철학자 김용옥을 불렀는데, 그는 방송에서 이명박이 “민족의 비극”이며 남한이 “미국의 실질적 식민지”라고 말했다. 이 방송은 이 철학자가 작년에 한국 정부가 북한의 어뢰 공격을 받은 남한의 함선이 침몰해 46명의 선원이 사망했다는 발표를 했을 때 이를  “0.0001 퍼센트도 믿을 수 없다”고 말했던 강연 실황을 다시 들려줬다.

김어준은 나꼼수를 4월에 시작했다.

세명의 동료 중에 가장 수다스러운 사람은 전직 국회의원인 51세 정봉주이다. 그는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하는 중간에 끼어들고 자기 스스로 “멍청하다고” 부르는 폭소로 모든 발언을 마무리 한다. 그는 자기가 “오랑우탄의 지능”을 가졌고, 매일 인터넷에서 자기 이름으로 검색하며 시간을 보낸다고 고백했다. 그는 자신을 “위대한 정치인이자 아름다운 영혼을 가진 그리고 치명인 매력을 가진” 사람으로 소개한다. 그는 기회가 있을 때 마다 곧 출간될 자기 책에 대해 언급을 한다.

“저는 광대입니다.” 그는 평소와는 다른 진지한 태도로 이야기를 했다. “저는 사람들의 편에 서서 말하고 행동하니까요.”

정봉주에게 “닥치세요”라는 말을 자주 하는 사람은 주간지 시사IN의 탐사 전문기자인 38세의 주진우이다. 그는 자기의 애증의 적, 한국의 가장 큰 기독교 교회의 추문을 캐내고 다니면서 “악마기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요즘에 저는 오직 한 사람만을 캐고 있습니다. 가카요.”라고 그는 인터뷰에서 말했다.

방송 중에 가끔 졸다가 걸리는 사람은 전직 라디오 시사평론가인 37세의 김용민이다. 신학대학을 나오고 “목사 아들 돼지” - 그의 아버지가 목사다 - 라는 별명을 가진 김용민은 찬송가를 개사한 이명박을 조롱하는 노래를 육중한 몸을 흔들며 힘차게 부른다. (대통령은 서울의 가장 중요한 개신교 교회 중 하나의 장로이다)

최근, 이 네 사람은 방송에 또 다른 고정 출연자가 있다는걸 깨달았다. 그것은 바로 스튜디오 안에서 커다랗게 왱왱 거리는 소리를 내는 오래된 에어컨이다. 그럴 때마다 정봉주는 “내가 얘기하니까 좀 조용히 해!”라고 소리를 지른다. 이 기계는 다른 진행자들과 마찬가지로 자기만의 팬사이트를 갖고 있다.

이 네 사람은 녹음을 하기 10분 전에 모여서 대본 없이 진행한다. 그들은 이명박과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한 선정적인 의혹들을 제기하면서  “이렇게 추측해 볼 수도 있습니다...” 혹은 “그렇다고 볼 수 있는 정황적 증거가 충분하다...” 라는 말로, 그리고 “물론, 우리는 우리 가카가 절대로 그런 일을 하실 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라는 말로 마무리를 한다.

그러나 그들이 목표를 설정하면 절대로 뻗은 주먹을 되돌리지 않는다.

주진우는 서울 시장 선거의 정부측 후보였던 나경원이 1년 회비가 1억원 혹은 9만불인 최고급 피부 클리닉을 다닌다고 밝혔다. 나경원은 피부 클리닉을 갔던 것은 인정했지만 회원은 아니라고 말했다. 부자와 서민의 차이가 이슈가 되던 선거에서 주진우 기자의 폭로는 폭발적이었음이 증명되었다. 나경원은 이 방송을 명예훼손으로 고발했고 경찰이 조사 중이다.

주진우는 최근에 이명박이 서울의 매우 비싼 땅을 아들 명의로 구입해 퇴임 후 거처로 사용할 것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보도했다. 이들의 콘서트에서 주진우는 2007년 대선 이전에 대통령과 혼외정사를 가졌다는 한국계 미국인 여성 변호사의 녹취를 공개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부동산의 구입은 확인했지만 어떠한 불법도 없었다고 이야기했다. 그렇지만 나꼼수나 주진우 기자의 보도에 대해서는 언급하기를 거부했다. 이명박의 한나라당의 대표 홍준표는 최근 방송에 나와서 “ 이 방송은 젊은이들의 분노를 분출하는데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의 김상현 교수는 이 팟캐스트의 성공은  보수적이고 이명박을 편애한다는 공격을 받는 한국의 가장 강력한 신문 셋, 그리고 정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장들이 임명된 두 개의 주요 방송국들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것의 반영이라고 말했다.

이 방송의 인기는 친북적인 내용이나 잠재적으로 명예훼손을 할 수 있는 내용을 인터넷에 올린 사람들을 기소하려는 정부의 강화된 노력의 결과이기도 하다. 정부의 비판자들은 이러한 일망타진의 목적이 사람들을 쫄게 만들려는데 있다고 말한다. 최근에 자리를 잃게 된 일련의 텔레비전과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들은 그들이 정부에 대해 비판을 했기때문에 정치적 압력을 받고 자리를 내주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지난 5월, 프리덤 하우스에서 발표한 언론 자유에 대한 글로벌 인덱스에서 한국은 “자유”에서 “부분적 자유” 등급으로 내려갔다.


“나 꼼수는 사람들의 가려운 등을 긁어준다. 사람들이 평소에 궁금해하지만 주류 언론에서 다루지 않는 것들을 말하기 때문이다.” 김상현 교수는 말한다.

대학생 신창식은 나꼼수가 젊은이들이 관심이 있는 사안들, 즉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등록금 상승이라거나 취업의 어려움 같은 것들을 다루기 때문에 좋아한다고 말했다.

34세의 정은주는 말했다. “이제 우리도 정치인, 특히 대통령을 풍자하는 프로그램이 생길 때가 되었어요. 미국 사람들이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보는 것처럼 말이죠.”

그러나 나꼼수가 비판하는 세 개의 보수 신문 중 하나인 중앙일보의 논설실장 김진국은 이 방송이 “허구와 사실, 평론과 코미디 구분을 흐릿하게 만든다. (중앙일보 칼럼 원문: "역사와 소설, 그리고 평론과 개그의 벽을 허물고 있다")”며 반박한다.

그는 자신의 기명 칼럼에서 “우리가 냉소적인 패러디와 정치 지도자들의 조롱을 보며 웃으면, 정치는 우스꽝스러운 것이 되어 버린 (중앙일보 칼럼 원문: "대통령과 집권당을 조롱하며 정치를 개그로 만든")”다고 썼다.

나꼼수의 진행자 김어준은 그의 방송에서 말하는 것들의 대부분이 “추측의 단계”임을 인정한다.

“아 그리고 맞아요. 우리는 편향되어 있어요” 헐떡이는 웃음 뒤에 비속어를 내뱉으며 말했다. “그런데 주류 언론들이 많은 것들에 대해 자기들이 보도를 안해도 되는 권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그렇게 보도되지 않은 것들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38
89287 이회창 전 대표도 외통위 소속이던데.. amenic 2011.11.02 704
89286 버슼버슼 장범준 그림도 잘그려요! [10] Paul. 2011.11.02 3072
89285 인터넷으로 책 구입 주로 어디 이용하세요? [15] nobody 2011.11.02 1861
89284 FTA 몇일 안에 강행처리 될거 같지 않으세요? [2] 놀이작 2011.11.02 1208
89283 게시판이 그럴까 내컴퓨터가 그럴까 [1] 가끔영화 2011.11.02 744
89282 삼성 "이대호 영입? 가능성은 없다" [8] DH 2011.11.02 1096
» 잉여 작렬: 뉴욕 타임즈 나는 꼼수다 기사 전문 번역 [16] 푸네스 2011.11.02 3599
89280 저, 수줍게 자랑합니다.(나꼼수 인터뷰 관련) [8] Hollow 2011.11.02 3039
89279 저도 야구 얘기 하나 [9] 감동 2011.11.02 1173
89278 ISD 악용사례인 볼리비아의 빗물통 [7] 라곱순 2011.11.02 2685
89277 [완전 바낭] 두데 윤도현일때 수요일엔.. [4] 탐스파인 2011.11.02 1245
89276 한미FTA 비준안 상정되었답니다. [6] amenic 2011.11.02 2106
89275 박찬호, 내년부터 국내에서?…첫 논의는 "긍정적 [3] 감동 2011.11.02 830
89274 요즘 페미니스트 언니(동생도 괜찮음 ;_;)들은 어디갔나요? [19] 레옴 2011.11.02 3379
89273 무한도전 우정촌 야오.. [5] catgotmy 2011.11.02 3747
89272 가을 산행 사진 [4] 아침엔 인간 2011.11.02 1738
89271 (스포) 하이킥 다음 커플 너무 충격적이네요 ㅠ.ㅠ [12] Keywest 2011.11.02 3758
89270 "전여옥 의원이 이대 출신이거든. 전여옥한테 내가 '이대 계집애들 싫어하지' 이런다고 했었다" [17] chobo 2011.11.02 4005
89269 벼룩]찬바람이 솔솔 불때 하는 소소한 뜨개벼룩 [4] ooz 2011.11.02 1321
89268 정치인들의 말실수를 볼 때마다 드는 생각 - 본인이 되게 인기 많고 친근한줄 아는듯 [4] DH 2011.11.02 165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