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페인에 2년전쯤 이경실씨가 출연한 방송을 요즘 케이블에서 재방송해주는 걸 보고 안좋은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이경실씨의 체험담은 대학교 초년 시절 술을 마시고 밤에 집에 가는 길에 인적없는 차도에서 강도를 만났는데

강도가 강간을 시도하기 시작했고 이경실씨는 필사의 발악으로 위기를 모면했지만 거의 넋이 나간채로 택시를 잡아타고

그뒤 한달이 넘게 버스나 길거리에서 다른 남자들을 보아도 다 그 남자로 보여 눈물이 나고 얼굴을 들고 다닐수 없는 상태였다.. 하는 걸로 기억합니다.

 

제가 경악했던건 이 이야기가 (언제나 그렇듯이 이경실씨의 본인 상처에 소금을 뿌리며 상처를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유머의 범주로 소개가 되었고

그 상황을 설명하는데 다른 게스트중 여자분 몇분을 빼고는 다들 이걸 정말 유머로 받아들여서 깔깔대며 웃었다는 겁니다..지금보아도 입맛이 씁니다.

그나마 여자분들은 경악하는 표정이었는데 남자게스트들은 어찌나 해맑게 웃던지...

이게 방송되기 직전에 제가 유사한 상황을 겪었기때문에 더욱 감정이 이입되기도 했구요..

 

대학시절 우리과는 남학우들이 모두 도덕적이었던건지 하여간 철없이 마셔대도 선후배나 동기들이 손끝하나 건드린적 없이 안전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철이 없어진건가요? 하지만 전 술자리에 동석한다는게 내가 취하면 날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의미라고는 생각도 못해봤습니다. )

졸업후 술친구인 여자아이와 맥주나 한모금한다는게 그 애와 친한 사람들을 부르고 그사람들이 자기들과 친한 사람들을 부르고 점점 판이커졌고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덧 아무나 말아먹어도 된다는 골뱅이 상태가 된 제가 그 술자리에 있던 모르는 놈에게 끌려가고 있더군요.

손목을 비틀고 목을 졸라대고 양치도 안한 입술을 부벼대며(전 첫키스도 못해본 상태였는데요)...

청년인구가 많다는 대학가 근처이건만 울며불며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살려주세요 살려주세요 하고 목이 터져라 외쳐도 아무도 안도와주더군요.

저도 번화가에 술이 떡이 되서 이런 실랑이를 벌이는 여자들은 죄다 츳츳.. 하고 지나갔던게 사실입니다. 그게 얼마나 후회가 되던지요..

저는 멍이 여기저기 든채로 제발 다음에..라고 형법교과서에나 나옴직한 굴욕적인 애원끝에야 도망을 쳤던거 같습니다.

필름이 군데군데 끊겼지만 집에서 구토와 함께 깨어나자 마자 원룸 문이 잠겼는지부터 벌떡 일어나 확인을 했어요.

 

물리력으로 남자를 이길수 없다는게 그렇게 열받을수가 없더군요. 그 상황에서 너무나 화가 나도 당장 이 술취하고 꼭지가 돈놈을 자극해봤자

잘못하면 정말 목이 졸려서 죽겠구나.. 아니면 정말 두들겨 맞거나 힘으로 끌려가겠구나 싶어서 애원해야하는게 화가 났고

같은 학교이거나 하다못해 내가 대학을 아직 다니는 상태였다면 여학생회를 통해 문제제기라도 했을텐데 그러기도 애매한 상황이라는것도..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 술자리에 있던 다른 그놈의 패거리들은 그 일을 알고도 아무일 없다는 듯 넘어갔지요. 저랑은 어차피 모르는 사이인데.

그들을 불러낸 단초가 된 저의 친구도 아무말도 없이 넘어갔어요. 결국 다 남의 일인데요.

사람이 싫어지더군요.

 

저도 한달이 넘게 그 동네를 돌아다닐수가 없었어요. 그냥 집에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날 입었던 옷이며 가방도 그놈이 나를 길에서 알아볼까봐 다시는 안입었었죠.

그리고 버스에서 누가 날 쳐다봐도 온몸이 쪼그라드는 느낌이..

큰일 겪기 전에 도망친 저도 이럴진대 더 큰일 겪은 사람은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그리고 이제 그냥 술먹는거 자체가 싫어졌어요.

제가 사랑하던 술을 멀리하게 만든 인간같지도 않은 놈이 싫네요. 

 

 

여자인 저조차도 개인적으로 이런 일이 없었다면 '왜 자기 양에 넘치게 술을 먹고 다녀 그래?'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르겠어요.

글쎄요 그냥 세상에 이렇게 저급한 인간들이 많은지 미처 몰랐거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70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23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350
123940 킹더랜드 끝 [1] 라인하르트012 2023.08.07 351
123939 [핵바낭] 에어컨 없이 1주일 살기 [16] 로이배티 2023.08.07 698
123938 디피 시즌 2 [4] 라인하르트012 2023.08.07 359
123937 후쿠오카 (2019) catgotmy 2023.08.06 194
123936 프레임드 #513 [6] Lunagazer 2023.08.06 92
123935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다 또 아프겠지만 [9] 위노나 2023.08.06 515
123934 톰 크루즈 &폴 뉴먼 [4] daviddain 2023.08.06 325
123933 건담 쿠쿠루스 도안의 섬 (유튜브 건담인포) [5] skelington 2023.08.06 240
123932 [넷플릭스바낭] 제목 한 번 심플하네요. '9'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8.06 422
123931 한때 취미 [3] catgotmy 2023.08.05 294
123930 프레임드 #512 [4] Lunagazer 2023.08.05 111
123929 미임파 10회 차 사소한 거 [9] daviddain 2023.08.05 330
123928 (디즈니플러스 바낭)은하계의 수호자3가 디즈니플러스에 올라왔군요. [2] 왜냐하면 2023.08.05 278
123927 2010년대 명작 일드 중 한편, '그래도, 살아간다' 1화 감상 시작(스포일러 약간) [1] 상수 2023.08.05 305
123926 Mark Margolis 1939-2023 R.I.P. [5] 조성용 2023.08.05 177
123925 [티빙바낭] 그 시절 양키님들의 유머 감각, '웨인즈 월드' 잡담 [4] 로이배티 2023.08.05 365
123924 [넷플릭스] 오오쿠, 우워.....재미집니다. [4] S.S.S. 2023.08.04 725
123923 요새 일어나는 무차별 살인사건 catgotmy 2023.08.04 378
123922 이런저런 일상잡담 메피스토 2023.08.04 205
123921 대체 왜 하필 최악찜통 매립지 위에서 잼버리를 하는지에 대한 설명 [14] 일희일비 2023.08.04 113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