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에 관한 전 지구적 연구

2011.12.01 17:21

august 조회 수:2378

http://hr-oreum.net/article.php?id=1963

살인에 관한 전 지구적 연구 - 젊은 비장애인 남성들에게만 안전한 나라라면?


살인에 관한 한국의 어두운 자화상

첫째, 한국의 살인사건 발생률은 205개 국가 중에서 77위로 대부분의 선진국들보다 높은 상태이다. 선진국들 중에서 한국보다 살인사건 발생빈도가 높은 국가들은 미국과 대만뿐이다. 한국의 살인범죄 발생비율은 일본이나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슬로베니아보다 약 6배 높은 수준이다. 한국에서는 2009년에 총 1,374명이 살해됨으로써, 하루 평균 3~4명이 살해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여성들이다.


둘째, 한국과 일본은 살인희생자 중에서 여성희생자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 눈에 띌 만큼 많은 나라들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희생자 가운데 여성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20% 안팎이다. 반면, 한국은 여성피해자 비율이 남성보다 되레 많은 51%로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보다 여성피해자 비율이 높은 나라들(몰타, 나우루, 브루나이, 슬로베니아)은 한국과 달리, 살인발생률이 매우 낮거나 인구가 적어서 비교 자체가 유의미하지 않다.

셋째, 한국은 대부분의 선진국들과 달리 강력사건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매년 600명가량이 살해되었으나, 2009년에는 1,374명이 살해됨으로써 두 배 이상 살인발생률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일본과 싱가포르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주요 범죄가 오랜 기간에 걸쳐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대조를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살인범죄 발생을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펼쳐야 할까.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일어나고 있는 살인은, 물자부족이나 사회적 배제, 심각한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부당함, 양극화, 낮은 교육수준과 법치주의 미비의 결과 일어난다는 것이 정설이다. 동시에 지니계수가 높을수록, 모성보호가 부족해서 유아나 산모사망률이 높은 나라들일수록, 저개발 상태가 극심한 나라들일수록 살인사건들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평등한 나라들에서는 평등한 나라들에 비해 무려 살인이 네 배 이상 높이 일어난다. 평등지수와 투명성지수가 높은 나라들인 북유럽의 대형범죄 발생률은, 남미나 아프리카에 비해서 괄목상대할 만큼 낮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의 경우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갈수록 극심해지고 있으며, 열악한 사회안전망으로 인해 사회적 약자들의 삶이 처참할 만큼 어려움에 내몰려 있다. 벼랑 끝에 내몰린 사람들은 극단적인 경우 범죄를 저지름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안전과 생명을 치명적으로 위협한다. “동반성장”이라는 단어가 무색할 만큼 승자들이 독식하는 사회체제는 경제적으로 환산하기 힘들 만큼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치르고 있는 셈이다. 각종 위기에 노출된 사람들을 처참하게 방치한 차별과 배제의 결과는, 이제 그들이 칼을 들고 우리의 일상에 침투하는 형국으로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범죄에 대한 불안의식을 묻는 조사에서, 전 계층을 망라하고 범죄를 두려워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두드러질 만큼 범죄를 걱정하며 의기소침하게 밤거리를 다니는 중이다.



오늘 인권오름 메일로 받은 내용에서 일부 발췌했습니다.

대검찰청의 2010년 범죄분석 보고서에서도 국내에서는 일평균 3.5건의 살인사건이 일어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고, 범행 동기로는 우발적 동기 50.8%, 가정불화 9.6%, 현실불만 7.6%라고 하는 것을 보면 (그래서 살인사건 검거율도 꽤 높다고 합니다-_- )

참 스트레스가 높은 사회이긴 한가 봐요ㅠ_ㅠ 그리고 그 압박을 자기보다 약한 사람에게 풀고 있는 것이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5
87233 그러고보니 올해가 여명의 눈동자 방영 20주년 되는 해이네요. [44] 감자쥬스 2011.12.01 4918
87232 한달에 드는 피복비 어느정도세요? [14] dhsks 2011.12.01 3349
87231 쿠팡 크리스피 & 크라제 버거... [2] 도야지 2011.12.01 1848
87230 [기사링크]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 도심서 ‘출몰 소동’ [2] miho 2011.12.01 1083
87229 71% "한나라-민주 양당구조 바꿔야" troispoint 2011.12.01 797
87228 [사진] 문득 이 분이 생각나 검색해보니 [2] miho 2011.12.01 1154
87227 궁금증]남는 안경이나 옷은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요? [3] 라인하르트백작 2011.12.01 1209
87226 축하인사정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너무 민감들 하시네요 [11] 사과식초 2011.12.01 2747
87225 [회사바낭] 회의시간이 길어집니다. [2] 가라 2011.12.01 1010
87224 종편에서 TV도 뿌릴까요? [4] 가라 2011.12.01 1374
87223 결국 조중동이 바라는게 이거군요. [3] 가라 2011.12.01 2720
87222 당분간 국산 로맨틱코미디 영화 보기 힘들겠네요. [8] 감자쥬스 2011.12.01 3162
87221 [역사잡담] 오성과 한음의 유언비어 [8] LH 2011.12.01 2881
87220 [벼룩] 책, 만화 판매합니다. 많아요... [8] 뚜루뚜르 2011.12.01 1502
87219 중환자실 들어간 세계 자본주의, 병원비는 누가 내나? [1] 도야지 2011.12.01 1305
87218 피곤함과 스트레스가 사람마다 다른 증상으로 나타나나봐요.. [3] 무간돌 2011.12.01 1220
87217 짱구아빠는 어떻게 성공했나요?? [11] 도야지 2011.12.01 3117
87216 [역사잡담] 존경하는 인물의 당혹스런 선택을 놓고 [16] LH 2011.12.01 3325
87215 지금 jtbc에 나오는 내용 사실인가요? [16] 여은성 2011.12.01 5392
» 살인에 관한 전 지구적 연구 [10] august 2011.12.01 237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