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페이지로 넘어간


<...커피 수입 금지....> 포스팅은 저도 처음 듣는 이야기였어요.  그래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그런데...읽어내리다 상당히 불쾌해지더군요.




60년대 한국 산업은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죠. 막말로 고무신 생산이 가장 큰 산업이었습니다. 


한국에게는 필리핀 태국은 선진국이었고요.


특히 70년대 초반까지도 도시민 중에서는 굶어 죽어나간 나가는 사람들이 상당했다더군요. 


서울 모 동네 살았던 친지의 말씀-옆 집 아이가 굶어 죽어 가마니에 넣어서 들것에 실어다 근처 산에 매장했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충격 먹은 적 있었습니다.(아직도 믿지를 못합니다.)


상당수의 학생들이 도시락을 싸가지 못한 상황에서 커피는 지나친 사치품이죠.


그런 비참한 국가 경제 상황에서 커피 수입 금지가 조롱 받거나 비아낭 받을 일은 절대 아닙니다.


단 한푼이라도 달러를 아껴 써야 했던 시절이었습니다. 


오죽했으면, 이승만이 판사들에게 달러를 벌어 들일 아이디어를 요구했을까요?




6,70년대는 생산설비를 제외하고, 생활소비제품은 거의 수입금지 시켰죠. 


거기에 커피를 포함 시키는 게 너무나 지극히 당연해 보이지않습니까?


다방에서 레지나 마담과 노닥 거리면서 달러를 낭비하는 한랑들이 


수출입국을 외쳐 부르는 높으신 분에게는 한심스러웠겠죠.


물론 그런 나리들은 이태원이나 남대문의 암시장에서 사먹었겠지만. 


국산품 애호, 분식 장려는, 그 시대 상황에서는 매유 현명한 정책이었습니다. 


그런 것이 군사 독재 형식의 강압적이기조차 했던 것은 세련되지 못했긴 했지만요.


많은 국민들에게는 호응을 받았던 정책이기도 했습니다.


그럼으로 비굴하게 굽신 거리며 받아온 차관을


낭비 않고 soc, 생산시설을 갖추고, 조악한 제품들이지만 내수로 소비될 수 있었습니다.


개발 차관이라는 것은 대부분의 개도국의 집권자 스위스 계좌로 가는 게 관례(?)이지만


한국의 경우는 대부분 개발로 갔다는 게 중요한 사실입니다.


또한 외국 여행은 거의 꿈도 꿀 수 없고, 여권 발급 자체가 까다로웠습니다. 


단 한 푼의 달러를 낭비할 수 없었죠.


그래서 일자리가 얻어지고, 소비능력도 생겨났죠.


상당수 국민들이 소니 제품 살 능력이 됨에도 불구하고,


금성사를 선택하는 결단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80년...현대가 자동차 수출할 무렵부터는


미국은 한국의 무역행태에 분노하기 시작했습니다.


수입장벽을 열어라는 것이었죠. 


당시 정부에서는 온갖 꼼수를 다부려서 미국 압력엤 대항했죠. 


당나귀, 노새, 쥐약...따위를 수입 금지 품목에서 해제하고서 


우리는 이렇게 하나하나 해제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드립까지 치면서


미국의 개방 압력을 막아냈습니다.


관료들에게는 국내산업 보호가 시급했죠. 


미 일 유럽 제품의 품질과 저가 공세에  국내 제품이 전멸 당할 공포감이 충분했습니다.


그런 무차별한 수입을 막아내지 못했다면,


잘하면 대만 수준 국가로밖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한 노력으로 경공업에서 전자, 중후장대업, it로 성장했습니다.


물론 이러한 그늘에는 재벌이라는 괴물을 만든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사실이고요.




19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그러한 규제는 거의 사라지게 되죠.


커피 없이 하루 보내기 힘든 사치(?)가 


당시의 수입 금지 품목이었기에 가능한 아이러니죠.


그저 과거의 재미난 정책이었다는 것으로 


웃어 넘어갔다면 됐었는데...그것을 조롱할 필요까지는 없었다는 것이죠.


그런 정책의 그늘을 박정희 군사 독재까지 바운더리를 넓힐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또한 


당시의 상당한 수의 관료들이나 젊은이들은 국가를 일으켜야 한다는 


커다란 자부심을 가지고 일했다는 것도 잊거나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최근 동티모르 자원봉사 나간 조카가 하는 말이...

 거기 대학생 몇명과 대화를 했는데...

 그 대학생들은 조국의 재건을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한다더군요)



심지어,


요즘에도 수출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자부심이 대단하더군요.


최근에 스몰 오퍼상이 많은 발산동을 자주 드나들었습니다.


수출할 제품을 보란 듯이 차들이 통행하는 도로를 점령하고 상차작업을 해서 물었습니다.


교통경찰의 제지를 받지 않냐?


동네 지구대 소장이 상차를 도우려고 교통을 통제해준다고 하더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3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41
86233 레드불이 날개를 펼쳐준다고 ~ [4] 자두맛사탕 2011.12.17 1658
86232 [snl 코리아] 오늘은 김인권 [10] EEH86 2011.12.17 2787
86231 오늘 청춘불패... [20] DJUNA 2011.12.17 1402
86230 오늘 밤은 케익이랍니다 [11] amenic 2011.12.17 4116
86229 [윈앰방송] 인디락, 재즈, 클래식 다양하게 나갑니다 [3] ZORN 2011.12.17 676
86228 누구일까요 [4] 가끔영화 2011.12.17 815
86227 [스포일러] 어쩌다 밟아 버린 위대한 탄생 생방송 진출자 스포일러 잡담. orz [7] 로이배티 2011.12.17 2535
86226 [바낭?] 어제 김포공항 롯데몰에서 열린 위탄 출신 셰인의 팬사인회장에 갔었어요. (+ 사진많네요) [4] miho 2011.12.18 2159
86225 오늘의 오리지널 SNL 은 짐캐리 편이네요. [3] breathless 2011.12.18 2102
86224 볼만하네요 [3] 가끔영화 2011.12.18 951
86223 이라크전의 발발 원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7] 불별 2011.12.18 1522
86222 EBS 씨네마천국 + 존 말코비치 되기 [2] 대필작가M 2011.12.18 1394
86221 바낭](위키질하다가 삘 받아서 정리한) 2000년대 판매왕 아티스트들. [4] 토토랑 2011.12.18 1783
86220 요즘은 Ddos 공격이 유행인가봅니다 [1] 스파클용 2011.12.18 1245
86219 [듀나in] 2011년 키워드&문화예술계 이슈?? [6] tub 2011.12.18 1178
» <커피 수입 금지> 그것...조롱 마세요 [14] 채색된 사마귀 2011.12.18 4310
86217 블루레이 플레이어 고민이에요. [6] misehan 2011.12.18 1269
86216 와, 등업이 되었네요 [3] 꽁_ 2011.12.18 687
86215 [어플뉴스] 기사와 사용자 평가들 [1] EEH86 2011.12.18 959
86214 <최후의 바다, 태평양>, 뒷북 겸, 돈춘호 [1] 푸네스 2011.12.18 10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