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에 스타더스트님 글도 있고, 결혼자금에 대한 이야기도 있어서 내친 김에 예전부터 궁금하던 글 올려봅니다.


결혼, 하면 성인 남녀가 생활을 합치는거죠.

그러니 아주 단순하게 생각하자면, 생활할 집과 살림살이가 있어야겠죠.

고로 집구입자금과 가재도구를 살 자금이 필요해집니다.

전통적으로 집을 남자가 구하면, 여자는 그 안을 채울 살림을 해갔죠.

그런데 요즘처럼 집값이 천정부지로 솟은 상태에서는, 구습대로 남자가 집을 해가려니 허리가 휩니다.

네. 이 점은 잘 알겠습니다.


결혼할 때 공동이 살 주거지 구입비용이 일방이 부담하기에 너무나 높이 치솟았다면,

거기에 대한 조정이 있어야겠죠.

가재도구구입 비용과 주거지 구입비용을 모두 합쳐 당사자들이 사이좋게 나눠 부담하자,

이렇게 되는 건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전통에는 여자가 치뤄야 할 금액이 또 있습니다.

예단비.

이건 살림살이 구입하는데 들어가는 돈도 아니요, 주거지 구입비용에 보태지는 자금도 아니고,

새롭게 함께 살아갈 부부들 생활비에 보태지는 돈도 아니지요.


남자집 부모님께 드리는 현금 선물이란 말입니다.

원래는 현물 선물이었는데 간소화 추세로 인해 현금선물로 바뀌었지요.


애초에 예단비는 그냥 생판 모르던 다른집 부모에게 여자집 부모가 보내는 선물이란 말입니다.



아니, 실은 예단비를 왜 주는지, 어디서 생긴 풍습인지, 그런 것도 의견이 분분한 풍습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사실 예단비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실은 몰라서 올리는 글 맞아요.


무슨 의미의 돈인걸까요.

여지까지 남자 잘 키워줘서 감사하다고.........내는 돈이라면.........남자를 사가는 것도 아니고. 왜 돈을 내는거죠...

끙. 정말로 모르겠어요.


저는 그런 의미에서 예단/예물이 모두 허례허식을 키우기만 하는 구습이라고 생각하는데,

또 많은 분들이 '허례허식 줄이고 간소화하자'라는 명제에는 동의하면서도

아직까지는 예단비를 허례허식으로 생각지 않는 것 같아서 좀 갸우뚱 하기도 해요.


선물의 개념은 어디론가 실종되고 애초에 장가보낼 때 남자집 어른들은 당연히 받아야 되는 돈이라고 생각하듯

얼마 이하 안 가져오면 내 아들 못 보낸다는 이야기도 나올 수 있는거고,

그걸 여자집에서 '우리집 사정은 실은 이래서 이렇게 밖에...'라고 말하며 미안해해야하고 그래야 하는 건가요.


둘이 함께 있는돈 없는돈 합쳐 집구하고 살림 합치기도 빠듯한 세상에

함께 살 주거지 구입비용 : 여자가 남자 부모님께 선물로 드리는 돈

으로 대립구도의 각을 세워서

남자가 집을 몇억을 해갔는데 여자는 고작 얼마를 해왔느냐,

라고 무의미한 계산을 하는 것도 좀 어리둥절 하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0
6018 최고의 ‘밀당’ 영화로서의 <위플래쉬>에 관한 단상 [3] crumley 2020.11.22 560
6017 아르헨티나의 거장, 페르난도 솔라나스 감독님에 관한 개인적인 추모글 [1] crumley 2020.11.20 327
6016 윤주, 뒤늦게 써보는 전공의 파업 비판 성명에 대한 잡담 [5] 타락씨 2020.09.18 722
6015 기적이네요! 제가 참여한 이혁의 장편 <연안부두>가 9월 4일 밤 12시 10분에 KBS 독립영화관에서 방영돼요! ^^ [14] crumley 2020.09.02 756
6014 메리 루이스 파커 - Bare magazine, July 2020 [2] tomof 2020.08.01 580
6013 [싹쓰리]. 그 추억이 더 이상 희미해지기 전에 [3] ssoboo 2020.07.26 917
6012 뒤늦게 올리는 엔니오 모리꼬네에 관한 개인적인 추모글 [9] crumley 2020.07.24 566
6011 몇몇 깨어있는 시민들의 판단 중지 [11] 타락씨 2020.07.15 1130
6010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이고, 산 사람에겐 산 사람의 일이 있으며, 무엇도 그리 쉽게 끝나지 않는다, 혹은 그래야 한다 [4] 타락씨 2020.07.10 1030
6009 제가 출연하고 스탭으로 참여한 이혁의 장편 <연안부두>가 6월 14일 15시 30분에 ktv 국민방송에서 방영돼요. [6] crumley 2020.06.13 813
6008 어제 세 편의 영화를 보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신기한 감정 상태에 대해서 [6] crumley 2020.05.13 865
6007 존 카사베츠의 걸작 <오프닝 나이트> 초강추! (서울아트시네마 토요일 마지막 상영) [1] crumley 2020.05.08 511
6006 한국과 일본, 판데믹 시대의 정치/국제 정치 [12] 타락씨 2020.03.07 1008
6005 천관율의 시사인 기사, '중국 봉쇄 카드는 애초부터 답이 아니었다' [12] 타락씨 2020.03.05 1431
6004 [영화] 애나벨라 시오라, 애슐리 져드, 살마 하이엑, 로즈 맥고완, 대릴 해나, 하비 와인스타인 [10] tomof 2020.03.03 874
6003 인용, 신천지, 마스크, 오명돈에 대한 쓸모없는 의견 [4] 타락씨 2020.03.02 691
6002 김실밥, 투표 거부와 무임승차 [3] 타락씨 2020.01.17 915
6001 [바낭] 영상편집 어떻게 해야할까요? [9] skelington 2020.01.03 516
6000 [영업] 진산 마님의 고양이 귀 [2] 룽게 2019.12.24 601
5999 봉준호 감독님이 보면서 세 번 울었다는, 올해 본 최고의 외국영화로 꼽은 영화는? [4] crumley 2019.12.05 14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