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juna.cine21.com/xe/board/3370081


신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바늘위에 천사 올라가는 것 만큼 난처한 질문인데 이게 종교에선 심각한 질문인 부분도 있습니다.


교회 다닌 분들이 기억하실텐데 '아브라함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이란 표현이 구약에 나오죠. 어떤 학자들은 이 셋의 신이 합쳐져서 


지금의 야훼가 형성됐다고 설명하는 부분도 있지만 그만큼 '역사에 존재하는 하나님'이라는 주제로 이해하기도 합니다.


근동에서 국가간의 전쟁은 신들의 전쟁이었습니다. 이집트와 바빌론이 싸운다면 이 두 나라의 신들이 싸우고 패한 국가가 있다면 그 신이 패했기때문에


종교 자체가 없어집니다. 구약성서 시편에서도 보면 '너희 신은 어디있느냐'는 이민족의 조롱이 있지요.


결국 그들에게 신이란 영토 즉 세계에 거주하는 존재란 겁니다.


하지만 독립 왕조라곤 1천년도 안되고 남의 나라에서 얹혀살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이 논리 대로라면 그들의 신은 죽었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들 민족은 신에게 창조되었고 그들의 뜻에 따라 나라가 흥망하기도 하며 최후에는 우리가 전세계의 지도적 위치를 차지한 국가가 된다는 믿음


이 있으니 신은 영토에서 지배한다는 논리는 애시당초 오답이었습니다.


결국 이스라엘 백성들이 찾아낸 해답은 영토가 아닌 '역사'입니다. 신은 역사 (시간)속에서 활동하며 인간을 지배한다는 거죠. 역사는 신의 의지가 이행


되는 과정이고 신의 의지를 이행하는 과정이 바로 역사다.. 라고 설명합니다. 성서를 보시죠. 왜 성서에 창세기와 요한계시록 (요한의 묵시록)이 맨 앞


과 뒤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구약성서 뒤편으로 가면 갈수록 왜 종말의 이야기가 나올까요?


바로 그들의 상식에는 역사는 신의 뜻대로 가는 것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전 생각합니다. 신의 의지에 따라 역사는 흘러간다는 의지대로 성서 순서


가 편찬되지 않았을까 생각 해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제국을 떠받치던 종교는 (물론 다른 이유가 깨알같지 많겠지만) 다 없어져도 이미 공간이 아닌 시간으로 자리를 옮긴 사고는 살아남


을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이후에 다시 가다 보면 헤겔이 '역사철학'이란 이야기도 하죠. 


결국 신이란 존재는 인간적으로 늙거나 쇠하지 않고 역사로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반대로 그리스 인들은 신과 역사에 대해 좀 다르게 생각했나 봅니


다. 이스라엘 (히브리)인들이 역사=운명=신 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리스 인들은 역사와 신은 일치 하지 않는다고 본거죠. 신화에서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리스 신화에서 신도 역사를 또는 운명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아폴로는 자기 아들이 자신이 아끼는 전차를 타고 죽을것을 알면서 운명때문에 줘버리


죠. 그들에게 역사 혹은 시간이란 신도 거스를수 없는 초신적인 권력입니다. 반대로 이스라엘인에게 시간이란 신이 뒤로도 앞으로도 갈 수 있는 권한


안의 것이죠. 따라서 플라톤은 신과 시간이 별도라고 설명하는 겁니다. 


자유의지 이야기 나오는데 가장 난제로 보이는게 자유의지죠. 인간에게 100%의 자유의지가 있다고 학자들이 종종 주장하기도 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시절이던가 펠라기우스란 수사가 인간의 자유의지는 완벽한 것이라고 했다가 정통적인 교리에 벗어난다고 해서 이단이 됐죠.


자유의지를 타파하려고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의지론'이란 책을 쓰기도 했습니다. 


루터 역시 '자유의지'를 갖고 당대의 지성 에라스무스와 논쟁을 벌였지만 루터가 이겼답니다. (개신교 측의 주장이긴 합니다만) 루터는 자유의지가 있


지만 그것은 신에게서 유래하는 완전한 자유의지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했죠. 


뭐 그렇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85599 [군바리일기]갖은 고난과 역경을 뚫고(...) 말년휴가를 나온 민간인(진) 이올라입니다. [5] 酒戇戰士욜라세다 2011.12.24 1656
85598 듀나IN) 오늘 성당에 가면 [11] 정독도서관 2011.12.25 2623
85597 크리스마스면 생각나는 영화들 [23] amenic 2011.12.25 3198
85596 소녀시대의 크리스마스동화 [14] 사람 2011.12.25 3986
85595 "마이웨이"를 보고..[스포성] [5] 라인하르트백작 2011.12.25 2405
85594 읽으면 읽을수록 뭔가 ??? 하게 되는 리뷰. -<살인의 추억> [2] 나미 2011.12.25 2492
85593 [바낭성]짧게..개봉작 감상기.. [3] 라인하르트백작 2011.12.25 1486
85592 크리스마스 캐롤을 듣고 있습니다. [1] 헬로시드니 2011.12.25 912
85591 추운날씨에 키우는 곤충이 죽어가고 있어요.ㅜ.ㅜ [4] 주근깨 2011.12.25 2100
85590 김용민 교수님 당뇨병이라네요 [13] 라곱순 2011.12.25 6063
85589 오늘 '마이 웨이' 롯데시네마 건대 2시 40분 2매 방금 예매취소했습니다. (제목=내용) [1] GREY 2011.12.25 1812
85588 올해도 돌아왔다! 눈송이 자르기 게임! [3] 몰락하는 우유 2011.12.25 2394
85587 허지웅 나오는 영화프로. 듀나님 조만간 봐야겠네요. [2] 자본주의의돼지 2011.12.25 3103
85586 [스누피] 크리스마스 선물로 5달러를 주네요. 야! 신난다~ [2] threepwood 2011.12.25 1531
85585 우사미짱이 네이버 웹툰에도 진출했네요. [12] 자본주의의돼지 2011.12.25 4695
85584 더 좋은 남자가 된다는 건 뭔가요? [8] 귀천 2011.12.25 2935
85583 교육학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6] 살구 2011.12.25 1425
» 지난번에 이어서 '물어보지마'님 글에 대해 쪼금만 답변.. [1] Weisserose 2011.12.25 1420
85581 [음악방송] 인디, 올드락, 재즈, 클래식 다양하게 나갑니다 ZORN 2011.12.25 754
85580 맥 쓰시는 분께 질문입니다 [4] august 2011.12.25 153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