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을 돌렸더니 바로 그 전설의(?) Creep 장면이 나오고 있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정말 한국 대학가에서의 Creep 인기에 불을 질러 버렸던 걸로 기억해요.

원래도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곡이었다지만 발매된지 3년이 넘어서 갑자기 그렇게 사방에서 난무하게 된 건 이 영화 탓(?)이었죠.

자주 가던 신청곡 틀어주는 술집에선 아예 'Creep은 신청 받지 않습니다.' 라고 써붙여 놓기도 했었고. 나중엔 아마추어 밴드들이 공연에서 이 노래 연주하는 걸 보면 괜히 무시하게 되는 악영향까지(...)

라디오 영화 광고를 유지나씨의 영화 해설-_-로 하기도 했던 것도 기억납니다. 또 이 영화의 흥행으로 베트남 영화들이 좀 수입이 되었... 던 가요. 적다보니 자신이;


사실 전 당시 유행과 인기에 비해 그렇게 재밌게 보진 않았었어요. 차라리 '그린 파파야 향기'쪽이 좋았었는데.

그래도 어쨌거나 파릇파릇한 양조위를 오랜만에 보니 반갑고. 옛날 생각도 나고 그래서 그냥 틀어놓고 있었네요.


그 당시는 정말 생각해보면 말도 안 되는 '스노브가 대세' 분위기였던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보면 그저 신기할 뿐이죠. 잠시였다지만 레오 까락스, 왕가위가 무려 인기 흥행 감독인 나라라니. 

만들어진지 수십년이 지난 아트하우스 영화들이 갑자기 시내 중심가 극장에서 마구 개봉하고. 아무리 좋게 봐 주려 해도 이상하잖아요. ㅋㅋㅋ


그리고 EBS.

이 시간에 19세 표기까지 해서 틀면서 담배 모자이크 꼭 해야겠니.

이럴 거면 차라리 틀지 마... 는 아니지만; 이러지 좀 말았으면. -_-+


암튼 말 꺼낸 김에 영상도 첨부하구요.



(샤방샤방 풋풋 양조위가 의도하지 않은 포인트가 되는 영상이군요.)



사족.

그러고보면 90년대는 정말 smell like teen spirit 과 creep 없었으면 어쩔뻔 했냐는 쓸 데 없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네요.

'대세나 따라다니는 천한 것들' 이라는 시선으로 높은 곳에서 굽어보던 펄잼 팬 친구들도 생각이 나구요. 어차피 펄잼도 완전 인기 밴드였건만.ㅋ


+ 그리고 락 팬들에게 전지구적으로 씹히며 동네북 신세였던 (하지만 어쨌거나 인기 많아서 돈은 긁어 모았던) 본 조비 아저씨에게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죄송;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