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 반 이상을 활동을 못하고 살았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주립대학 교수라서 병가 등의 조치는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경제적인 손해는 별로 안 보고 살았습니다. 물론 의료보험으로 카버가 안 되는 쌩돈이 좀 나가기는 했지만 다른 중병에 걸린 지인들이나 친구들 (한국이나 미국이나) 의 상황에 비하면 나는 미국의 소수주민들만 받는 특혜를 받고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원래 병은 남들에게 자랑하라고 하고 실제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얘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만 지금 왼쪽 다리에 심한 통증을 느끼면서 서서 글을 쓰는 것이기때문에 그렇게 자세하게 설명을 할 만한 시간도 없고, 듀게도 옛날같지 않은지라 ^ ^ (2010년 이후 멤버분들은 이런 노털 코멘트에 별로 의미를 부여하지는 말아주세요). 아 아직도 아픕니다.  4월쯤 되면 일단 다른 종류의 경과보고가 가능하겠죠. 더 악화되든 완쾌되든...

 

아무튼 여러종류의 희한한-- 아 이렇게 아플수도 있구나 하고 새삼스럽게 깨닫게 되는 새로운 경험도 포함해서-- 고통을 경험하고 두달 반을 지냈지만 전화위복으로 좋은 일도 있었다는 얘기를 잠깐 하려고 쓰는 겁니다.

 

1월에 최악의 위기를 겪은 이후로 체중이 23 킬로가 빠졌고 현재도 일주일에 2-3킬로씩 빠지고 있습니다. 그 주된 이유는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 식단과 식생활을 완전히 바꾸었기 때문이죠. 아마 제가 아는 모든 사람들 중에서 이러한 급진적인 식단의 변화를 실행할 수 있었던 가장 가능성이 낮은 사람이 저였기 때문에 저 자신도 놀라고  있습니다.  혈압수치와 혈당수치도 정상으로 복귀하고 미칠듯이 아프던 다리의 관절통도 싹 없어졌습니다. 감기도 걸리지 않았고 (그건 외부출입을 안한 요인이 크지만) 살결에 두드러기처럼 나고 가렵던 증상도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아이러니칼하게도 친구들이나 학생들이 만나러 오면 "헉 너무 젊어보이세요!" 라는 코멘트를 듣고 있죠 ^ ^

 

식단 바꾼 내용은 뭐 여러분들도 익히 아시는 거...  콜라 등의 탄산음료, 소고기, 돼지고기, 백설탕, 하얀 쌀밥은 완전히 제로 인테이크.  전혀 안먹습니다.  고기가 정 필요하면 닭고기, 칠면조고기, 염소고기 (엥?  거기에 대해서는 제가 이 병을 살아남으면 후술 ^ ^)  조금씩.  생선도 통조림이나 기타 가공된 어류는 다 폐기. 소금 및 간장의 양을 극한도로 줄이고,  고추장은 제로, 된장은 일본식 미소나 낫또오로 전환.  김치, 젓갈 등의 자극성 음식도 제로 인테이크.  맵지 않은 카레나 맵지 않은 살사 정도는 먹습니다만 이것도 더 줄일 수 있겠죠.  그리고 배가 고플 때는 기름을 안 쓰고 익힌 채소류, Flaxseed 같은 씨앗류를 첨가한 곡류, Berry 계통의 과일, 그리고 특히 수박과 사과를 먹고 있습니다. 초콜렛, 캔디, 과자류는 일체 제로 인테이크.

 

의외로 가장 끊기 힘든것이 정제된 밀가루로 만든 국수류였습니다.  예전에는 제가 그렇게 많은 양의 하얀밀가루음식을 먹고 사는 줄 몰랐어요!  역시 미국 살아서 그런 것인지?  그런 고로 그 대용으로 정말 맛을 붙인 것이 모밀국수/자루소바입니다. 원래부터 일식을 좋아하는지라 모밀국수도 잘 먹었지만 이제는 거의 일주일에 3-4회 정도는 모밀국수로 점심 내지 저녁을  차립니다. 먹으면 먹을수록 맛있어요.  

 

 

우움 먹고 싶어라!

 

 

 

간장도 짜지 않게 희석하고 무우 갈은 것과 파를 많이 넣고. 그냥 맹물에 넣어서 먹어도 맛있을 것 같아요 이제는.

 

 

하하 이렇게 집에서 먹을 수는 없고... 웬만한 초밥류는 집에서 만들 수 있는데 자루소바도 집에서 만들 수 있게 노력을 좀 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것이 가능 했던것은 우리 바깥분의 초인적인 의지력과 실행력과 요리솜씨 덕택이죠.  결혼 잘하면 죽을 사람 다시 살리는 것도 가능... 하다면 좀 과장이 되겠지만 어쨌건 천번 머리를 조아리고 감사를 드려도 모자랄 일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90
264 영화 <블루 재스민>과 Madoff 금융사기 사건 (스포주의) [27] 리버시티 2014.01.29 5249
263 신장개점 (....) 축하드립니다 아울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4] Q 2014.01.24 950
262 슬플때는 슬픈 노래를 들으시나요 신나는 노래를 들으시나요 (James Blake...) [8] Overgrown 2013.11.17 1456
261 <냥줍>2개월령 고등어 아깽이 입양하실 분 계실까요?? [19] DKNI 2013.11.01 3666
260 [축구바낭: 리뷰] 미국 메이저리그 축구 서부리그 플레이오프: 시애틀 사운더스 vs. 콜로라도 래피즈 [4] 푸네스 2013.10.31 1825
259 두서없는 애바낭 [2] liece 2013.10.29 1554
258 벌써 10년이네요... [2] 아니...난 그냥... 2013.10.21 1948
257 아침 멘붕 중 [5] 닥터슬럼프 2013.10.14 2732
256 [그래비티] 좋았습니다 (노 스포일러!) [7] Q 2013.10.07 2857
255 [이것저것] 미국에 귀국, [SVU] 새 시즌 유감, 바다 생물의 손자 [8] Q 2013.10.03 2591
254 걸그룹 이종격투기 대회. [6] 자본주의의돼지 2013.09.20 3318
253 소소한 액세서리 벼룩 DKNI 2013.09.14 1382
252 새벽반께 인사 그리고 음악 추천을 가장한 신세 한탄 [2] Ricardo 2013.09.14 1172
251 요즘 하늘이 예쁘군요(짧은 바낭) [4] Kovacs 2013.09.02 1546
250 비슷한 느낌의 노래 [1] 거울에비친 2013.08.04 1221
249 [바낭] 혼자 산다는 것 [3] 팔락쉬 2013.08.03 2541
248 (벼룩)남성여름정장하의,시슬리청바지2-고양이 모래 [4] DKNI 2013.07.23 1924
247 2010년대 놓치지 말아야 할 애니 중 하나 [13] hermit 2013.07.23 5445
246 You're gonna miss me when I'm gone. [2] mr. zero 2013.07.20 1356
245 왠만해서 안쓰는 뮤지션 약팔이 글 <Snakehips> [1] Ricardo 2013.07.20 10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