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영화가 아닌 영화 상영 화질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밝혀둡니다.

(영화는 듣던 것보다도 소박(?)했지만 또한 기대보다도 재미있는 걸작이었습니다.)



오늘 용산 아이맥스에서 인셉션을 관람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내에서는) 아이맥스 관람을 절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대체 이번 상영 소스에 뭔가 문제가 있었던 건지,
2k 방식의 디지털로 바뀐 cgv 아이맥스의 당연한(?) 한계인지,
아니면 제가 뭔가 착각을 하고 있는 건지 아직까지도 혼란스럽습니다.

그리고 화질이나 음질의 문제라는 것이 워낙 주관적이고,
사람의 느낌이나 기억에 따라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때
뭐라고 함부로 말하기가 참 조심스럽기도 합니다만…
(제 착각으로 영화관 관계자들을 음해(?!)하는 꼴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어디까지나 제가 느낀 주관적인 감상이라는 전제하에 말하자면,
오늘 12시 25분 용산 아이맥스 f17열에서 본 인셉션의 화질은 최악이었습니다.
굳이 비교하자, "상태가 좋지 않은 국내 상영용 35mm 필름" 정도랄까요.

덕분에 영화를 보는 내내 집중하기가 힘들 정도였는데,
이게 정말 그 정도가 심해서 그런 건지,
제가 비교적 앞자리에 앉은 탓인지,
아니면 제가 지나치게 까탈스러운 건지는 확신이 안서네요.



다른 모 커뮤니티에서도 비슷한 불만을 적어주신 분이 계십니다만,
이건 다크나이트와 인셉션의 촬영 방식 문제는 아닙니다.
다크나이트 또한 일부 아이맥스 촬영 시퀀스를 제외하면 35mm 필름이 주가 된 작품이죠.
인셉션도 마찬가지입니다. 
분명 같은 극장에서 필름 아이맥스 시절의 다크나이트를 관람할 때는
"아, 35mm를 블로우업해도 이렇게 괜찮은 결과물이 나오는구나"
라며 감탄하며 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만,
오늘 본 인셉션의 경우는… 음, 이건 전혀 아니더군요.

그리고 65mm 필름의 위 아래를 더 사용한 방식이 
다크나이트의 아이맥스 촬영 방식이라는 걸 생각한다면,
이론상으로 다크나이트의 아이맥스 시퀀스와
인셉션의 65mm 시퀀스는 
위 아래의 "너비"만 차이가 날 뿐 해상도는 동일한 것이 정상입니다.
그러나 오늘 상영에서 그런 쨍 한 시퀀스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불가능했습니다.


역시 필름 아이맥스가 아닌, 4k도 아닌 2k로 영사하는 디지털 상영의 한계일까요?
제 아무리 소스가 4k라고 하더라도,
영사기가 2k로 뿌려준다면 그 한계는 어쩔 수 없는 것이고
필름 IMAX와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겠죠.

하지만 그렇다고만 치부하기도 어려운 것이, 
영화 바로 앞에 틀어주었던 아이맥스용 해리포터 예고편은
같은 디지털 소스일텐데도 불구하고 인셉션보다는 선명한 화질이었단 말이죠.
(물론, 이것 또한 제 주관적인 "착각"일 수는 있습니다.)
그렇다면 cgv 극장의 영사나 2k영사기의 한계보다도
이번에 상영되고 있는 인셉션의 국내용 디지털 소스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다시 한 번 말하지만, 화질이라는 것이 워낙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영상을 한 프레임 한 프레임 정지해가며 비교분석하지 않는 이상
확실하게 "이번 인셉션 아이맥스 상영은 문제가 있다! 환불해달라!"라거나
"아무 문제 없고 화질이 좋기만 했다! 니 눈이 이상한 거다!"라고
어느 쪽으로 분명하게 말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제 주관과 제 기준, 제가 오늘 본 인상만으로 말하자면,
용산 아이맥스의 인셉션은 실망하고 말고를 넘어
"이게 대체 어떻게 된 건지 모르겠다"는,
어안이 벙벙한 수준의 화질이었습니다.
아무래도 다른 극장에서 상영하는 디지털 영사 버전을 보고 나야
뭐가 뭔지 조금 정리가 될 것 같네요.





p.s.
이건 더더욱 불확실한 것이라 본문엔 적지 않습니다만,
영화 초반부를 보는 내내 화면비가 왜곡되어 있다는 느낌도 받았습니다.
1.85:1을 2.35:1로 늘린 것 까지는 아니지만,
아주 조금 좌우로 화면이 늘어난 것 같다는 느낌?
근데 이건 아이맥스 상영관이 살짝 휘어진 상태에서 
제가 약간 앞쪽 좌석에서 보았기 때문에 벌어진 착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디카프리오 얼굴형이 워낙 희안한(-_-;) 탓일 수도 있구요.



p.p.s.
화질도 화질이지만, 음질도 실망스러웠습니다.
몇몇 씬에서 큰 소리가 뭉개지더군요.
이건 제 주관 아니고 Fact입니다. -_-;




p.p.p.s.
그리고 cgv 영화관에 가장 큰 불만.
영화 예고편 좀 다른 극장들처럼 제대로 틀어주면 안됩니까?
항상 안좋은 화질에 짧은 tv용 버전 예고편들만 다른 광고들과 섞어서 보여주는데,
전 이것 때문에 왠만하면 cgv극장을 피하게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11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5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605
111246 <건축학개론> 남자주인공 욕설 경청하기 [34] Isolde 2013.06.03 3896
111245 시크릿 가든 뒷북성 잡담 [13] 산호초2010 2010.11.29 3896
111244 [링크] 택시기사 뚱뚱한데 미니스커트 입고 다닌다고 가정주부 구타 [11] Apfel 2010.11.06 3896
111243 최근 드라마의 경향 [8] 보이즈런 2010.10.07 3896
111242 유니클로 홈페이지 [10] lyh1999 2010.10.31 3896
111241 인셉션 관련 해석 중 가장 맘에 드는 것(당연 스포일러) [5] ally 2010.08.18 3896
111240 [바낭질을하고싶은오후] 소시꿈, 더위, 에바:파 [6] 가라 2010.07.13 3896
111239 한윤형씨에 이어 일베의 사상 쓰신 박가분씨도.. [10] 짜이 2015.06.20 3895
111238 듀게배 인생에서 꼭 봐야할 영화 정해봅시다. [124] 익명씨 2014.12.13 3895
111237 기자간담회하다 우는 한예리 [4] 너를보내는숲 2014.11.06 3895
111236 여행이 삶의 전환점이 되기도 하는군요 [15] 노을지는 2014.09.26 3895
111235 세월호 구조작업을 요약하자면 [6] 갓파쿠 2014.04.29 3895
111234 밀회 3화 시청중 [27] 빠삐용 2014.03.24 3895
111233 총체적 난국인 간기남에서 최대 에러는 박시연 캐스팅 [5] 감자쥬스 2012.04.15 3895
111232 (기사) 나탈리 포트먼, 아기 이름도 심오해 [10] nomppi 2011.07.07 3895
111231 얼불노에 관심이 생겨서 엔하위키를 읽고 있는데요. [16] 자본주의의돼지 2011.07.07 3895
111230 농협 전산사고의 미스터리.. [20] 도야지 2011.04.19 3895
111229 유승준이 한국으로 돌아올 생각이 있어서 저러는게 아니죠 [6] soboo 2015.05.20 3894
111228 응답하라 1994 3화는 대박이네요. [3] 아모르 파티 2013.10.26 3894
111227 [듀나인] 일어공부용 영화좀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26] cloudy 2012.08.16 389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