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중에 외국친구에게 추천할 한국영화 글을 보고 댓글로 달려다가 글이 길어질거 같아 이렇게 본글로 올려요.


1. 장화홍련


일단 장화홍련은 정말 다들 '저게 뭐야' 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처음 같이 본 캐나다인 친구는 보는 내내 시큰둥하다가 문근영씨가 악 하고 소리 지르는 장면에서 그냥 허탈 웃음을 짓더군요.

뭔가 요상한 B급호러 영화를 기대했다가 이 영화가  영화내내 작정하고 고급스러운 척해서 맘에 안들다가 그 장면을 보고 드디어 찾던걸 발견한 기분으로 웃었나 했더니

하는말이 연기를 정말 못하내...해서 저는 화가 났었더랬지요.


그 후 호주인 친구들이랑 호주 티비에서 하는걸 같이 봤는데 (호주에 이민자들을 위한 방송국이 있는데 영어아닌 다른 언어로 된 영화들을 밤에 주로 보여준답니다.)

한 명은 보다가 그냥 자기 방으로 들어가 버렸고 다른 한명은 이해를 못하더군요. 하긴 생각해보니 저도 첨 보고 내용을 다 이해를 못했었다는게 기억이 났습니다.


2. 8월의 크리스마스

이건 한국영화의 보석같은 영화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내수용이더군요.

지금껏 이걸 보여준 서양인 친구들중에 단 한사람도 감동한 사람을 못봤고 다들 '그래서 뭐 어쩌라고' 하는 분위기라서....

하긴 저도 20여년 가까이 지나서 지금 다시 보니 영화가 좀 빈약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나이먹으면서 점점 촌스러워지는 느낌이었어요. 하지만 딱 90년대 중반의 그 느낌이 나서 그래도 저한테는 좋은 기억이었다고나 할까.


3. 주먹이 운다.

정말 몰입해서들 보더군요. 특히 류승범보고 정말 연기잘한다고...다만 최민식 파트는 좀 이해를 못하더군요. 특히 어버이날 교단에서 횡설수설하던 장면 같은 경우는.

그래도 이 영화를 보고나서 한국은 참 영화도 잘만들고 배우들이 연기도 잘 하네 하는 말을 듣고 어깨가 좀 으쓱...(난 영화인도 아닌데 내가 왜 기분이 좋아지는지)


4. 추격자.

아무리 나홍진 감독에 대한 소문이 안좋아도 이 사람은 영화를 잘 만드는게 분명해요.

제 친구중 스릴러나 잔혹한 영화는 못보는 분이 있는데 디텍티브 스토리도 오직 안전한 영국 아가사 크리스티 류나 '미드섬머 머더 '같은 류만 보는 지라.

그런데 이 추격자를 티비에서 하더군요. 정말 재밌다는 저의 꼬임에 보면서 서영희씨가 도망치는 장면에서 같이 환호하고 그 망치 장면에서 입을 벌리며 망연자실 넋을 놓더군요.

중간중간 커머셜 브레이크에 이거 너무 잔인해서 너는 보면 오늘밤 악몽을 꿀거라고 티비끄자고 했지만 도저히 궁금해서 안되겠다며 끝까지 보더군요.

다 보고나서는 'Harrowing' 'upset'같은 단어를 밤새 내내 부들부들 흥분하는 모습을 보며 이 영화는 걸작이 분명하다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


5. 시

뭐 이창동 감독정도면 저희 같은 사람의 평가가 필요없는 거장이라지만 '오아시스'같은 경우 제 친구는 보다가 끄더군요. 도저히 성추행 장면을 견딜수가 없고 그 후로 설경구나 문소리씨가 아무 서로 살갑게 굴어도 용남이 안되나봐요. 하지만 이 '시'는 거진 첫장면부터 끝장면까지 몰입도 120% 더군요. 특히 윤정희씨 캐릭터를 정말 좋아하더군요. 곱게 늙어가는 할머니들이 서구 사회에 많다보니 이해가 잘 가나봐요. 또한 성범죄, 부모자식간의 관계들이 문화가 다른 이 곳에서도 잘 이해가 되더군요. 전 윤정희씨 연기가 톤이 좀 튄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이 친구들이 그걸 알리는 없을거구. 보고 나서도 그 날 내내 이 영화 이야기를 하던 거 보면 정말 잘 본게 분명한거 같아요.


6. 마더/ 살인의 추억

이 두영화도 정말 좋아하더군요. 같이 본 친구중 하나가 '김혜자'씨보고 이사람 한국에서 연기의 신/메릴 스트립 레벨의 거장이지? 하고 물어보는 거 보고 저런 연기면 세계 어디가든 다 통하는구나 싶더군요. 특히 마지막 장면을 정말 좋아하던데, 이 사람들이 버스에서 춤추는 것의 사회적 콘텍스트를 이해할리가 없을테고 그냥 음악과 햇빛과 어딘가 꿈같은 분위기가 아름답고 슬프다고 하더군요.


그 외에 쌍화점(조인성보고 저리 예쁜 사람이 있다니...하는 감탄사 연발), 그녀를 믿지 마세요(코메디가 보통 언어차이때문에 잘 안먹히는데 이 상황극은 정말 낄낄 거리며 잘 보더군요. 특히 김하늘 보고 코메디 연기가 정말 훌륭하다고 하더군요.), 집으로, 공동경비구역JSA, 실미도 등은 정말 잘 먹혔습니다.


근데 웬만하면 로맨스 장르는 선택에 조심하심이...서구권에서의 관습과 한국적 로맨스의 고백못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전전긍긍 앓는 상황은 안맞아요. 한예로 봐도 '빌리지'에서 초반에 여주인공의 시스터가 남주에게 고백하고 차이고 며칠 울다가 바로 아무일 없었다는 등 훌훌터는게 여기선 보통인지라. 이런 맥락에서 8월의 크리스마스는 재네 뭐하는 시츄에이션이메? 하는 것밖에 안될것 같다고 개인적으로 생각.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4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8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78
76432 수목드라마 결말들 어떻게 됐나요(적도남 스포일러) [4] 메피스토 2012.05.24 2815
76431 [채팅] 드라마 다 보고 하는 가가.. 내 10주 돌려줘!! 엉엉!! 이제 드라마따윈 다시는.. 이인 2012.05.24 1452
76430 듀9 서울에서 증명 사진 파일로만 제공해주는 곳 있나요? [3] prankster 2012.05.24 1771
76429 듀9 시험 볼 때 증명사진이요. 꼭 6개월 이내만 가능한가요? [3] prankster 2012.05.24 3886
76428 기사] 니콘이 취소한 '위안부 할머니 사진전' [3] 리프레쉬 2012.05.25 2825
76427 나는 왜 쓰는가, 두 해 여름, 번역 잡담 [4] august 2012.05.25 2096
76426 오늘 걸어다니면서 본 것들 [17] 안녕하세요 2012.05.25 3503
76425 모차르트의 편지 속 기분을 느낀 날 [4] 마르타. 2012.05.25 1330
76424 [윈앰방송] 브릿팝 2시까지 듣습니다 [4] ZORN 2012.05.25 801
76423 [듀나IN] 두부로 두부부침과 두부김치와 두부조림 말고 뭘 해먹을 수 있나요? [31] Paul. 2012.05.25 3682
76422 먹는 게 남는 거 [11] 아침엔 인간 2012.05.25 4702
76421 론 리빙스턴.. 이런 캐릭터였나요 [5] Regina Filange 2012.05.25 2030
76420 노화방지에 좋다는 양파껍질로 차 만들기 [2] Diotima 2012.05.25 3357
76419 불교 엿 머겅 [37] ACl 2012.05.25 13146
76418 배우 알면 영화광 [12] 가끔영화 2012.05.25 2876
76417 (듀나인) 웹브라우저에서 엉뚱한 사이트들이 자꾸 뜹니다. [8] nomppi 2012.05.25 2035
» 내 외국인 친구들의 한국영화 감상기 [21] Elephant 2012.05.25 7305
76415 영등포구청역 근처 책 빌릴수 있는곳~ [2] ExtremE 2012.05.25 1146
76414 부처님 오신 날 대비, 준비 완료. [16] chobo 2012.05.25 3620
76413 포털에서 보고 오해한 기사 제목 [6] amenic 2012.05.25 19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