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들이 판치는 한국가요계

2012.06.11 00:43

킹기돌아 조회 수:4908

탑밴드를 이제서야 보다가 기분잡쳤습니다. 저 밑에 보니깐 여기서도 짜증 느끼시는 분들 많은 데 그 짜증을 공감합니다.

 

심사위원이라는 사람들은 모두 그 자리에 있는 이유가 있겠지만 그 음악적 연륜이라는 것만큼 자기 틀도 강한 모습입니다. 대중음악에서 선배랍시고 젊은 뮤지션들을 평가하고 점수까지 매긴다는 게 전 아주 이상해 보여요. 이들에게 그런 권한을 주는 미디어와 방송국이 저는 넌더리가 나고 과연 이런 작태가 어디까지 갈지 궁금합니다.

 

메인스트림은 또 어떤가요. 우리나라에서 음악적 재능이 있고 음악이 하고 싶은 영재들은 어릴 때부터 음악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뮤지션십을 발전시키지 않습니다. 대부분 대형기획사부터 두들기죠. 그곳에 들어가면 수년간 연습생 과정을 거치며 기존 메이저 음악계의 인프라로부터 각종 가이드를 받는 일종의 공정 과정을 거칩니다.

데뷔하면 그런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기성 인프라의 페르소나 역할을 수행하는 퍼포머 정도로 성장하죠. 그 세월 동안 그 개인만이 보여줄 수 있었던 뮤지션십은 사라집니다. 아마 우리 음악계의 진정한 천재는 인디가 아니라 그런 곳으로 흡수되었는지도 모르죠.

 

대중음악 역사상 사람들을 열광시키며 판을 뒤집었던 급이라면 대부분 기존에 있던, 그 연륜있는 선배 뮤지션은 생각할 수도 보여줄 수도 없는 새로움과 파격이 있었습니다.

 

이미 오랜 세월에 걸쳐 클래식으로 판명된 8, 90년대 팝과 가요계의 명반들을 살펴보면 과연 이들이 등장할 때 당대의 기라성 같은 선배들 (쉽게 말하면 각 오디션 및 경쟁 프로 심사위원들이나 나가수급)이 얼마나 이들을 인정하고 이해했을까 저는 의문이 듭니다.

 


Thriller (1982)   - Michael Jackson
이 앨범은 순전히 마이클 잭슨의 힘으로 냈다고 보기는 힘들죠. 퀸시존스를 비롯해서 위에 말한 당대의 인프라들이 결집된 결과물이었죠. 하지만 이런 음악, 퍼포먼스, 패션, 비디오는 당시 24세의 마이클잭슨이 아니었으면 없었을 겁니다. 완전히 새로운 거였고 아직까지 이 정도로 난리 난 등장을 대중음악계에서 본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등장할 때 당시만해도 마냥 찬사만 있었던 건 아니었죠.

 

Purple Rain (1984)   - Prince
프린스 앨범 중 뭐가 제일 좋냐고 하면 개개인마다 다르겠지만 보편적으로 이 앨범이 떠오르죠. 그때 프린스가 26세 였고 이 앨범은 벌써 6집이었습니다. 프린스야 노래, 연주, 프로덕션, 스타일링 다 자기가 하는 사람으로 유명했고요. 워낙 파격의 아이콘이었고 당시에 이단아라는 등 논란이 되긴 했지만...어쨌든 이 앨범은 명반으로, 프린스는 거장으로 남았죠.

 

들국화 1집 (1985)
들국화 1집 나올 때 전인권, 최성원은 이미 30이었네요. 전체 그룹 나이 평균 28세였습니다. 분명 당시 가요계에서 듣기 힘든 세련된 음악입니다. 이해 못했을 사람들 많았을 듯...

 

Master of Puppets (1986)   - Metallica
저는 메탈리카하면 이 다음작인 And Justice For All을 좋아합니다. 완성도나 연주가 더욱 진일보했다고 생각하거든요. 하지만 역시 Master of Puppets의 임팩트는 엄청났죠. 이후 이 그룹도 변화, 발전 했다고 볼 수 있지만 역시 메탈리카 하면 저 무지막지한 사운드를 보여줬던 앨범이고 이때 메탈리카 멤버들이 23, 24세 때였습니다.

 

유재하 1집 (1987)
이 엄청난 앨범을 내고 돌아가신 유재하님이 당시 25세 밖에 안되었을 때죠. 오히려 시간이 지날 수록 그 가치를 인정받는 듯 합니다.

 

Nevermind (1991)   - Nirvana
Smells like teen spirit 비디오를 처음 봤을 때 정말 새로왔어요. 당시 메인스트림에서 대세를 이루던 스타일과는 전혀 다른 것이 등장해서 판도를 바꿨던 좋은 예죠. 이 앨범 냈을 때 커트코배인은 24세였습니다.

 

서태지 1집 (1992)
저는 가끔 오디션 프로나 경쟁 프로에서 연륜 높으신 심사위원들이 헛소리 할 때마다 서태지 데뷔시절 임백천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80점인가 맞던 그 유명한 영상이 떠오릅니다.

 

12 Plays   -R.Kelly (1993)
90년대 미국 흑인 알앤비의 스타일은 알켈리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앨범에 실린 Bump N' Grind를 첨들었을 때 그 올드 스쿨의 끈적함을 완전히 새롭게 전달하는 데에 전 좀 충격먹었었어요. 이 앨범으로 판세를 뒤엎을 때 알켈리는 26세였죠.

 

Illmatic (1994)  - Nas
힙합쪽에서 최고 클래식으로 꼽히는 앨범이죠. 그때 살벌한 얘기를 하는 갱스터 래퍼들은 많았지만 이런 차원으로 이렇게 시적으로 표현하는 래퍼는 없었습니다. 이 앨범에는 당대 최고 실력파 프로듀서, 디제이들이 참여했지만 이들이 모인 이유는 이 21세짜리 래퍼 때문이었죠.

 

Maxwell's Urban Hang Suite (1996)   - Maxwell
네오소울이라는 장르를 탄생시킨 맥스웰은 역시 90년대 알앤비의 최고명반으로 꼽히는 이 앨범을 23세 때 내놓고 팝계에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죠. 이에 한발 앞서 등장한 또다른 네오소울 창시자인 드안젤로는 21세때 데뷔했죠. 둘 다 자기들이 다 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들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0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5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05
119438 90년대 정릉에서 살았던 이가 본 '건축학 개론' [11] 만약에 2012.04.05 4911
119437 만화 주인공들 이름... [4] 스위트블랙 2010.06.12 4911
119436 4대강 사업 반대하는 신부가 무섭다고 했던 천주교 신자 할머니가 사실은? [3] chobo 2010.06.07 4911
119435 강용석에 호감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11] espiritu 2013.03.15 4910
119434 [공지] 댓글 하나 삭제합니다. [6] DJUNA 2013.01.07 4910
119433 섹스에 대한 생각. [10] 빵요총맞아죽기직전 2011.04.20 4910
119432 씨네21의 아슬아슬한 김종철 평론가(?) [5] catgotmy 2012.06.30 4910
119431 김두관 당선자 "화환 대신 쌀로.." 선관위에서,,, [8] 고인돌 2010.06.04 4910
119430 업데이트가 늦어버린 네이버 웹툰, 미쳐 날뛰는 생활툰. [23] 스위트블랙 2014.09.07 4909
119429 '나 혼자 산다'에 출연한 심형탁 씨 [10] 달빛처럼 2014.08.02 4909
119428 "어른들이 미안해"라는 되도않는 문구를... [17] 밀키웨이 2014.06.21 4909
119427 사이에서 천우희 [4] 가끔영화 2014.04.11 4909
119426 너의 두개골을 이렇게 갈라버리겠다! [6] 닥터슬럼프 2012.08.20 4909
119425 프로포즈 하는 여자, 프로포즈 받는 남자. [12] 옥수수 2012.08.16 4909
119424 아침드라마는 제발 폐지되었으면 [40] 화려한해리포터™ 2012.05.21 4909
119423 혼자 밥먹기가 뭐가 어려워? [9] 자본주의의돼지 2012.06.26 4909
119422 한곡만 히트시키고 시원하게 말아먹은 밴드 [32] 샤유 2010.10.06 4909
119421 민주 진영에게 김대중이 얼마나 나쁜 존재일까요? [24] 닌스트롬 2014.02.04 4908
» 꼰대들이 판치는 한국가요계 [8] 킹기돌아 2012.06.11 4908
119419 하루종일 여자들한테 치임;; [20] 킹기돌아 2012.06.13 49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