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저는 예전부터 제 자신이 약간 이상하다고 생각해왔습니다. 누군가와 글로 대화하거나 말로 대화할 때, 나중에서야 그 사람이 화가 났다는 사실을 안다거나 그런 것 말입니다. 제게는 단순한 어휘들이 사실은 싸움걸때나 쓰는 말이거나, 특정 부분의 어투가 듣는 쪽에서는 굉장히 신경질을 나게 만든다거나 하죠. 공감이 다른 식으로 작동하는 것 같아요. 게다가 그런 말을 하면 안되는 사회라 (누군가 특이하기 때문에 못 알아듣는다는 말을 하면 일반적이면서도 핑계를 댄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사실이 그럴지도 모르죠) 별로 그런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해봐야, '나는 성격이 괴팍하니까 알아서 잘들 해'란 말과 별반 차이 없을거니까요. 오래전에도 한 번, 어쩌라고 그렇게 말하는지 모르겠다는 글도 읽어봤구요.


 그래서 마치 더위 안타는 사람이 불쾌지수에 대해서 고려하듯, 다른 사람들이 화가 났는지 안 났는지를 문맥상으로 알지 못하고 정서적 반응 등으로 알려고 노력합니다. 이는 핀트가 많이 어긋난 방식으로 밖에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또한, 감정에 대해 공감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은 누군가를 위로하는 것이 너무나 어렵다는 거죠. 저는 제 자신이 우울해지거나 슬퍼지면 그려려니 해요. 어딘가 토로하거나 말한다고 해서 그 상황이 변화하는 것도 아닐 뿐더러, 누군가가 정말로 나를 도와주거나 하는 일은 거의 없을테니까 말이죠. 분명히 말/글이라는 것도 힘이 있으니 꼭 듣고 싶은 말을 들어야 할 때는 필요하겠지만, 저는 그런 식으로는 위로가 되지 않아요. 반대로 생각하면 누군가를 위로해주기 위해서는 적어도 점진적인 변화라도 시도를 해봐야겠죠. 하지만 저는, 억울한 사람이 있거나 슬픈 사람이 있으면 고통스러워서 위로해드리고 싶어요. 듀게에는 많은 글이 올라오는데 하루에 2번 쯤은 그러한 글이 올라오는 것을 봅니다. 그런 글을 보면 안절부절못하다 댓글을 달지 않아요. 아주 가끔 달아보기도 하지만 심정이 아주 복잡해집니다. '위로를 글로 배웠군요' 수준으로 그런 관련 서적과 글과 여타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정말 잘 모르겠어요.


 저는 그래서 글을 읽을 때, 언제나 억울한 사람과 억울하지 않은 사람, 또는 억울한 사람과 더 억울한 사람으로 쉬이 나누어요. 게다가 그걸 나누는 방식은 제 멋대로이죠. 그렇게 생각한 후에 덜 억울한 측에서는 조금은 여유있게 더 억울한 사람을 끌어줘도 되지 않을까, 라는 지론이 언제나 제가 주장하는 이야기에요. 저는 왠만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화나는 부분에서는 화를 내지 않으니까요. (게다가 저는 그런 억울한 사람의 닫힌 결말을 보면, 정말이지 오랫동안 그 사건을 마음 속에 기억해요. 그렇다고 해서 덜 억울한 사람에게 뭐라 하거나 할 수는 없지만 말이죠. 일이 끝나버린 후에는 기억하는 것만 제가 할 수 있으니까요.)


 하루키의 잡문 모음과 소설집, 그리고 언더그라운드를 읽었습니다. 특히 언더그라운드는 바로 그런 마음 - 위로할 수 없는 것을 위로하려고 하는 마음 - 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남에게 어떻게 위로를 하는가에 대해서 찬찬히 써져 있었어요. 하루키는 반복적으로 말합니다. '나는 어떠한 식으로도 그 일을 겪은 사람들을 위로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썼다.' 저는 언더그라운드를 읽기 전에는, 그 내용이 일본에서 공산커뮤 같은 것에 대한 조사인지 알았아요. 하루키 책에 자주 나오는 외따로 떨어진 곳에서 사는 소규모 공동체 같은 거요. 하지만 그렇지 않더군요. 가스 테러에 대한 이야기였고, 그리고 그 경험자(피해자)들을 한 명 한 명 만난 인터뷰 내용이었습니다. 하루키는 피해자라는 통짜가 아닌, 그 각각의 삶을 그들이 말하고 싶은대로 그렸어요.


 결국, 사람은 자신의 삶에 대해서 밖에 이야기 할 수 없고, 그것으로 충분하다는 거죠. 그리고 거기에는 '나도 그러한 때가 있었는데' 같은 말은 가급적이면 빼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다들 너무나 다른 삶을 살고 있지만, 다르지만, 그래도 삶은 같다는 것, 그것이 저에겐 정말 위로가 되더군요. 왜 위로가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루키의 다른 수필들은, 자기 이야기를 해서 단 한 명 뿐이었지만, 언더그라운드는 수십명이 나와서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 했기 때문에 더더욱 그런 것 같았습니다. 네, 전 위로란 듣는 사람에 대한 어떠한 기대도 없이 이야기하는 자신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게 되었어요. 그래도 위로 댓글은 역시 힘들겠네요. (저는 위로 댓글을 다려다가도 대학시절 저장 안 되어 있는 문자로 오는 생일축하 보내달라는 문자에 보내던게 생각나서 보내지 않게 됩니다. 저는 그럴 때도 차라리 전화를 하거나 하지 않거나 했거든요. 많은 문자가 와도 굉장히 나쁘지만 그렇게 기쁘지 않았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3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9
73922 펌)미쳐가는 대한민국 [16] 메피스토 2012.07.02 5678
73921 혹시 공연에 관심있으신 분... [2] 까소봉 2012.07.02 1589
73920 잊고 있었던 프라모델 밀봉 Box를 꺼내들고...(어릴적 프라모델과의 첫만남 이야기) [17] 무비스타 2012.07.02 2638
73919 최신 인터넷 알바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그들도 진화한다!!! [22] 자본주의의돼지 2012.07.02 4425
73918 믿음 소망 사랑의 이름으로 너희에게 땅과 주식을 팔겠다. [3] catgotmy 2012.07.02 1690
» 위로하는 법과 무라카미 하루키. [4] 잔인한오후 2012.07.02 2578
73916 저도 이제 DSLR 유저입니다 [3] Weisserose 2012.07.02 1389
73915 연기 잘하는(혹은 잘했던) 아역배우들에 누가 있을까요? [20] 올리비에 2012.07.02 2320
73914 [일본생활바낭] 일본의 풍경 [14] 에아렌딜 2012.07.02 3550
73913 탐정님, 무비위크 수지 [1] 가끔영화 2012.07.02 2111
73912 황당)40대녀 김연아 고소 [6] 가끔영화 2012.07.02 4478
73911 [채팅] 11월 1일 - Epic high .. 이 제목을 어제 썼어야 했는데..!! 소중한 친구가 있었죠 내 숨소리보리보리보리... 異人 2012.07.02 887
73910 씨네21에 10점 만점을 준 영화가 나왔네요 [14] 바이엘피아노 2012.07.02 5646
73909 [잡담] 첫 출근의 후기...는 으아아아 [25] 異人 2012.07.02 3785
73908 론섬 조지가 죽었군요. 동시에 하나의 종이 멸종. [6] Johndoe 2012.07.02 3084
73907 [노래] 내가 만약 키 큰 나무가 되면 땅이 너무 멀어 매일 어지러울거야 [7] 찔레꽃 2012.07.02 1539
73906 '로미오와 줄리엣' 새로운 영화도 내년에 개봉하네요 [3] 올리비에 2012.07.02 2062
73905 [반항] 게살스프에 게거품은 안들어가겠죠 [2] 오뚝이3분효리 2012.07.02 1743
73904 윤하 신곡 뮤비 나왔네요. 'Run' [5] 자본주의의돼지 2012.07.02 1923
73903 [게임]즐기는 LoL, 길라잡이(번외편 : 개인적으로 애정을 가지고 플레이한 챔피언들) [10] 피로 2012.07.03 235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