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인간말종'이라 불리는 범죄자들의 사건들이 보도될 때마다 '사형시켜라~!!!' 하는 여론이 일어나곤 하죠.

저 개인적으로는 머리로는 사형제반대지만, 사건 보도를 접할 때마다 '아, 저 끔찍한 것들 세상에서 없어졌음 좋겠다'는 심정이 되곤 해요.

아무런 일도 없는 평상시에 사형제에 대한 논쟁을 접하면, 그것이 왜 잘못된 제도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납득이 가죠. 동의하구요.

근데 자꾸 발생하는 흉악범죄에 대해 접하게 되면, 그 순간 만큼은 제 감정을 어쩌질 못하겠어요.

그래서 되게 오랫동안 고민했어요. 나는 사형제에 대해 어떤 입장인 걸까.

감정적으로는 동의하지 못하면서 머리로만 사형제 반대라고 말하는 것은 위선 아닐까.

나는 과연 내 가족이나 친구가 피해자가 되었을 때에도 사형제 반대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게 생각하다가 한 가지 새로 든 생각이, 바로 이 감정의 영역이 굉장히 중요한 것 같다는 거였어요.

이 감정들, 치 떨리고, 무섭고, 끔찍하고, 저 가해자들에게 복수하고픈 감정, 그걸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는 거죠.

우리가 사형제의 완전한 폐지를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면 더더욱, 사형제 반대와는 별개로

이 감정의 문제에 대해서도 어떤 해결 방법이 있어야 할 것 같아요.

그런데 사형제 논쟁을 들여다보면 이 부분을 다룬 이야기는 쉽게 찾아볼 수 없더라고요.

그래서 사람들이 사형제 반대나 범죄자의 인권 얘기에 더 많이 반발하고, 피해자의 인권을 무시한다고 오해하게 되는 것 아닐까요?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의 고통에 대해, 그리고 그 소식을 듣는 것만으로도 괴로워하는 일반 대중들의 고통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접근하고 이해하고 위로하고 해결할 수 있을지, 그런 논의가 더 많이 필요한 것 같아요.

 

감정적으로 접근하지 말라는 말만으로는 소용이 없다고 느껴져서요.

그건 마치, 인간이 필요하다면 자의로 손쉽게 자신의 감정을 제거할 수 있다는 걸 전제로 한 것처럼 들리거든요.

감정이 일어나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요? 그 감정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가 중요하지 않나 싶어요.

그저 이성적으로 생각해라 라든지 넌 인권을 잘 모르는 구나, 이런 식으로는 설득할 수 없을 것 같거든요.

 

그래서 저는 제 자신의 사형제와 관련한 입장에 대해 고민하다가

범죄피해자 및 피해자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범죄피해자 및 피해자 가족들 중 사형제 반대 운동을 하시는 분들

에 대해 좀 공부해봐야 하겠다..........는 결론만 내린채로 아직 공부는 못 해봤네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