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만에 키배를 했더니 체력이 떨어져서 하던 작업을 접고 '잠자'야겠습니다.


본문에 비속어를 쓰며 흥분했던 부분에 대해서 언짢으신 분들에게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리플에서는 먼저 상대방이 상스러운 말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상스러운 말을 하지 않았으니

사과드리지 않겠습니다. 인간사 오는대로 가는 법이죠. 


군대 얘기를 쓸 때, 아 좀 참을 것을 하기도 했지만, 실은 한국의 군사주의 문화가 체질적으로

너무 맞지 않고 군대의 폭력에 대한 내성이 약한 것도 있습니다. 며칠 전 순대국집에서 막 해병대를

제대한 뒷자리 청년들의 대화가 너무 끔찍하기도 했고요. 저는 군대가 싫습니다. 특히 한국

군대는 한국 사회의 악의 근원 중 최소한 3위 안에는 든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기이했던 경험

중 하나는 군대 훈련소에서 처음 받는 얼차려가 중,고등학교 시절 받아왔던 바로 그것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입니다. 어정쩡하게 모여있는 20대 초반의 까까머리의 청년들이 아무런 망설임 없이 

그 복잡 다단한 얼차려의 명칭을 정확하게 이해하며 연병장을 뒹굴더군요. 아 여기가 로도스 섬이구나 

이제 여기서 뛰는 수밖에는 없구나. 한국 사회의 군대문화의 원본으로서 아래로는 중고등학교로 위로는 

대학과 직장 사회로 자신의 군대성(?)을 전파하는 이 공간은 어떻게든 개혁이 되어야 할 곳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났습니다. 


군대에 대한 한국 남자들의 트라우마는 한국의 군대 생활이 폭력적이고, 어떠한 인간적 존중도

배제한 시공간이기 때문이지요. 구타, 폭력, 외부와의 단절, 자기발전없는 세월, 계급에 따른

인격적 모욕. 끝없는 노동과 보잘 것 없는 보상. 이 모든 것들이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용인될 수 있는 것인가 저는 그것이 의문입니다. 하다못해 중국과 대치 중인 대만에서도 그

정도는 아니거든요. 대만은 해병대조차도 구타가 없고, 매주 외박을 나가고, 월급은 4-50만원을 받고

간부들도 사병을 노예처럼 부리지는 않습니다. 대만은 분단국가 아닌가요? 대만의 가상의 적인

중국은 대만보다 군사력이 약한가요? 대만은 한국보다 경제적 여유가 되나요?


한국 군대의 폭력성은 일본 군대의 그것을 배운 것이고, 실은 한국 남자들은 그 폭력성에 대해서

학창시절부터 익숙하게 굴복하고, 그 폭력에 휘둘리고 피해자가 되면서도 해방 아니

한국 전쟁 이후 60년 동안 군복무의 환경에 있어서 본질적인 개선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여전히 군대에서는 월 단위로 고참을 끊어서 고참 대접을 해주고, 여전히 군대에서는 군화끈에 목을 메어 자살을 하고, 

여전히 군대에서는 허드렛일을 하다 목숨을 잃습니다. 하다못해 토굴에 보관한 감자를 꺼내러 가다가 

토굴이 무너져 깔려 죽은 경우도 있습니다. 감자 보관할 냉장고나 창고 하나 사주지 않는 곳이 21세기

한국 군대의 현실입니다.  


한국 군대의 폭력성은 돈과 제도의 개선으로 완전히 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한 정도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예산과 군 조직의 효율화, 특히 사병에 집중된 복지정책과 복무 단축

및 궁극적으로 모병제로의 전환. 한국의 군역자들은 사회의 측면에서는 매우 효율적인 서비스 집단

(고학력, 저비용)이고 개인차원에서는 매우 저효율적인(저임금, 고강도 노동, 인권열악, 반감금 생활)

강제노동자입니다. 무릇 군역의 기반은 모병제에 대비한 저비용 고효율이지만,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사병들에 대한 복지가 매우 열악합니다. 그럴수록 국가 전체의 효율성은 올라가지요.

우리가 모병제를 못하는 이유는 까놓고 돈때문입니다. 돈만 있으면 다 됩니다. 미국 보세요.


많은 남자들이 이러한 군역의 과도한 착취를 북한과의 대치라는 특수 상황 때문에 개선 될 수 없는 것이라고 단정할 때,

저는 그것이 한편으로는 상상력의 부족, 아니 상상력의 자기검열이라는 느낌이 많이 듭니다.

그 상상력에는 군대는 원래 그런 곳이고, 그래야만 하는 곳이라는 한때의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역전을 보기도

합니다. 한 국가의 제도가 개인들에게 이런 수준의 억압과 트라우마를 주고 있을 때, 개인을 단돈 몇만원의 월급으로 감금하고 

착취할 때 그것을 해결하고 개선하려는 진지한 시도는 왜 항상 철없고 현실감이 없는 평화주의자(라면서 종북이냐고 묻는)의 몽상으로

치부되는지요. 그리고 그 상상력의 부재를 반대로, 현실을 인정하는 것도 아니고, 왜 여성들에게 (분노와 함께) 다양한

형식의  요구로 전가하는지 저는 의문입니다. 문제는 돈인데 말이죠. 


여성들이 군대를 가기를 원하는 사람. 여성들이 군대 대신에 일정한 사회적 활동을 원하는 사람. 여성들이

세금을 내기를 원하는 사람. 여성들이 아무것도 안해도 좋으니 감사나 해줬으면 하는 사람. 


저들은 한국에서 여성들이 군대를 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대비 전투력의 비효율성임을 잘 알면서도, 그리고

동시에 군대에서의 폭력과 인권 유린의 주요 원인중 하나가 사병들에 대한 후안무치한 착취임을 알면서도

여성 군역자라는 또 다른 비효율성은 왜 도입하지 않느냐 주장합니다. 즉 이런 주장에는 군역은

하나의 착취적 국가 서비스이고, 나는 이러한 국가적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여자인 너는 하지 않으니

같이 나누어서 실제로는 더 비효율적인 국가적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것이겠지요. 대신 남성의 군 복무 기간은

단축될 터이니, 그 자체로 매력적이긴 합니다. 그러니 국가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은 증대시키더라도

내 복무기간이 단축되는 것은 좋다라고 생각하는 분들은(저는 개인에게는 매우 합리적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얼른 여성의 군복무를 법제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팁은 절대로

여성들에게 군대를 가라고 압박하거나 화내지 말고, 조용히, 남성들의 힘을 은밀히 모아서 한방에 빵 터트리는 것입니다.

당황해하며 군대를 가는 여성분들의 눈물을 상상하면서...은근하고 끊기있게 승리의 그날을 기다리면서...

아마 백 년 정도 운동하면 되겠죠. 원래 그리고 그런 수준의 운동(예컨데 여성 참정권)의 역사를 보면 백 년은 별로 길지도 않지요.


한국의 여성들이 일정한 사회적 활동(보육, 간호, 공무)을 통해서 군역을 대신해야 한다는 주장은

위의 주장과 일맥상통하지요. 대신 자신의 군복무 기간이 줄어들 가능성도, 그리고 자신이 군대를 나와서 남자로서

가질 수 있는 장점들(예컨데, 군필자를 선호하는 사회적 경향)도 사라집니다. 여성들이 세금을 더 낼리도 없고

오히려 세금이 더 들어갈 터이니 군인들의 복지정책도 더 낮아지겠죠. 군역자 개인에게 이득 될 것은 없지만,

감정적으로 나도 고생, 너도 고생의 충만감이 생기니, 이것도 꽤(?) 괜찮은 해결책입니다. 사회적 복지수준도

일정 정도 올라갈 터이고요. 그러니 이런 생각을 지닌 분들은 위의 입법 운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팁으로는 꾸준한 헌법소원청구가 투자대비 효용이 좋겠다 하겠습니다.


여성들이 일정한 세금을 내야 한다는 분들은 저도 찬성하고,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군역이 하나의 서비스(밀리터리 서비스)라 할 때, 그 서비스의 비용을 누가 언제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가에서

섬세하게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실제로 제공받는 서비스의 질과 그 서비스의 혜택을 누가 받는가, 그리고

그 서비스는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겠지요. 남성 군역자들은 대체로

군복무 기간동안 임금 향상과 부수적인 노동 인권 향상(예컨데 임금 백만원의 사병들이 손으로 삽질을 하기보다는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 운용이 경제적으로 이득인 상황) 및 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 감소라는 직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

대신 서비스 종사자로서의 자세를 가다듬고 항상 돈을 주는 여성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돈은 많이 주지만 남자만 군대가서 화가 나신다고요? 그러면 분노를 승화시켜 위의 입법 운동들을 열심히 하시면 되겠습니다.


여성들이 아무것도 해줄 필요도 없고, 그냥 감사나 해라. 하는 분들은. 군역자에게 비효율적인 체제 자체가

우리 남성들의 몫이고, 우리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혜적으로 접근하는 것이지요. 그런 시혜적 접근의 맹점은

자신에게는 감사 말고는 아무런 이득이 없고, 그 감사라는 것도 내가 요구한다고 주는 것도 아닐 뿐더러

실상 군대의 착취구조는 전혀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 감사라도 받아야겠다는 분들은 주변의 여성들에게

찔러 절받기를 받으시면서 흐믓해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대대손손 아들 손주까지 착취받으며 군생활을 계속

해야겠지요. 아니라면 다시 위로 올라가세요.


군대는 받아야할 보상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폭력적으로 다루어진 열악하고 강제적 직장입니다. 강제가

싫은 분은 모병제를, 보상이 필요한 분은 세금을, 폭력이 싫은 분은 군 인권개선을 요구하면 됩니다.

국가 전체의 비효율성을 걱정하는 애국자 분께서는 여성들의 군입대를 반대하시면 되고요.

 

아니 군대가 정말로 싫고 평화를 추구하는 분은 그 댓가로 감옥에 가셔도 됩니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한국 남성들의 경멸은 양심적 병역거부가 실은 개인으로서는 더 많은 댓가를

(전과자 낙인과 휴가없는 1년 넘는 수형생활 vs 군대 2년) 치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개인적 신념을 

국가 공동체의 효율성 측면에서 비판하는 것 아닙니까? 그 효율성 좋아하시는 분들이 여자보고 군대를 자꾸 가라하니 멘붕이 오긴 합니다만...


효율성이 문제가 아니라 군대 간 사람은 양심이 없냐고 화내시는 분들은... 군대에 들어간 양심에 충분히 동감하고 저도 그런 양심이 

있어서 갔지만 저분들은 우리보고 양심이 없다는 게 아니라, 자신들은 다른 양심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는걸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그들은 무슨 빨갱이나 종북이 아니라, 대부분은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종교인들과 극소수의 평화주의자들이죠.

우리도 이제 양심의 자유 같은 글로벌 스탠다드는 쿨하게 인정하지요. 아니면 대체복무제라도 만들던가. UN인권위가 혀를 끌끌 차더라는...


머리도 아프고 그만 써야겠습니다. 아까의 수컷드립이 원래는 더 할 말이 많은데...어그로, 트롤이라는 소리에 가슴이

아파서 그만 잠자겠습니다.




감사는 셀프입니다 고객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35
68827 (바낭) 군대하니깐 제가 복무하면서 가진 생각 한가지 [15] 소전마리자 2012.09.15 2169
68826 원곡보다 좋은 COVER [3] Boyfalling 2012.09.15 1638
68825 맥도날드 커플 미스테리 [22] 듀라셀 2012.09.15 5789
» 잠자는 잠자야 하는데 - 감사는 셀프입니다 [16] 잠자 2012.09.15 2275
68823 군대 이야기는 괜히 봐가지고... [22] 멀고먼길 2012.09.15 3095
68822 오오 지디형 오오 [7] 루아™ 2012.09.15 3728
68821 [바낭] 야, 술주정하는 소리 좀 안나게 하라!!! [3] 멀고먼길 2012.09.15 1636
68820 혹시 아이폰에서 이런 증상 있으신분 계시려나요? [12] 두근두근 2012.09.15 2315
68819 꼴칰 신임 감독은 조범현 감독! [8] 달빛처럼 2012.09.15 1678
68818 이병률의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에서 정말 정나미 떨어졌던 부분 [44] 낭랑 2012.09.15 4641
68817 홀리 쭈꾸미 배트맨!! 싸이 아이튠스 차트 1위... [7] Q 2012.09.15 2895
68816 남 연애얘기 듣는 것의 곤욕스러움. [8] nomppi 2012.09.15 2952
68815 인생사 새옹지마네요. [7] 자본주의의돼지 2012.09.15 3355
68814 [공공장소 바낭] 오늘 미술관 갔다가 [52] loving_rabbit 2012.09.15 3424
68813 질문이 있습니다. 한국사회에 colorism이 존재한다고 보십니까? [30] 케이 2012.09.15 4272
68812 도서관(?)에서 불쾌했던일 [25] catgotmy 2012.09.15 4230
68811 성매매금지를 시켜서 성폭행이 늘어났다는데... [96] 스카드 2012.09.15 5920
68810 <늑대아이> 감독 인터뷰 + 아이들 관객 [3] 가벼운계란 2012.09.15 1877
68809 프랑스 잡지가 윌리엄 왕자 부인 케이트 노출 사진을 [1] 가끔영화 2012.09.15 3424
68808 이스라엘의 경우 남자만 군대5년 VS 남자3년,여자2년 중에 후자를 선택했는데 [18] 스카드 2012.09.15 35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