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의 이력중 제일 큰 부분이 인권변호사로서의 할동인데 기존 언론에서 의외로 잘 다루지 않더군요. 

근데 새누리 성향의 데일리안에서 그것도 편집장이 문재인 변호사에 대한 기사를 실었더군요. 

물론 대부분이 비꼬는 내용입니다만 문재인에 대한 보수진영의 시각을 엿볼 수가 있어서 퍼왔어요

--------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277469&page=&code=&gubun=sh&search=%C0%CC%C0%C7%C3%E1


문재인의 DNA에는 밥그릇이 없다


이의춘 편집국장



문재인은 82년 8월 사법연수원을 차석이라는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당연히 법관이 되는 것을 꿈꿨으나 대학시절(경희대 법대)의 학생운동이 걸림돌이 됐다. 검사로 갈 수 있었으나 범인을 취조하고 구형해야 하는 검사의 업무가 성격상이든 체질적이든 맞지 않았다. 운명은 엉뚱한 데서 찾아왔다. 사법연수원 동기인 박정규(참여정부 민정수석 지냄)의 추천으로 부산에서 판사를 거쳐 변호사로 활동 중인 노무현을 만난 것. 법조인으로서의 첫발을 노 변호사와 함께 한 것이다. 


그는 노 변호사가 잘 꾸며놓은 변호사 사무실에 그냥 몸만 들어가 수익을 반분하는 것을 조건으로 동업을 시작했다. 부산지역에 변호사가 별로 많지 않던 시절에 노무현-문재인 콤비는 부산 경남지역 인권및 노무변호사로 이름을 떨치기 시작했다. 80~90년대 부산 경남 마찬 창원 등지의 민주화 투쟁과 노사분규 때마다 노-문콤비는 관련사건을 도맡다시피 했다.



중략


부산과 서울의 학생운동 조직이 함께 기획한 부산 미문화원 점거농성사건, 부산상공회의소 점거 농성사건 같은 것들도 맡았다. 노-문 콤비는 부산지역의 대표적인 노동 인권변호사로 부상했다. 그들의 법률사무소는 부산을 중심으로 울산 창원 거제를 망라하는 지역의 노동인권사건을 총괄하는 센터처럼 됐다. 그는 열정과 신념을 갖고 5공 군사정권 시절 부산지역의 시국사건과 민주화운동 주동자들의 변론을 주도하고, 노동자들의 노조설립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인권변호사, 노동자변호사, 민주화 운동변호사 등의 타이틀을 달았다. 노무현 전대통령과 생사고락을 같이 하면서 마침내 참여정부의 2인자로 성장했다.문재인이 소속한 <법무법인 부산>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약칭 민변)은 물론이고 인권단체, 시민운동단체, 노동운동단체 등에서 직책을 맡아 활동중이다. 


노-문 콤비는 한국의 시민단체, 민주화단체, 인권단체 등의 인재를 배출하는 산신역할, 인큐베이터 역할을 톡톡히 한 셈이다. 그가 애착을 갖는 것은 노동운동, 또는 노동조합 활동 설립 지원하는 단체에 정열을 쏟았던 것이었다. 87년 하반기부터 분출한 노동운동의 급류속에서 부산 노동문제연구소, 89년 부산 노동운동단체협의회, 94년 출범한 노동자를위한 연대 같은 단체에 대한 지원에 열과 성을 다한 것이 대표적이다. 


사단법인 <노동자를 위한 연대>도 만들어 노동운동과 노동조합 지원에 집중했다. 그는 부산 경남 지역 노조의 고문변호사가 돼 조합원들에게 정기적으로 순회 법률 상담을 해줬다. 노조간부들에게도 교육을 해 노조설립을 지원하고, 노동운동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해주기도 했다. 문재인은 이런 점에서 기업과는 다소 악연이 있을 수밖에 없다. 노조운동을 지원하고, 기업별 노조 설립을 적극 권유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줬다는 점에서 기업, 기업인에 대한 반감내지 적대감이 앞장섰을 것을 추정된다. 


87년 민주화투쟁과 노동운동 대 분출기에 형성된 이같은 친노조, 반기업 성향은 문재인의 뇌리에 깊숙이 각인됐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DNA에는 기업은 없고, 전투적, 투쟁적 노조와 인권이 넓게 형성됐을 것이다. 


당시 기업과 기업인들은 노조 설립을 방해하고, 노동자 인권을 침해하고 노동자의 임금을 착취하는 악의 상징이자 타도해야 할 대상으로 비난받았다. 적어도 노동운동계에선 말이다. 당시는 현대차, 옛 대우그룹, LG그룹 등 대형사업장에서 노사분규가 급증했으며, 비타협적, 투쟁적 분규가 급증해 한국산업계를 뒤흔들었다. 마르크스 레닌주의 사상으로 무장한 급진좌경 학생들도 공장으로 침투해 노동운동을 조직화했다. 실제로 노전 대통령은 87년 노동자대투쟁당시 대우조선 노동자 이석규씨가 최루탄에 맞아 사망했을 당시, 현장에서 그들을 돕다가 3자개입 금지 조항에 위배돼 구속된 바 있다. 문재인은 당시 부산변호사회 소속으로 진상조사소위원장을 맡아 거제 현지조사를 벌였다. 이어 공동변호인단을 꾸려 노 변호사를위해 변론에 적극 나섰다. 


문재인이 했던 인권 노동변호사라는 타이틀은 당시로서는 꼭 필요한 일이었다. 군부독재정치가 민주주의 유린, 인권탄압, 노동문제 강경진압등을 했을 무렵엔 문재인의 역할을 의로운 일들이었다. 민주주의와 기업의 노사화합, 산업평화, 노동자 인권및 복리후생 증대를 위해선 해야 할 정의로운 일이었다. 노와 문의 콤비가 벌인 다양한 노동 인권 민주운동 덕택에 부산과 경남 창원지역의 산업계는 임금상승과 복리후생 증대, 노조의 권한 강화 등으로 이어졌다. 다른 한편으론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양대노조가 경쟁하면서 과격 노조가 노동유연성을 갉아먹고, 외국인투자자들이 한국의 과격노사문화를 우려하게 만드는 계기로 작용했다. 


중략


노의 정치적 동지이자 친구인 문재인은 원칙과 가치를 트레이드 마크로 살아왔다. 그런 그가 노의 정치적 유언인 사람사는 세상을 위해서 대권을 꿈꾸는 경지로 올라선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문재인의 고뇌와 철학, 경륜에는 경제가 들어가 있지 않다. 앞으로 5,000만 국민을 먹여살릴 경제구상이 없다. 미래 먹거리에 대한 고민이 없다. 그는 단지 복지민주주의, 복지가 넘실대는 사회를 지향한다고 했다. 그게 노무현의 가치, 노무현의 유언이라고 했다. 사람사는 세상은 복지국가의 꿈이라고 했다. 경제적 복지를 넘어서 빈부귀천 가리지 않고 누구나 똑같이 존엄한 세상을 뜻한다고도 했다. 노 전대통령이 퇴임 후 여생을 바쳐 연구하고자 했던 진보적 민주주의라는 것도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민주주의라고 규정했다. 하지만 어떻게 복지국가를 건설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어떤 전략으로 그런 복지민주주의, 복지천국을 건설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고민의 흔적이 없다. 아직은 막연한 구상이다.  그게 문재인의 결정적이고 치명적인 한계다. 


걱정되는 것은 평생을 인권과 노동,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해온 그가 중임을 맡았을 때, 보일 편향적인 정치를 할 가능성이다. 지금처럼 기업과 산업, 경제에 대해 무지한 상태에서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을 경우 반기업, 반기업인시각이 노골적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노무현 전대통령이 경제 곳곳에 대못을 박아 경제를 위축시키고, 재계를 불편하게 만들고, 투자와 일자리창출도 저해했듯이 말이다. 문재인도 노무현식 마인드를 갖고 집권을 꿈꾼다면 국민들에게게 다시금 노무현 기시감(데자뷰)을 줄 것이다. 국민들은 크게 실망할 것이다. 

문재인은 이제 인권및 노동에서 벗어나 경제, 기업에 대한 올바른 시각이 균형을 갖춘 집권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런 방향으로 큰 뜻을 펼칠 국가방략을 세워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경제에 문외한인 대권주자로 인식될 것이다. 지금처럼 막연하게 진보적 민주주의와 복지국가만 외워서는 국민들을 실망시킬 것이다

중략

지금처럼 신비주의적 거품인기로는 대권주자로서 완주하기에는 힘이 부친다. 그가 모 지상파 방송의 <힐링캠프> 프로에 나와 베레모를 쓴 특전사 공수부대 시절의 활약상을 말한 바 있다. 시청자들은 그에게 감동했다. 이게 지지율 상승으로 연계되는 수준으로는 아직 부족하다. 그는 날씬하고 위풍당당한 공수부대 시절 폭파과정 최우수상을 받았고, A급 사병으로 평가받아 여단본부와 대대에서 서로 빼가려했다고 했다. 사격 수류탄던지기 전투수영 등에서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고, 20kg군장에 57야간 구보를 능숙하게 했다는 것도 시청자를 넘어 많은 네티즌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줬다. 이 방송이 나간 후 그의 인기가 치솟은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 그런 에피소드만으론 국민들에게 표를 달라고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가 대권마라톤에 완주키로 했다면 노무현의 2인자, 주군만 바라보는 참모를 넘어서야 한다. 그 자신이 리더로 나서 국민들을 상대로 설득하고, 땀과 희생을 요구할 수 있는 국가경영 철학을 가다듬어야 한다. 그는 야권 대선주자중에서 가장 경제내공이 짧다. 손학규 유시민 정세균 정동영등은 이미 자신의 경제철학과 국가경영전략을 어느 정도 밝힌 바 있다. 여당인 새누리당의 박근혜 비대위원장, 김문수 경기지사 등도 자신이 지향하는 국가에 대한 철학과 구상, 전략등을 내놓았다. 이런 점에서 문재인이 대권주자중에서 가장 미완성이다. 아직 이름만 거론될 뿐 다듬어지지 않은 도자기나 다름없다. 명품 도자기로 구워질 수 있느냐는 그의 역량과 의지에 달려있다. 그게 그가 피할 수 없는 진짜 운명이다.

[데일리안 = 이의춘 편집국장jungleelee@naver.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98
68570 중국 뉴스 사진 [1] 가끔영화 2012.09.18 2137
68569 (바낭) 패션하니까 떠오르는 유럽가서 한국인 패션으로 구별하기 [25] 소전마리자 2012.09.18 6022
68568 동생 [2] 윙윙 2012.09.18 1115
68567 부산 국제 영화제에 대하여 (보고 싶은 영화 LIST) [2] 교집합 2012.09.18 1569
68566 민간인 학살은 대한민국 육군의 자랑... [2] 晃堂戰士욜라세다 2012.09.18 1526
68565 [패션바낭] 나도 이옷이 나한테 안어울리는건 알아요. 하지만.... [22] 삼각김밥 2012.09.18 5146
68564 (듀나 대나무 숲) 의지가 없는 인간아, 왜 사냐? [15] chobo 2012.09.18 3667
68563 [바낭[] 듀게 운전자님들 주유소 어디 가세요? [4] 가라 2012.09.18 1108
» 데일리안 편집장의 눈으로 본 문재인의 삶 [7] 마당 2012.09.18 3259
68561 주말에 시간되시는분들 문화생활 즐기러가요~ [4] 오도리 2012.09.18 1915
68560 아래 감동님이 올리신 글 클릭하면 악성코드어쩌구 뜨는데요;;(냉무) [6] 카레여왕 2012.09.18 1040
68559 오스카 여우조연상 사진 [10] 감동 2012.09.18 2404
68558 (EPL 이야기) 골수 리퍼풀빠는 이제 득도의 경지를 넘어서 그 무언가로 발전되는 듯한 그런 것? [2] chobo 2012.09.18 1207
68557 우리가 즐겨 먹는 오징어를 말레이지아에서는 뭐라고 부를까요? [26] amenic 2012.09.18 3322
68556 [벼룩] 레몬디톡스 india 2012.09.18 1394
68555 (듀나인) 한국에 개인 온천탕이 있는 숙소가 있을까요? [12] 만약에 2012.09.18 7128
68554 이건 택배기사님이 경찰 아저씨랑 같이 오려나요?? [2] 닥터슬럼프 2012.09.18 2943
68553 [바낭]저도 10년전 유럽 배낭여행에서 국가별 비교가 재미있었던 것은~ 오맹달 2012.09.18 1471
68552 간만에 정시퇴근! [1] 살구 2012.09.18 781
68551 오스카 후보에만 머문 남자배우 [9] 감동 2012.09.18 193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