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jinbo.org/n_news/news/view.html?no=1259


현재 안철수 캠프에서 가장 뭥미스러운 인물인 이헌재와, 그 이헌재가 어떤 일을 할지에 대해서 예측하는 글이네요. 저는 많이 동감하는 글입니다만, 여러분 생각은 어떠실지. 



이하는 글 전문입니다.


-----------------------------------------


안철수 원장이 출마선언을 했다. 옆에 보이는 인물들이 인상적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구에 회자가 많이 된 인물이라면 단연 이헌재 전 장관일 것이다. 벌써부터 진보진영 일각에서 이헌재 장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그는 모피아의 대부이며, 한국경제를 망친 장본인이고, 신자유주의의 전도사이기 때문에 그와 가까이 지내는 안철수 원장에게 우려의 목소리를 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어떨까? 우리에게는 상대를 너무 쉽게 평가하고 쉽게 절하하는 습관이 있다. 피지배계급과 지배계급이라는 구분법에 익숙한 탓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어떤 전술적 차원에서 상대의 정체를 합리적으로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게 내 생각이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백번을 이긴다는 말이 옳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기 전에, 일단 이헌재가 누구인지부터 짧게 파악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중략)

이렇게 보면 일각에서 제기되는 ‘이헌재는 보수적 지지층을 안심시키기 위한 얼굴마담일 뿐이다’라는 안철수 원장을 위한 변명에 대해서도 제대로 판단해보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안철수 원장이 대통령의 자리에 올랐을 때 실제 경제 정책 집행의 주도권을 쥐고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세간에 언급되고 있는 안철수 캠프의 인사 중 이헌재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정치적으로도 자기 역할을 할 수 있는 수많은 연결고리들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오히려 안철수 원장이 ‘멘토’로 삼고 있는 개혁적 인사들의 제안이 아이디어 차원에서 받아들여져 진보적 지지층을 향한 얼굴마담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는 판단이 가능한 것이다.

이헌재 본인도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는 이미 오래 전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위와 같은 상황에 어울리는 언급을 남겼다. “박정희 경제 모델의 시대는 끝났으며 이제부터는 ‘창의경제’가 한국 경제를 이끌게 될 것이다.” 라며 “젊은이들이 창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것이다. 이 말을 통해 사회적 기업 등에 대한 정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안철수 캠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원재 전 한겨레경제연구소장과의 접점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36
68347 영화 <간첩>, 가벼운 감상평 [7] 가벼운계란 2012.09.21 2054
68346 적정 수면 시간 8 시간도 누군가의 말이 와전 된 거라는데 [6] 안녕하세요 2012.09.21 3478
68345 [결과바낭] '그 분'께 다른 사람이 있는 것 같아요. [8] india 2012.09.21 3193
68344 궁금한게 있는데 [46] troispoint 2012.09.21 4361
68343 자랑이라기엔 소소한 [3] 칼리토 2012.09.21 1663
68342 남양 더블샷 에스프레소 라떼.. [2] 도야지 2012.09.21 2323
68341 말 나온 김에 - 회원의 메일주소가 너무 쉽게 노출되는거 아닌가요? [12] soboo 2012.09.21 2356
68340 전도연 오랜만에 보는군요 [6] 가끔영화 2012.09.21 2090
68339 두 사람이다 [8] 닥터슬럼프 2012.09.21 1878
68338 [고민] 관리인 할아버지가 저한테 왜 이러실까요 [21] 이요 2012.09.21 2924
68337 동성애는 되고 근친은 안되는 이유는 뭔가요? [73] 샤또프 2012.09.21 11026
68336 (바낭) 백인을 동경 해보셨던 적이 혹시나 있으신가요? [28] 소전마리자 2012.09.21 3540
68335 [바낭] 저도 드디어 진성 앱등이의 길로... 들어서고 있는 것일까요? [16] camper 2012.09.21 2390
» [논평]안철수의 멘토, 이헌재의 정체 [16] 晃堂戰士욜라세다 2012.09.21 4121
68333 (바낭)헤어진 남친에대해 생각해보면 [2] 은빛비 2012.09.21 2090
68332 투덜투덜 불평하는 버릇 어떻게 고치죠? [4] 살구 2012.09.21 1669
68331 [짧은 바낭] 저한테 친구하자고 했던 일본인 남자애 [17] loving_rabbit 2012.09.21 3341
68330 왼손 국기에 대한 경례 [8] 가끔영화 2012.09.21 2803
68329 [듀나인]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외국인에게는 어떤 조언이 좋을까요? [5] 무도 2012.09.21 1671
68328 모종의 사건으로 떠올린 오래전 게시판 얘기 [7] 메피스토 2012.09.21 26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