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 레슬링 특집의 아쉬운점

2010.08.07 17:54

디나 조회 수:3739

 

  처음에 장기 프로젝트로 프로레슬링 특집이 방송된다고 할때 엄청 기대했어요. 예전에 레슬링을 참 좋아했기도 했고 무도멤버들이 그 짓을 할걸 생각하면 상상만해도

  빅웃음이 절로 나오거든요.  그런데 벌써 몇주째 방송이 되고 있는데 제가 기대했던 부분들이 아니라 뭐랄까 제작진이 포인트를 잘못 짚은듯한 느낌입니다

 

  프로레슬링의 정체성이 무엇일까요? 6년전이었나? 제가 스맥다운 내한경기 할때 안전요원 알바를 하루 뛴적이 있습니다. 뭐 별로 하는일은 없었구요. 경기 시작되고 나서는

  알바는 집어치우고 경기만 봤는데 실제로 경기를 보니 스피드도 생각보다 느려보이고 맞고 때리는것도 가짜인게 티가 나고 오히려 티비로 볼때마다 박력이나 그런것도

  없었어요. (중계기술과 편집의 힘) 그리고 무엇보다도 단발성 이벤트다보니 프로레슬링 최고의 재미라 할수있는 각본에 의한 스토리 전개가 없다보니 이건 머 이왕표선생

  님 나오시는 세계프로레슬링 선수권대회....하고 다를게 없어 보였거든요.  그리고 무엇보다 그때 티켓링크 사이트에서 wwe 스맥다운 경기의 장르가 무려 '연극' 으로 되어

  있었다는 겁니다. 연극......  wwe의 약자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죠. 프로레슬링이 재밌는 이유는 덩치들이 나와서 화려한 기술을 하고 구르고 날고 이런게 아닙니다.

  수십명의 작가들에게서 나오는 말도 안되는 코믹한 스토리라인과 배신와 음모 그리고 각종 저질 쇼맨십과 기믹등이 합쳐져서 나오는 B급적인 재미에 있는거죠.  

 

  그런데 무도에서는 지금까지 이 부분에 대해서 전혀 건드리질 않고 있어요. 어쩌면 무도의 7멤버들을 활용하기 딱 안성맞춤인 이 프로레슬링의 스토리라인 요소를 완전

  히 배재하고 있다는 겁니다.  아 물론 최소한의 레슬러로서의 기능을 하려면 꾸준한 트레이닝이 중요했겠죠. 그러니까 1년씩이나 걸렸을터이고... 하지만 무도 멤버들이

  스플렉스나 바디슬램이나 드롭킥이나 크로스라인이나 이런 기술들을 연마하는걸 몇주째 보여주는건 정말 지루하단 생각밖에 안듭니다. 프로레슬링은 봅슬레이나 에어

  로빅하고는 다르잖아요.

 

  1년이라는 시간을 준비했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최소한의 레슬러로써 트레이닝을 받는 부분은 과감히 1,2주 정도로 쳐내고 본격적인 레슬링의 쇼적인 재미를 부각시키는

  쪽으로 분량을 채웠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사실 7멤버들이 각자의 기믹을 만드는 것만 해도 빵빵터질만한 분량은 확보될것인데 말입니다.....

 

  참고로 제가 기억하는 WWE 최고의 순간은.... 2002년이었나? 만우절때였는데 그때 WWE가 로와 스맥다운 양진영으로 나뉘고 각각 빈스맥마흔과 릭플레어가 각각의 쇼의

  대빵이 되서 각자 선수들을 트레이드 하던 때가있었어요. 그때 마침 스티브오스틴이 부상에서 복귀하여 둘중 어디와 계약하느냐의 스토리였죠. 그래서 메인이벤트가

  경기가 아니라 빈스와 릭플레어가 각자 계약서를 들고 링위에 올라있고 오스틴이 등장해서 누구와 사인을 하느냐~ 이게 메인이벤트였습니다. 솔직히 보통 왠만한 경기

  보다 이게 훨씬 더 기대되는 이벤트였어요. 오스틴이 처음에는 빈스와 계약하는 척 하더니 흐뭇해하는 빈스의 얼굴을 보면서 '오늘은 만우절이다' 하고서는 바로 스터너를

  먹이는 장면...... 전 관중이 열광하고 저도 열광했습니다. 빈스는 나가떨어지고 링위에서 릭플레어는 오스틴이 자기와 계약한다면서 난리 부르스를 추는데 이때 다시 오스

  틴이 스터너를 먹이면서..... '아무도 오스틴에게 명령할수 없다'  바로 레슬링엔터테인먼트의 쾌감이 극대화된순간이었어요 그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0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0
109307 [유튜브] 외국인이 들리는 대로 부른 "강남 스타일" [5] espiritu 2012.09.02 3740
109306 언제부터 비둘기가 공포의 대상이 되었죠? [24] wonderyears 2011.06.10 3740
109305 밑에 글에 힘입어! 엔딩 씬이 황홀했던 영화 떠오르시나요? [54] canny 2013.04.05 3740
109304 국어 사전 어원 설명 미비의 부작용 및 영어 학습 확산의 폐해 [31] 쿠융훽 2010.10.28 3740
109303 박대기 기자가 말합니다. [8] 01410 2010.12.08 3740
109302 모험 없는 삶 [20] 차가운 달 2010.10.25 3740
109301 PMS 증후군은 해결방법이 없겠죠? [8] 산호초2010 2010.09.24 3740
109300 안젤리나 졸리와 뱀 [12] magnolia 2010.08.14 3740
109299 물건을 팔러 다니는 학생들 [8] 뭐나미 2010.07.13 3740
109298 오늘 전국 노래자랑 보신 분? [2] 자몽잠옷 2010.06.20 3740
109297 사람이 아직 다 안온다는 느낌에 [3] 가끔영화 2010.06.05 3740
109296 [아저씨] 그런대로 괜찮게 봤어요, [5] Q 2010.07.28 3740
109295 문재인의 문제. [36] 바스터블 2016.11.28 3739
109294 주화입마한 이재명 - 적은 혼노지에 있다... [30] 도야지 2016.11.21 3739
109293 손여은 , 정유미 닮지 않았나요? [8] 이안 2014.03.07 3739
109292 글자수, 원고지 계산기 [4] 완수 2013.10.28 3739
109291 퇴사를 결정한 주말입니다. [7] Trugbild 2013.07.06 3739
109290 한 축구 소년의 삶. [19] 자본주의의돼지 2012.12.11 3739
109289 [제목] 경제학과 성매매 합법화 - hubris님에 대한 비판적 리뷰 by liberal kim [7] DJUNA 2011.05.23 3739
109288 진보신당 좀 찌질하네요. [19] soboo 2011.06.10 373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