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저희 성당 수녀님의  "불가해소성"에 대한 글을 쓰고나서

매번 천주교를 씹..는 것 같아서 나름 마음이 복잡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카톨릭 신자거든요

 

사실 저는 천주교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천주교에 대한 칭찬을 좀 하겠습니다

 

천주교가 좋은 이유

 

첫번째, 

성당에서 이루어지는 행사는 자유롭습니다.

얼마전 연말이라서 연차친목회라는 행사를 성당 안에서 했드랬습니다 

직장에 다녀보신 분들은 대충 아실 것입니다 연차 친목회가 어떤 의미인지..

 

일단 신부님의 축사가 있은 후 각 "레지오"(성당에서이루어지는 종교모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듯) 별로 장기자랑을 합니다.

장기자랑 종목은 어느것이든 상관없습니다.

 

1등상을 받은 팀은 50~60대 연령으로 이루어진 레지오팀이었는데

무려' 싸이'의  '강남스타일'  춤을 추셨드랬지요

레지오 단장님이 현아역을,  부단장님이 싸이 역을 그리고,,,

 

이번에 아드님이 신부님이  되시는분께서 노홍철 역을 맞으셔서

 

다리 가랑이 사이에서 열심히 춤을 추셨습니다.  여성분이십니다.

 

구경하는 사람들은 탁자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술과 음료와 다과가 놓여있습니다.

우리는 그저 보고 즐기고 한바탕 크게 웃으면서 시간을 보내면 됩니다.

 

두번째,

천주교는 음주가무를 사랑합니다.

이것은 첫번째와 연동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술......됩니다.

담배..... 됩니다.

노래방....됩니다.

 

세번째, 천주교는 사고가 제대로 박힌 보수적인 집단입니다.

보수를 빙자한 ㅂㄱㅎ, ㅇㅁㅂ 이런분들과 안친합니다.

더 이상은 노코멘트하겠습니다.

 

 

네번째, 천주교는 믿음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내 믿음은 나의 의지에서 나온다는 점을 항상 인정하고

누군가를 데려오기 전에 내가 그를 데려올만한 자격이 있는지

다시 한번 심사숙고합니다.

 

다섯째, 천주교는 십일조를 강제하지 않습니다.

교무금이라는 것이 있기는 한데 개인의 자유입니다.

게다가 평일미사는 헌금도 받지 않습니다.

 

 

여섯째, 천주교는 프로테스탄스적이지 않습니다.

구원이라는 것이 철저한 나만의 것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신부님과 수녀님이 신자들의 믿음과 그 죄 씻음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고해성사(판공성사) 를 볼 수 있으며

그로인해 일정한 죄를 씻음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개신교처럼 철저하게 "신과 나" 로 이루어진

일대일 대응이 불가능한 집단이라는 얘기입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냐 의문을 품으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렸지요 이것은 종교입니다.

본질적으로 과학적으로나 논리적으로 해석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

혹시 종교에 목마르신 분들

애인 대신 종교라도 갖고싶기는 하지만 왠지

얽매일까 두려우신 분

천주교로 오십시오

 

두팔벌려 환영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25
267 헉, 나 이상한 사람 아닌데! [3] 걍태공 2012.05.23 1613
266 어릴때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1] Weisserose 2012.09.03 1616
265 여기 가보셨어요 [6] 가끔영화 2011.09.28 1620
264 [바낭] LCD TV의 신비.. [1] Spitz 2013.03.06 1621
263 몽실언니 [10] 왜냐하면 2018.06.20 1633
262 [디아3]그 동안 찔끔찔끔(?) 키워 온 부캐들을 공개합니다. [1] 晃堂戰士욜라세다 2012.07.16 1635
261 [포탈2]본격 하라는 테스트는 안하고 [2] 타보 2011.05.11 1637
260 이층의 악당 얘는 꼭 [3] 가끔영화 2012.02.14 1642
259 [구걸] 생일입니다. 축하해주세요. 굽신굽신. 굽신. 구웁신. [62] 이인 2013.01.14 1642
258 풍산개와 황해 [1] 가끔영화 2011.08.12 1651
257 [등업기념&바낭]여러분들의 동네마트는 어떤가요? [6] 쏘맥 2011.11.01 1660
256 미드 한니발을 다 봤습니다. [2] 닥호 2013.06.19 1678
255 드디어 오늘이군요. 가운데땅으로... [1] Aem 2012.12.13 1718
254 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 마지막 장면과, 다른 시리즈들 이야기 [13] 계란과자 2015.07.08 1722
253 [바낭] 누가 내 얘기를 하나..? (후비적후비적 or 엣취!!) [1] 이인 2013.04.08 1730
252 2004년에 문인들이 뽑은 소설 100선이 있었군요 가끔영화 2011.12.31 1738
251 각하 왈, 돈많이 버는 사람이 파업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통일은 정말 가까이 왔다? [7] chobo 2012.07.19 1751
250 (반항) 우린 아직 스물 다섯이지요? [10] 헬로시드니 2012.01.26 1757
249 개TV [5] calmaria 2012.04.22 1770
248 동물원에서 코바를 봤습니다.(사진) [5] 푸른새벽 2014.10.11 17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