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의 카드빚과 그 패기.

2013.01.09 10:13

꼼데 조회 수:6450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2&oid=001&aid=0006029273




전 이 기사를 보고 저 20대의 계획적인 행동도 행동이지만 카드빚을 진 패기에 더 놀랐습니다. 물론 기사에 그 돈으로 죄다 카드빚 갚았다라는얘기는 없어요.. 그렇지만 무려 3천만원이 넘는 귀금속을 훔쳐서 그 일부로 카드빚을 갚았다면, 독촉받아온 카드빚이 제법 적지 않았다는 말로 보이거든요. 몇십만원 선이라면 욕 좀 먹고 가족에게 SOS를 쳤겠죠.

나이가 26살이면 저보다 고작 한두살 위인데, 저 나이에 카드빚을 천만원 가까이 아니 설령 그 이하 한 500만원이라고 해도 그만큼을 빚질 일이....뭐가 있는 걸까요. 한심하다 이런 게 아니라 정말 지극히 궁금해서요. 어떻게 어디서 뭘 써야 저렇게 돈을 '크게' 쓰는 거죠. 단순쇼핑으로 저러긴 힘들 것 같은데... 저도 쇼핑 참 좋아하지만 한달에 5~10만원 정도거든요.

역시 명품백?! 근데 명품백 쇼핑이라는 게 사실 어릴 적부터 분기별로 질러오던--게 아니고서야, 어느 정도 나이를 먹어야 지를 수 있는 예산 및 배포가 생기지 않나요. 저랑 제 주변만 그런가요.

월 300가까이 버는 친구가 몇 명 있는데 한 명 빼고 다 명품백이 없어요. 산 친구도 적금 들어서 산 거고요. 니들 돈 있는데 왜 안 사~ 다들 대외용으로 하나씩 사던데 하고 물어보면 무섭대요 ⊙⊙ 아 근데 그 마음이 너무 이해가 잘 가요. 갖고 싶죠~ 근데....무서워요! 가방이 날 잡아먹을 것 같아! 제가 가방느님 오늘은 제가 님을 들고 나가도 될까요 하고 끌려다닐 것 같아요 ㅋㅋ 그래서 산다면 30대~40대...정도. 그때면 왠지 흠 너까짓거ㅋ 오늘은 빛 좀 쏘여주지ㅋ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얘기가 샜네요. 사실 명품백이 아닐 수도 있겠죠. 고가의 취미나 수집욕이 있었을지도요. 카메라? 등산? 요트...는 좀 택도 없는 것 같고. 천체관측을 좋아해서 망원경을 샀다던가. 이어폰 성능을 중요하게 여겨서 50만원짜리를 컬러별로 산다든가...당장 생각나는 건 이 정도.

왜 이렇게 남의 소비패턴이 궁금한데? 하실 수도 있는데 솔직히 좀 신기합니다. 궁금하기도 하고요. 이런 카드빚에 허덕이는 20대 기사가 실제로 드물지 않고 주변에서도 꽤 많이 봤거든요. 뭘까요. 무엇이 젊은 사람들로 하여금 카드 그것도 신용카드를 긁게 만드는 걸까요.

우리나라에 그렇게 소비를 유도할만한 고가 아이템이 많나? 그렇게 시장이 큰가? 그렇게 잘 사나? (--;) 물론 제일 신기(?)한 건 그만한 카드빚을 진 그 패기와 배짱입니다. 그 26,7살이면 예산도 예산이지만 그만큼의 돈을 써 댈 수 있는 '배포'가 있을 나이가 아니지 않나....요...? 저만 겁쟁이인 거에요? 사실 이게 겁쟁이고 그런 건 아닌 것 같은데, 그냥 괜히 나 혼자 배짱 없는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물론 기자가 의도적으로 그 부분만 부각한 걸수도 있죠. 실제로 카드값은 한 오,십만원 나온 걸지도 몰라요.

그런데 얼마전에 화차를 영화로 다시보기하고 책도 다시 읽어서일까요 .. 왠지 마음이 쓰이는 풍경입니다.

여자분이 잘 했다는 건 절대 아니에요. 다만 무엇이 그녀를 그렇게 상당히 계획적으로 오빠 집의 귀금속들을 가방 속에 쑤셔담게 만든걸까.... 안타까우면서도 오싹하고, 이상하고 궁금하고... 그렇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0
123943 [내용있음] 더 문 [9] 잔인한오후 2023.08.07 527
123942 로이배티님 글 받고 얹어서 - 집에서 에어컨 안틀고 올 여름 보내기 [23] Sonny 2023.08.07 773
123941 ( 바낭 ) [과학핫이슈]'묻지마 칼부림' 과학기술로 예방 가능할까 [6] 왜냐하면 2023.08.07 345
123940 킹더랜드 끝 [1] 라인하르트012 2023.08.07 350
123939 [핵바낭] 에어컨 없이 1주일 살기 [16] 로이배티 2023.08.07 696
123938 디피 시즌 2 [4] 라인하르트012 2023.08.07 358
123937 후쿠오카 (2019) catgotmy 2023.08.06 192
123936 프레임드 #513 [6] Lunagazer 2023.08.06 91
123935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다 또 아프겠지만 [9] 위노나 2023.08.06 513
123934 톰 크루즈 &폴 뉴먼 [4] daviddain 2023.08.06 324
123933 건담 쿠쿠루스 도안의 섬 (유튜브 건담인포) [5] skelington 2023.08.06 238
123932 [넷플릭스바낭] 제목 한 번 심플하네요. '9'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8.06 419
123931 한때 취미 [3] catgotmy 2023.08.05 293
123930 프레임드 #512 [4] Lunagazer 2023.08.05 110
123929 미임파 10회 차 사소한 거 [9] daviddain 2023.08.05 328
123928 (디즈니플러스 바낭)은하계의 수호자3가 디즈니플러스에 올라왔군요. [2] 왜냐하면 2023.08.05 277
123927 2010년대 명작 일드 중 한편, '그래도, 살아간다' 1화 감상 시작(스포일러 약간) [1] 상수 2023.08.05 303
123926 Mark Margolis 1939-2023 R.I.P. [5] 조성용 2023.08.05 176
123925 [티빙바낭] 그 시절 양키님들의 유머 감각, '웨인즈 월드' 잡담 [4] 로이배티 2023.08.05 364
123924 [넷플릭스] 오오쿠, 우워.....재미집니다. [4] S.S.S. 2023.08.04 7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