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북에 먼저 써서 올렸는데 이곳에도 올려봅니다.)

 

일본영화사를 넘어서 세계영화사에 남는 거장인 오시마 나기사가 사망했다. 슬픔을 느끼며 내가 좋아했던 오시마 나기사의 영화에 얽힌 개인적인 추억들을 떠올려본다.

오시마 나기사는 음악을 통해 먼저 알게 되었다. 즐겨듣던 라디오 영화음악 프로에서 자주 나오던 곡이 오시마의 영화인 <전장의 메리 크리스마스>의 주제곡인 'Merry Christmas Mr.Lawrence'였다. <마지막 황제>의 음악을 대단히 좋아했던 나는 그 영화 음악의 작곡가인 류이치 사카모토가 'Merry..'도 작곡했다는 사실 때문인지는 몰라도 이 음악을 참 좋아했었다. <전장의 메리 크리스마스>를 보게 된 것은 한참 뒤의 일이었다.

오시마의 영화와의 첫 만남은 97년에 이루어졌다. 나에게 영화가 '운명'이었는지 '저주'였는지에 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현재를 살고 있지만 아무튼 97년은 내가 본격적으로 영화에 미치게 된 해였다. 그 중심에 철학과 주최로 열렸던 '성과 파시즘' 영화제가 있었다. 평소의 나 같았으면 결코 이 영화제에 가지 않았을 것이다. 당시에 어머니로부터 뭘 할 거면 제대로 하라는 말을 들었던 것이 내가 그 영화제에 가게 된 결정적인 이유였다. 어머니의 말씀을 듣고 나는 영화에 관심이 있다면 가리지 말고 모든 영화를 다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던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던 모든 작품들을 다 보기로 마음 먹었다. 그 영화제의 상영작들 중에 바로 오시마 나기사의 <감각의 제국>이 있었다. 그 영화제에서 내가 영화라는 매체를 다시 보게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작품은 <시계태엽장치 오렌지>였지만 그 영화제 자체가 이후로 나에게 끼친 영향을 생각한다면 <감각의 제국>도 분명히 나를 영화에 본격적으로 빠져들게 만들었던 영화들 중에 한 편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감각의 제국>을 보고 왔다고 어머니에게 말씀드렸더니 "얘는 무슨 그런 악명 높은 영화를 보고 왔니?"라고 하시면서 놀라셨다. <감각의 제국>을 보면서 정말 지독하다는 생각을 했었고 마지막 장면에서 왠지 슬펐던 기억이 난다.

그렇게 오시마의 영화를 처음 접했던 나는 몇 년이 지나서 2003년 1월에 '오시마 나기사 회고전'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되었을 때 상영작들을 모두 보고 무척이나 감탄을 했었다. 아마 회고전 첫 날이었던 것 같은데 그날 나는 오시마 나기사의 영화를 보러온 엄청난 인파 속에 있었다. 그날의 풍경을 나는 비디오 카메라로 담았다. 줄을 서서 기다리던 나는 결국 <청춘 잔혹 이야기>가 매진이 되는 바람에 그날 보지 못했다. 회고전 기간 내내 매진이 끝없이 이어지며 수천명의 관객들이 오시마의 영화들을 열렬한 반응 속에 봤던 것으로 기억한다.

'오시마 나기사 회고전'의 상영작들 중에는 걸작들이 많았는데 그 중에 나를 가장 사로잡았던 영화는 바로 1960년작인 <일본의 밤과 안개>였다. 이 작품은 당시 영화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었던 프랑스 누벨바그와 호흡을 같이 한 새로운 영화였다. 사실 내가 정치에 대해 잘 아는 것은 아니라서 일본의 정치적 현실을 비판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이 영화의 내용을 그 당시에 잘 이해했었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나는 무엇보다도 이 영화의 형식에 완전히 압도되었다. 암울한 정조를 띤 불협화음의 음악을 배경으로 연극적인 세트 속에서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끊임없이 정치적 토론이 이루어지는 이 영화는 쉴새없이 움직이면서 인물들에게 과감히 돌진하기도 하는 카메라가 매우 인상적이었다. 어쩌면 이 영화의 진정한 주인공은 카메라 그 자체였다. 카메라가 격렬하게 움직이면서 뿜어내는 에너지는 실로 가공할 만한 것이었다. 연극적인 조명을 사용해서 장면 전환을 하고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방식도 신선했다. 이 영화는 보는 관객들에게도 전달될 수 있을 정도의 격렬한 에너지로 넘쳐났다. 오시마는 이 영화에서 당시의 일본사회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었다. 나는 이 영화를 보고 혁신가로서의 오시마의 면모에 완전히 반해버렸다.

그 회고전 이후로 나는 오시마의 영화가 상영될 때마다 거의 빠짐없이 챙겨보았고 영화 속에 정치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었으나 그의 급진적이고 창의적인 형식 실험에는 늘 열광하곤 했었다. 그의 영화들 중에 거의 유일하게 실망을 했던 작품은 칸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한 1978년작인 <열정의 제국>이었다. 이 영화는 처음 보았을 때 별다른 감흥이 없어서 영화를 잘못 보았나 하는 생각으로 다시 보았었다. 그런데 두번째 관람때도 몇몇 이미지가 인상적이었을 뿐 역시 큰 감흥을 얻지 못했다. 오시마다운 강렬한 에너지가 이 영화에는 없었다. 아쉽게도 후기로 갈수록 오시마의 영화는 점차 예전의 활력을 잃어갔다.

사실 내가 이해하기에는 결코 쉽지 않았던 오시마의 영화에 내가 그토록 열광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의 영화가 지니고 있는 형식적 급진성 때문이었던 것 같다. 나는 영화에서 늘 내용보다는 형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니까 말이다. 내가 고다르를 좋아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오시마는 '일본의 고다르'라고 불리기도 했었다. 오시마의 영화는 뭔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나에게 대리만족을 시켜줬던 것 같다. 오시마 나기사는 지금까지 내가 보았던 수많은 영화들중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을 수 있을 정도의 전위적인 영화들을 만들었던 위대한 영화 작가였다. 거대한 시네마스코프 화면 속에서 국가와 사회 그리고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에 대항하여 터져나오던 분노가 나를 완전히 압도하던 순간들을 잊을 수 없다. <사랑과 희망의 거리>, <청춘 잔혹 이야기>, <태양의 묘지>, <일본의 밤과 안개>, <열락>, <백주의 살인마>, <일본춘가고>, <교사형>, <소년>, <도쿄전쟁전후비화>, <의식>.. 앞으로도 삶이나 영화가 진부하게 느껴질 때면 오시마의 영화를 보면서 그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끓어오르는 에너지로 충만케 되고 싶다. 더 이상 그의 신작을 볼 수 없다는 것이 슬프다. 나에게 오시마 나기사는 영원히 '젊은' 영화 감독으로 기억되리라.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ㅠㅠ

 

링크 동영상: <일본의 밤과 안개> 예고편 (이 예고편만으로도 이 영화의 격렬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으며 이 영화의 혁신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l1ZbsPsPER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5
68 필름포럼에서 일링 코미디 특별전을 하네요. (2011.11.4-6) crumley 2011.11.04 1237
67 [바낭] 쪽쪽쪽 [2] calmaria 2012.07.10 1234
66 [이 정도면 단편] 해피 화이트 크리스마스 [4] clancy 2012.12.03 1230
65 왜 댓글이 되는 사람은 되고 안되는 사람은 안되는걸까 [7] 가끔영화 2012.01.01 1225
64 PCI 타입 무선랜 카드(ipTime G054P), 외장 안테나 연결 안해도 사용가능할까요? [5] chobo 2011.03.16 1221
63 영화일기 6 : 만덜레이,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호빗 다섯 군대의 전투, 쿼바디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7] 비밀의 청춘 2015.06.24 1203
62 (이제서야 PVP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디아블로3 이야기) PVP 좋아하십니까? [6] chobo 2013.01.14 1201
61 [연애바낭] 대선을 앞두고 긴장된 가운데 염장 투척....! [1] 오레오 2012.12.19 1197
60 [바낭]생명의 댓가... [3] kinema1995 2011.09.20 1188
59 한국은 정통 퀴즈 프로그램이 없나보군요 [4] 가끔영화 2011.07.24 1185
58 오늘 새벽 꿈. [3] paperbook 2012.08.29 1181
57 [생활잡담] 드디어 TV 교환(예정) + 공각기동대 블루레이 구입과 꿈. [2] 가라 2012.06.19 1180
56 스압주의) 8.15집회 후기 [3] 연금술사 2011.08.16 1178
55 한진중공업 노사, 정리해고 잠정 합의 [2] calmaria 2011.11.09 1177
54 [기사]“2014년부터 중고교 내신 ‘성취평가’로 바뀐다”? [5] 피로 2011.12.13 1173
53 (기사) 美 "한국, 약값 추가조치 없으면 분쟁절차" [1] chobo 2012.03.08 1172
52 시네마디지털서울영화제 수상작이 발표됐습니다. (양정호 감독의 <밀월도 가는 길>! 버터플라이상 수상! ^^) crumley 2011.08.24 1169
51 행운이란 [1] 가끔영화 2011.06.04 1160
» [추모] 내가 좋아했던 거장 오시마 나기사의 영화들을 추억하며.. crumley 2013.01.17 1160
49 자전거 벙개 쪽지확인해주세요. [3] Granteri 2013.05.23 115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