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듀게에서는 제목으로 설레발쳤다가 제 풀에 지쳐 떨어져 나간 적이 있어 창피합니다만, 이건 경험적으로 매우 쓸모 있는 일이라 이렇게 다시 한번 무서운(?) 설레발을 쳐봅니다. 제가 가장 싫어하는 방법론 저서들은 전부 뭘 시킵니다. 그리고 그걸 하고 나면 무언가 될 거라고 하죠. 사실 그것들은 매우 지겹고 힘들며 지속하기 어려운 일들이며, 당연히 그것들을 유지했을 때 어떠한 경지에 이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해보입니다. 마치, 자라나는 나무를 매일 같이 건너뛰면 나무 크기에 맞춰 뜀뛰기 실력이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는 과거 도술서처럼요. 많은 다이어트 서적과 자기 계발서, 그리고 긍정을 요구하는 도서들이 제게 비슷해보입니다. (하지만 제가 싫어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진 않으며 특정 사람들에겐 분명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누군가에게 있어 그저 돈 낭비는 아니라는거지요.)


그리고 제게 있어 어떠한 놀라운 경험은 적어도 한 달은 지속되어야만 누군가에게 말할 권한이 생깁니다. 하늘을 나는 방법을 알게 되었더라도 적어도 혼자서 한 달 동안은 날아다녀보며, '아 오른발 엄지발가락을 오른쪽으로 꺾어야 공중 3회전이 가능하군' '숨을 들이쉬는 정도로 고도를 결정할 수 있군, 심폐력을 늘려야겠어', '한 달이 되었는데도 아직 하늘을 날 수 있네, 이 방법은 지속력에 있어서도 괜찮군' 정도 되어야 공개된 커뮤니티에 누군가에게 이야기 할 겁니다. '하늘 나는 거 물에 뜨는 거랑 마찬가지야. 숨을 크게 들이쉬면서 비중을 공기보다 낮게 만들면 공중에 부유할 수 있어. 아, 이건 나는게 아니군.' 그런데 지금 제가 경험하고 있는 것은 효과가 제 삶에 있어서 꽤 좋은 편에 속해 30일을 못 참고 10일만에 글을 씁니다.


간단하게, 아침에 일어나서 제일 처음으로 줄 있는 노트에 머리 속에서 떠오르는 대로 3쪽을 쓰는 겁니다. 혹시 자신이 상상력이 매우 풍부하고 글쓰기에도 자신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리고 지금까지 글을 쓰지 않은게 머리가 뛰어나지 못해서가 아니라 게을러서라고 생각했다면) 3장을 쓰셔도 됩니다. 뭐, 6장도 괜찮겠지요. 하지만 3쪽 정도가 아침 디져트 먹는 느낌 정도로 간편하게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3쪽 쓰는 것도 꽤나 고군분투해야 되는 일이기 때문에 지속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긺을 추구하라고 말은 못 하겠네요. 그리고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서도 똑같이 3쪽을 쓰는거죠.


주의하셔야 될 점은 아침에 글을 쓰는데 있어서 '검열'을 잠시 꺼두셔야 됩니다. 그 글을 누구에게도 읽히지 않겠다고, 또한 너무 신경쓰이시면 자기 자신도 다시는 읽지 않겠다고 생각하고 글을 쓰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그 원칙을 만들었으면 글을 다시는 보지 말아야 겠지요. 제가 드릴 말씀은 여기까지이고 이걸 며칠간 했는데 매우 도움이 되었습니다. '쓸모'라는 단어를 쓰고 싶진 않군요. 이걸 쓰면서 그 단어가 검열의 원천이라는 사실을 깨달았거든요. (그러니까, 이 검열이라는 것은 성적일 수도, 터부일 수도, 트라우마일 수도, 혐오일 수도 있습니다. 온갖 쓰지 못하지만 떠오르는 것들을 전부 써 보는게 좋습니다. 생각나는대로.) (-쓸모,를 쓰고 싶지 않다고 해놓고 이 글의 가장 첫 문장에 쓸모가 있군요..)


기계적으로 이 자유기술에 대한 장점을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런 식으로 나열하고 싶진 않지만, 참고로 이 장점들은 이런 글쓰기를 하면서 생각해낸 것들입니다.)


1. 인간의 내적 상상력과 그것을 입출력하는 장치는 따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는 우리의 상상력을 있는 그대로 외면에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그런고로 이러한 머리 속의 상상-이것이 모든 사람마다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은 자명하다. 어떤 이는 이미지가 강할 것이며 누군가에게는 언어로, 다른 이에게는 목소리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애매하지만 촉감과 공감각적인 상상이 가능할 수도 있다-을 출력장치를 통해 외면에 구현시키는 연습이 된다. /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언어라는 도구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뚜렷하게 구현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그리고 사실 이로써 추가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딱히 글을 쓸 필요는 없으며, 상상한대로 그림을 그리거나 춤을 춰도 된다는거죠. 하지만 언어가 가장 보편적으로 무언가를 묘사할 때 가장 쉬우므로 발그림스러운 그림을 그리며 자신의 상상과의 갭 때문에 슬퍼함을 피하기 위해 언어 자유기술을 기초로 합니다. 다들 적어도 글은 쓸 수 있잖아요.


2. 자신의 검열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 인식을 통해 검열을 깊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와 타협할 수 있다. / 우리는 삶 가운데 수 많은 판단과 검열을 합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 내적 인식이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행해질 때가 많고, 저 같은 경우 검열이 꽤나 효과적에다 전방위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꽤 까탈스럽고 짜증나는 사람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검열과 타협하고 그가 일해야 될 부분과 일하지 말아야할 부분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의식적으로 그런 것을 방해할 수 있게 되었죠. 모르겠습니다, 이 것은 저에게 통용되는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기 검열과 타인 검열을 통해 다른 이들과의 소통에 있어서 깝깝한 면을 이뤄낸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논리적-감정적 태클을 걸때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검열관을 앞에 내세워 판단을 하도록 요구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것은 매우 손 쉽고 깔끔한 판단이 될 수 있지만 옳은 판단이 되진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적인 면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인지한다는 것은 꽤 좋은 일이죠.


3. 자신과 대화할 수 있다. 또는 자신과 대화할 시간을 얻을 수 있다. / 기기묘묘하지만 전 제 자신에 대해 이 도구를 통해 좀 더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몇 가지가 더 있긴 하지만 말로 할 수 없는 부분도 있고 별로 큰 주제가 아닌 부분도 있어서 이쯤으로 줄여봐야겠습니다. 제가 성공을 구분할 수 있는 시기가 다가온다면 그렇게 짧지는 않을거 같고 하지만 이 자체는 좋아서 글을 올리지 않을 수가 없군요. 작심30일정도 되어서 폭망하더라도 이 글이 부끄럽지는 않을꺼라고 생각합니다.



그런고로 한마디로 줄여서 '혹시 내일 아침에 시간 있으면 일어나자마자 줄있는 대학 노트를 펼쳐 생각나는 그대로를 3쪽만 써보세요, 그리고 그 다음날도'라는게 제가 전하고자 하는 전부입니다. 이것만 읽으셔도 되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5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1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7
60057 [듀나인] 외장하드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곳이요... [2] 루비 2013.01.18 1120
60056 소소한 이야기 ... 라식 후 등등 (렌즈 드림 마감) [9] 이안 2013.01.18 1592
60055 둘리나 빨강머리앤이나 [31] 루이보스티 2013.01.18 3418
» [자유기술 10일차] 제가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시킬 수 있다면, 바로 이겁니다. [14] 잔인한오후 2013.01.18 2096
60053 김밥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15] kct100 2013.01.18 4051
60052 타짜 고양이? 야바위 좀 해봤던 고양이? [4] chobo 2013.01.18 1631
60051 가스비 얼마 나오셨어요? [12] 라곱순 2013.01.18 3478
60050 [추억] 국민학교때 몇가지 슬프고 재밌었던 일화들 [20] 아카싱 2013.01.18 3259
60049 [바낭] 점심 뭐 드셨어요 외 [21] 에아렌딜 2013.01.18 2026
60048 배우랑 배역 어느쪽 존재감이 강한연기를 선호하세요? [1] 소전마리자 2013.01.18 948
60047 이동흡 헌재 소장 후보자 [5] 겨자 2013.01.18 2018
60046 [바낭] 김재중 신곡 뮤직비디오를 보니... [10] 로이배티 2013.01.18 2637
60045 무료나눔 2탄. 귀걸이 4쌍 나눔합니다 ^^ (종료!) [36] 꼼데 2013.01.18 1882
60044 전설의 레전드 영화를 봤더랬지요. 물론 X맛! [2] chobo 2013.01.18 1638
60043 어울림 모터스 벵가리 -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3] 도야지 2013.01.18 1732
60042 허트 로커, 캐슬린 비글로우 [13] 공벌레 2013.01.18 2506
60041 괴로워하고 우울해하는 사람과 얘기를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 [15] august 2013.01.18 2913
60040 송영길 "노무현 정부 때 국무총리, 장관을 지낸 사람들이 FTA 재협상이니, 폐기니 하는데 코미디다. " [5] 닌스토롬 2013.01.18 2359
60039 판교 푸르지오 공사중 붕괴 후속 조치. [9] 자본주의의돼지 2013.01.18 3886
60038 옛날 가수 여진 음악 아시는 분 계신가요? [6] 그냥익명 2013.01.18 20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