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영양가 없는 연애를 많이 했었고, 남편은 32살에 1개월 동안 딱 한번 연애를 해봤어요. 그것도 여자쪽의 적극적인 대쉬로 말이죠.

동갑 친구로 36살에 우연찮게 만났을 때 둘 다 결혼은 못할(안할) 거라고 생각했었어요.

저는 영양가 없는 연애에 지쳐 있었고 전남친은 헤어지기 전에 제가 나이가 많아서 네가 원하는 결혼은 못할 거라 했었어요.

들은 바로는 남편은 여자와 이야기를 길게 이끌어가지 못하는 편이었다고 합니다.  전 여친에게 재미가 없다고 차였고, 소개팅도 한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고 해요.

남편은 그 흔한(?) 남중 - 남고 - 공대 - 군대 - it회사 - 격무였거든요.

 

지인의 소개로 처음 알게된 날도 저에게 이직에 대한 상담을...ㅋㅋㅋ

저는 직장인들의 현실적인 고민인 이직 이야기라 열심히 대화를 했었고, 남편은 다짜고짜 이직같은 심각한 이야기를 꺼냈는데도 잘 받아줘서 신기했대요.

그리고 몇달동안 친구로서 잘 지냈답니다.  가치관도 비슷했고, 만화를 좋아하는 것도 비슷했고, 미드와 영화를 보는 것도 비슷했고, 게임도 같이 했으니까요.

남편은 저를 좋아한다는 자각이 없다가 제가 인던 문제로 고정팟 지인들과 한번 크아앙했을 때 처음 깨달았다고 하네요. 저를 놓치기 싫었다구요.

둘 다 나이가 있어서 남편은 고민을 했대요. 고백했다가 거절 당하면 좋은 친구로서의 저도 잃는 거니까 차라리 친구로 오래오래 지낼까 하구요. 물론 저도 똑같은 마음.

그러던 중 어느날 새벽에 둘이 이야기를 하다가 고백 비슷하게 말이 흘러갔고, 마음을 확인했고, 연애를 시작했으며 불과 몇 달만에 결혼을 했어요.

생각보다 양가의 반대도 없었어요. 진짜 인연을 만나면 물 흐르듯이 흘러간다는 말을 실감했어요.

 

연애를 할 때 자존감이 낮은 저는 늘 불안해 했었고 상대는 그걸 참 잘 알아서 이용했어요.

결혼 적령기에 들어서면서 연애를 할 때는 항상 결혼에 대한 압박감에 시달렸구요.

웃기는 건 연애를 할때만 그렇고, 연애를 안할 때의 저는 평온하고 즐겁고 행복하게 잘 살았던 겁니다.--;

지금 남편과 만나서 연애를 시작할 때도 상당히 불안에 시달렸습니다. 전 남친에 대한 트라우마가 좀 심했거든요.

결혼 이야기가 나올 때도 또 반대를 당하면 어떡하지라고 공포감이 컸구요. 그 어마어마한 공포감은 잘 이해를 못하실 거에요.

남편은 처음부터 결혼하고 싶다고 강력하게 이야기를 했고 양가에서는 별 말씀이 없으셨어요. 나이 들어서 결혼한다고 하니 어서 빨리 하라고...ㅠㅠ

그리하여 결혼 후 아직은 평온하고 행복하게 잘 살고 있습니다. 회사 사람들은 제 얼굴이 확 달라졌대요. 전엔 어두웠는데 이젠 빛이 난다구요.

 

남편은 애처가가 꿈이었고, 화를 내지 않으며, 대화에 적극적으로 임합니다. 저흰 모든 걸 대화로 해결하기 때문에 싸울 일도 거의 없어요.

집안일도 저보다 더 많이 하고, 가계부도 남편이 쓰고 있어요. 전 돈관리가 귀찮거든요. 같이 내역을 보면서 둘이 경조사비와 저축, 양가 용돈 등을 의논합니다.

남들이 보기엔 심심한 부부일 거에요. 주말은 항상 집에서 게임과 만화책과 치킨으로 보내니까요.

여행도 저흰 슬슬 다니면서 맛나는 거 먹고 손 꼭 잡고 산책하거든요. 남편 친구가 너네 무슨 재미로 여행하냐고...ㅋ

남편에게 제가 베프고, 저도 남편이 베프에요. 언젠가 이성적인 사랑이 없어져도 동갑내기 친구로 잘 지내자고 둘이 약속했어요.

으아아아아. 가끔은 남편이 너무 완벽해서 이런 남편을 차준 전여친님이 감사하다는 생각도 해요..--;

까칠하고 비관적인 제가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는 걸 보면 남편 효과가 어지간히 좋은 모양입니다.

 

별거없는 바낭이지만 길게 적는 이유는 언제, 어느 때, 어떻게, 인연이 나타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는 상투적인 이야기를 할까 해서요.   

그때 그 인연을 잡을 만반의 준비는 되어 있어야 하겠지요^^(갑자기 허니와 클로버의 마야마가 생각나는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4
19 프레디 하이모어 는 어쩜 저렇게 잘생겼을까요. [9] 자두맛사탕 2010.12.26 3223
18 타셈 싱 신작 [백설공주] 처음 공개된 릴리 콜린스의 백설공주 사진 [7] 보쿠리코 2011.07.23 3291
17 의리의 초콜릿 8개 받았음 [6] chobo 2013.02.14 3364
16 세미콜론 @#%#$*야!!! (AKIRA 정발 관련) [9] 아니...난 그냥... 2013.07.08 3423
15 겨울밤 야식 [17] 칼리토 2012.12.06 3631
14 미국 난리났네요 [3] soboo 2014.11.25 3717
13 파티를 즐기는 레이첼 맥아담스 [7] magnolia 2010.08.25 3782
12 대장균 득실대는 케익, 재료 알고보니... [5] 라곱순 2011.12.26 3845
11 오스카 시즌에 주목 받고 있는 여배우들의 오스카 라운드테이블 [7] 보쿠리코 2010.11.04 3923
10 콜린 파렐 & 키이라 나이틀리 <런던 대로> [10] magnolia 2011.01.22 4121
9 김어준의 파파이스(구KFC) 15회 - 아이폰의 위엄 [5] soboo 2014.07.05 4139
8 다이소 마실가기, 취미의 시작은 역시 지름부터! [6] 호롤롤롤 2012.06.29 4436
7 인셉션 영화가 개봉하기 훨씬 전에도 독창적인 꿈을 깨는 킥이 한국의 모 웹툰에 나온 적 있습니다. [5] nishi 2010.08.20 4638
6 명견 래드 vs 명견 래시, 한국에서 개 키우기 [7] 로이배티 2011.05.04 4698
5 추억의 코카콜라 88년 광고 [35] 슈삐유삐 2013.02.11 4950
» (바낭)그저그런 연애와 결혼 이야기 [36] 엘시아 2013.02.18 5665
3 미션4의 모로. 레아 세이두는... [9] 자본주의의돼지 2011.12.19 6867
2 앤 해서웨이 보그 US 11월호 화보 [7] 보쿠리코 2010.10.19 7272
1 브로콜리는 생으로 먹으면 안되는 음식인가요? [28] 점양 2011.04.04 919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