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월 내내 자유형과 악전 고투했습니다.  1-2km를 이제 별로 힘들지 않게 가게 되서 대충 되어가는 가 보다 했는데, 2월부터 단위거리당 속도(50미터 기준)를 올리려고 하니 그동안 막연히 느끼고 있던 문제점 때문인지 한계점에 부딪혔습니다. 주말 이틀 동안 지인들과 함께 수영하면서 집중적인 관찰을 부탁한 바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했습니다.  멘붕오더군요.  한마디로 기초적인 부분들이 부실하다는 결론이었지요. 경험상 이런 경우 대개 'Back to the basic'이 답입니다. 별 수 없죠 머.말이 씨가 된다고 정말 5년하게 생겼습니다. 하하.

 

   자유형 All Reset!!! 25미터 12스트록 25초 목표. 올해 내 1km를 저 기준으로 다시 가능하게 되기를 바라면서.

 

   슬럼프는 다시 도약할 수 있는 힘을 비축하는 과정일 뿐입니다.

 

2. 젊은 시절 읽었던 Marx의 글에는(정확하진 않습니다..하도 오래전 일이라) 이런 부분이 있습니다. " Man is what he made" 직역하면 "인간은 그가 만들어 온 것이다" 쯤 이겠지요? 저는 이것을 "인위적인 것이 자연적이다 혹은 자연적인 게 된다 " 라는 개인적 의미로 새깁니다.

 

    집중적인 운동(다시 말하면 몸을 쓰는 것)은 생전 처음인 저는 이 명제가 정말 맞다는 걸  새삼 느낍니다..몸이야 말로 인위의 축적물로서 구현되는 최초의 자연입니다. 조금식 몸에 쌓는 빼앗길 수 없는 내 '저축'의 재미가 요즘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해 줍니다.

 

3. 아이에게 '없던 마음이 생기건지' 혹은 '이미 존재하던 마음이 출현'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저는 그 순간을 기억합니다. 4-5 살쯤이었어요..어느 해의 봄날(4월 7일) 의 오후 아이와 함께 아파트 주위를 산책하다 그놈이 무어라고 말했는 데 바로 느낌이 오더군요. 아 이놈이 마음이 생겼구나.  화창한 봄날의 숨겨진 그늘처럼 제 마음이 처연해졌습니다. 가까운 곳에서 아무 묘목을 구해서 같이 근처 공터에 심었어요. "호야 오늘이 또 니 생일이구나"

 

    밤늦게 아이를 재우고 집사람이랑 한잔하면서 그 이야기를 했습니다. 잠든 아이를 옆에 두고 두런 두런, 기쁘면서도 무언가 쓸쓸하던 그 봄밤, 아파트 창밖으로 날리던 벗꽃 잎들을 물끄러미 바라보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이런 것이 사랑이구나.. 특별한 일이 생기지 않는 한, 죽는 순서가 이미 정해져 있는 사랑. 누가 떠나고 누가 남는지 이미 결정되어 있는 사랑.

 

    이제는 많이 컸지만 아이는 이미 평생 보여줄 사랑을 지 부모에게 다 보여 주었어요. 누가 그러대요. 부모란 그때 보여준 무조건적인 아이의 사랑으로 한평생 사랑하게 된다구요.

 

     호야 .무뚝뚝한 경상도 아비라 면전에선 오글그려 못하지만 이제 봄이 오니 다시 말하고 싶단다. 사랑한다 그리고 그동안 미안하고 고맙다. 언제 같이 그때 심었던 나무가 얼마나 컸는지 구경 한 번 가자.

 

4.  듀게 물개님들에게 질문 한가지요. 수영 드릴을 연습할 때 잘 안되는 부분 3-4가지 정도를 일정기간 집중적으로  만족한 수준이 될 때까지  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안되는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 드릴을 매일 싹 훑는 방식으로 하는 게 나을까요? 제가 후자의 방식으로 해 왔는데 좀 문제가 있는 것 같아서요.

 

5.  봄비가 와서 그런지 좀 감상적이 되고 마음이 촉촉해 지는 기분이네요. 저녁 수영 갔다 와서 한잔 해야겠어요. 요즘 와인 맛을 조금씩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거든요 ㅎ  아참 듀게 수영하시는 분들 화이팅입니다..여름 바다에서의 sexy한 body와 멋진 폼,그리고 물과 하나가 되는 따뜻한 경험과 제주 푸른 바다가 우리를 부릅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21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75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725
37 중구청, 폭력시위 단체에 용역 맡겼다" '특수임무수행자회'와 1년간 5억 원 용역계약... [6] chobo 2011.08.04 1946
36 지식 체널, 괴벨스 [1] 가끔영화 2011.03.05 1945
35 전례없는 보수 대결집을 완성한 대선 [1] 마당 2012.12.05 1941
34 아이폰으로 찍은 영화 파란만장이 [6] 가끔영화 2011.04.06 1929
33 정치인 심형래 [2] chobo 2014.08.12 1924
» 수영 두번째 슬럼프, 자유형 all reset, 어느 화창한 봄날의 기억.. [4] 무도 2013.02.18 1916
31 [잡담] K본부 토요일 오후 예능 "백점만점"과 "명받았습니다"가 동시에 폐지 되는군요 [4] espiritu 2011.05.02 1889
30 [기사] 이동통신 요금 기본료 월 1000원 인하. ___ 나는 안내려줘도 됨. [3] 고인돌 2011.06.02 1877
29 ‘디아블로 3’한정판 패키지 구매 대기표, 30분만에 2천개 동났다 [3] chobo 2012.05.14 1872
28 전설적인 오프라윈프리 쇼 25일로 폐막 [2] 가끔영화 2011.05.18 1821
27 이 모든게 야권탓이다? 인터넷이란 우물 그리고 선거 결과 관련 잡담 몇가지 입니다. [10] chobo 2012.04.12 1804
26 층간 소음 아니라 건물간 소음? [4] 쏘맥 2012.07.04 1796
25 감성돋는 날짜 [5] 미나 2011.05.12 1765
24 그래 그런거야 [7] 푸른나무 2016.08.22 1754
23 사람이 성장한다는게 무엇입니까 [9] 가끔영화 2011.07.30 1737
22 위키드 - Defying Gravity (Tony Awards) / 디즈니 애니메이터가 그린 스토리보드 [3] 라곱순 2012.02.28 1700
21 마늘밭에 가고 싶다 [3] 가끔영화 2011.04.17 1694
20 좀 전부터 계속 듣고 있는 노래, Walking in the air (The Snowman) [3] mockingbird 2011.01.31 1685
19 각하의 대선공약 ‘완료+정상추진’ 98.5% [2] chobo 2011.06.29 1681
18 [스포일러] 화이트 크리스마스 [7] 로이배티 2011.03.14 16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