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다크 서티 Zero Dark Thirty (2012)

2013.02.23 17:10

DJUNA 조회 수:15612


캐스린 비글로는 [허트 로커]에 이은 차기작 소재로 실패로 돌아간 2001년 빈라덴 암살작전을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촬영에 들어가기 직전 엉뚱한 뉴스가 날아옵니다. 미국이 정말로 빈라덴을 암살해버렸던 거죠. 저 같으면 그래도 밀어붙였을 것 같은데, 비글로는 빈라덴 암살까지를 다룬 새로운 영화를 만드는 쪽을 택했습니다. 이해 갑니다. 빈라덴이 죽은 이후 관객들이 실패한 암살작전까지 신경 쓸 생각은 없을 테니까요. 하지만 그래도 당시의 각본이 더 드라마와 캐릭터가 풍부했을 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제로 다크 서티]의 주인공은 10년에 걸친 빈라덴 사냥에 온몸을 바친 CIA 요원입니다. 마야라는 이름이 붙은 이 요원은 이 사건에 관여한 실존인물들을 뒤섞어 만든 허구의 캐릭터입니다. 아마 이 영화에 나오는 대부분 사람들이 그렇겠죠. 대부분 현역 요원이어서 신원 노출이 불가능했다고 합니다. 하여간 이 인물은 빈라덴의 직속부하를 추적하다가 결국 빈라덴의 은신처를 밝혀내고 맙니다. 그 다음에 우리가 이미 뉴스를 통해 알고 있던 제거작전이 시작되지요.

분명한 정치적 의견 같은 것은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영화입니다. 물론 CIA 요원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미국영화이니 거기에 따른 선천적인 편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관객들이 처음부터 예상할 수 있는 것이라 자동적인 교정이 가능하지요. 그것을 제외하면 영화는 별다른 코멘터리 없이 일어났던 사건들만을 허구의 틀 안에서 보여주는 것으로 만족합니다. 그것만으로도 재미있는 첩보영화의 소재로는 충분하죠. 단지 이 영화가 액션보다는 끊임없는 기다림과 시행착오의 이야기라는 점은 알아두어야 합니다.

제가 재미있다고 생각한 건 주인공 마야가 빈라덴 암살작전의 중요성이나 그 정치적 의미에 대해 단 한 번도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그냥 마야의 개인적인 임무입니다. 마야의 의무감이나 집착 역시 그 자신과 집단 안에서만 형성됩니다. 여기엔 애국심이나 정치는 핑계에 불과합니다. 영화 속에서 마야에게 중요한 것은 그것이 자신의 전인생을 바친 자기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주변 동료들이 다치거나 죽어간 것도 이유는 되겠지만. [제로 다크 서티]는 빈라덴 암살작전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학교를 졸업한 뒤로 10년 동안 한 가지 일만 생각하고 한 가지 일만 한 여자의 이야기입니다.

영화에는 몇몇 불편한 장면들이 있습니다. 알카에다 요원에 대한 잔인한 고문으로 시작하는 도입부부터 그렇습니다. 많은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고문을 미화한다고 비판했는데, 글쎄요. 그렇게 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일단 영화 속 고문은 여전히 불쾌한 행위입니다. 그리고 미국이 당시 행한 게 분명한 고문을 무시한다면 그것이야말로 거짓말이겠죠. 어차피 이런 첩보전에는 어두운 면이 있기 마련이고, 영화가 '사실'을 그리고 싶다면 그를 피하고 갈 수는 없을 겁니다. 그렇다고 반대로 고문을 과하게 예민하게 그리는 것도 거짓말일 거고요. 전 처음엔 질겁하다가 점점 고문에 대해 냉담해져 가는 마야의 모습이 사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비인간적인 임무에 진력이 나 떠나가는 댄의 모습도 그럴싸하고요. 저에겐 이런 것들이 오히려 별다른 의견주장 없이 이야기를 단순한 흑백구분으로 떨어지는 걸 막는 것처럼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전 영화의 클라이막스가 준 것 역시 미국의 주적을 암살함으로써 발생하는 카타르시스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제가 미국인들의 애국심에 편승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도 있었지만, 전 그런 건 거의 느끼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전 '그렇게 일이 끝나버렸으니 앞으로 마야는 어떻게 하나?'라고 걱정했어요. 마지막 장면에 의도적으로 과장한 공허함과 외로움 역시 그를 살리기 위한 도구에 가깝지 않았을까요.

존 르 카레와 같은 냉전시대 스파이물의 거장들은 스파이 소설을 통해 냉전구도라는 특별한 조건의 틈새가 만들어낸 기이한 종류의 인물들을 그렸습니다. 아마 [제로 다크 서티]가 그린 것도 포스트 9/11 이후 첩보세계의 틈새에서 일하는 특별한 종류의 사람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13/02/23)

★★★☆

기타등등
정말 오래간만에 여자주인공을 내세운 비글로 영화죠. 중간중간에 나온 텔레비전 시리즈 에피소드나 단편을 제외하면. 

감독: Kathryn Bigelow, 배우: Jessica Chastain, Kyle Chandler, Jennifer Ehle, Jason Clarke, Mark Strong, Édgar Ramírez, James Gandolfini, John Barrowman

IMDb http://www.imdb.com/title/tt1790885/
Naver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514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 마더/안드로이드 Mother/Android (2021) DJUNA 2022.01.08 2503
232 잠든 여인 Hypnotic (2021) DJUNA 2021.11.02 1833
231 아네트 Annette (2021) [1] DJUNA 2021.10.30 3159
230 F20 (2021) DJUNA 2021.10.29 1556
229 우먼 인 윈도 The Woman in the Window (2021) [3] DJUNA 2021.08.04 3074
228 방법: 재차의 (2021) [1] DJUNA 2021.08.03 2830
227 에빈의 끝에서 At the end of Evin (2020) DJUNA 2021.07.25 1642
226 사악한 쾌락 Vicious Fun (2020) DJUNA 2021.07.25 1731
225 미드나이트 (2020) DJUNA 2021.07.05 2571
224 내일의 기억 (2021) [1] DJUNA 2021.04.22 3038
223 노바디 Nobody (2021) DJUNA 2021.04.07 3113
222 세뇨리타 Señorita (2011) DJUNA 2021.03.01 1801
221 콜 (2020) DJUNA 2020.11.28 5707
220 런 Run (2020) [1] DJUNA 2020.11.28 4033
219 투 오브 어스 Deux (2019) DJUNA 2020.11.11 3062
218 레베카 Rebecca (2020) [5] DJUNA 2020.10.29 3624
217 디바 (2020) DJUNA 2020.09.30 40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