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투리 의문문

2010.08.19 01:43

강나루 조회 수:4827

아랫 분께서 말씀하셔서 한 6년전에 쓴 글인가 꺼내봤어요

(부산 네이티브지만 지금은 서울말만 쓰고 있어서 친구들이 제 고향은 몰라요) 어쨌든.. 도움되시라고



부산지방 사투리를 배워볼까요.
저는 어휘부분에서는 약해요. 문법과 억양 부분을 가르쳐드리겠습니다.
의문문입니다.
, 반말입니다.

1.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어디 가노? 뭐하노? 어떻게 하노?
동사 끝에 '-' 붙입니다.
주의점: 억양은 내려야 합니다. 의문사가 있으므로.
참고교재 강산에 노래 '와그라노(=왜그러니)'

현재형은 '-' 붙이면 됩니다.
예문: 뭔데? 뭐하는데? 뭐가 다른데?
어딘데? 어디 가는데? 어떻게 하는데?
이때 억양은 보통 올려야 하는데 내려도 됩니다(..)
올리면 귀엽습니다(..설명이 이따위고)

기타: '-' 수도 있습니다. '-' 쓰임이 비슷하지만
'-' 경우는 의문사 + 동사 뒤의 어미로써 위치하지만
'-' 행태는 의문사 + 바로 뒤에 붙이면 됩니다.
예문: 뭐고? 어디고?

뭔데/뭐고 어미를 길게 끌면 야유의 의미가 들어갑니다.
표준어의 '뭐야~~~~~' 같은 뉘앙스입니다.


2.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이렇게 하는 맞나? 재밌지 않나? 재미없나?
여기 글쓰면 되나? 안쓰면 안되나? (안된다 써라)

않다/없다 등의 부정어가 들어가면 문항 2 포함됩니다.
상세: 맞나, 않나 의미가 들어간 어간부분을 강조하고
마지막 재미 없나 경우는 '' 부분의 억양을 내리고
'' 끝부분을 올립니다.

예문: 이거 맞는거가?
주의: 표준어 '그런가'와는 다릅니다. 사투리로 구사하려면 '그렇나' 정확합니다. 둘다 회의적인 말투로 읊조리듯 구사하시면 됩니다.
어미를 올리면 정말 몰라서 물어보는 것이고, 어미를 내리면 반신반의하면서 물어보는 것입니다.


'-/-' 두가지 대표적인 어미는 표준어 '-'(그렇지 않니, 뭐하니 )에서 의미상 두갈래로 파생된 것입니다. 완전 내생각.

표준어 '뭐할래?' 해당하는 사투리는 '뭐하꼬?'입니다.
이부분은 연구가 .. 크흠.

기타 묻는 말에는 '-' 붙이기도 합니다.
'-' 표준말 '-' 해당됩니다.

예문: 오빠 믿제?(믿지?)
믿어도 되제(믿어도 되지)?

'-' 경우 표준말 '-' 평서형으로 있으나 사투리는 그럴 없습니다. 하는거지? 하는거지. 가능하지만 하는거제? 하는거제. 라고 구사할 경우, 완전 오래된 시골 아자씨 취급받습니다. 적어도 현재 부산 젊은이들 사이에선 저렇게 안씁니다.


.. 도피성 .
알바하다가.. 딴짓하기..
(1회이자 마지막회였음).
하도 글이 안올라와서 이런 .. 올려봄..

아니 그게 아니라
사투리 이상하게 구사하지 마세요. 라는 차원의 기획의도에서 .

어디가나? 뭐하나? 밥먹노? 상당히 어색한 말투거든요 (경상도에서)
앞의 두문장은 표준어로 치면 만하지만.. 딱딱한 말투로써
밥먹노? 자노? 이건 정말..


3.

어디가나?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어디가나? 어디가노?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디가나? 경우에는 어딘가를 가느냐/안가느냐? 묻는 것이고, -are you going somewhere?
어디가노? 라고 물어보는 경우엔 어디(where) 중점을 두어 -where are you going?
가는 곳이 어디인지가 궁금한 경우입니다. 뿐만이 아니라 또한 억양도 다릅니다.
어디가나? 회화에 적용시, 음절을 모두 높게 발음하시고
어디가노? 경우에는 굴곡이 있는 억양을 구사하셔야 하는데, 가장 높은 옥타브를 가지고 있는 음절은 세번째'' 강세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규칙에 적용하게 되면, 의문사가 있는 어디가노? '' 부분을 아래로 내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내포적의미가, 상대가 가는지/안가는지 궁금해서 물었는데 '어디가노?'(억양은 네음절
같은 음높이로)라고 구사하게 되면 어색하다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20799 프레임드 #167 [9] Lunagazer 2022.08.25 187
120798 [핵바낭] 모 영화 커뮤니티가 난리가 났군요 [16] 로이배티 2022.08.25 1448
120797 잊혀지다가 틀린 문법이군요 [7] 가끔영화 2022.08.25 548
120796 동양과 서양 천하 천자 등등 [4] catgotmy 2022.08.25 267
120795 [넷플릭스] 귀엽고 어두운 ‘로스트 올리’ [6] 쏘맥 2022.08.25 426
120794 나의 추앙일지 - 요즘 좋아하는 연예인 [4] 예상수 2022.08.25 644
120793 날두가 폰 부순 아이 어머니가 말한 통화내용 [12] daviddain 2022.08.25 696
120792 누구나 노래 해봐서 알겠지만요 여기도 이런 삶의 모순이 [3] 가끔영화 2022.08.25 214
120791 아침을 거르고 12시에 첫 끼니를 먹었을때, 아침 약을 먹어야 할까요? 점심 약을 먹어야 할까요? [13] 하마사탕 2022.08.25 1783
120790 짝사랑 할 때 주의할 점 [2] ND 2022.08.24 525
120789 그리스 배경 영화 두 편 봤습니다. [14] thoma 2022.08.24 538
120788 여러분, <놉> 보세요. 가능하면 큰 영화관에서! (노스포) [5] 부기우기 2022.08.24 701
120787 여고괴담 (1998) [8] catgotmy 2022.08.24 331
120786 다누리 호가 지금 어디있는지 아십니까!! [10] Lunagazer 2022.08.24 570
120785 프레임드 #166 [9] Lunagazer 2022.08.24 197
120784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5] 조성용 2022.08.24 704
120783 30 년 전 게임 삼국지3 해봤습니다 [16] 2022.08.24 434
120782 하우스 오브 드래곤 1회 짧은 바낭 [13] daviddain 2022.08.24 486
120781 깊은 밤 오일을 써보고 [4] catgotmy 2022.08.24 425
120780 절약정신과 관성 안유미 2022.08.24 3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