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계발 서적의 효과

2013.03.19 16:48

고구미 조회 수:3710

1. 국내에 불어닥친 때아닌 루저 열풍. 키 작고, 돈 없고, 빽 없는 삼위일체의 사람은 쓸모 없다는 대중 인식 확산. 삼위 일체의 젊은이들 사이의 패배 의식 고양. 

이 때 나타난 키 작고, 돈 없고, 빽 없던 김병만. 그리고 그의 자서전. 삼위일체 젊은이들의 꿈과 희망. 키 작아도 떳떳할 수 있다는 한 줄기의 자신감. 


* 그런데 자서전자기 계발 서적은 엄연히 다릅니다. 자서전은 성공담이 맞으나, 자기 계발 서적은 그렇지 않은 책이 훨씬 많아요. 물론 통계 상의 문제로 여러 사람의 성공 히스토리를 적는 경우는 많습니다. 한 사람의 성공담은 거북해도, 객관적인 연구를 통한 통계 자료는 꽤 쓸모 있지 않나요? 



2. 오랜 인고 끝의 첫 입사. 사회 생활은 해본 적도 없고 나이만 많다. 어린 동기들과 동년배의 상사들. 나이 많은 사람을 왜 뽑았냐는 듯 썩 반기지 않는 분위기. 사회 생활에 직장 생활에 얼른 적응하고 싶다. 나이 많은 게 일도 못한다는 소린 죽어도 듣고 싶지 않다. 고르고 고른 사회 생활에 관한 자기 계발 서적 한 권. 거기에는 입사부터 퇴사까지 내가 궁금했던 모든 내용이 잘 적혀 있다. 끝 부분에는 부록으로 실제 직장인들의 설문조사를 첨부했다. 우리 회사와 비슷한 사례를 집중적으로 읽으며 삶에 적용했다. 그 결과 인사를 참 잘한다며 직원들 앞에서 시범을 보이는 시간도 가졌고, 동기들에겐 배움직한 연장자로 상사들에겐 일 잘하는 부하로 소문이 났다. 


* 뜬구름 잡는 내용의 자기 계발 서적도 많죠. 그런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하고. 하지만 특정 현실에 엄청 도움되는 책도 많습니다. 다만 각자의 현실이 다르다 보니 그런 책들이 베스트가 되기는 어렵겠죠. 




아, 쓰다 보니 내가 왜 이러고 있나 싶어 그만 씁니다. 아무튼 인문학 서적만 읽는 분이든, 자기 계발 서적만 읽는 분이든, 아니면 둘 모두 읽는 분이든 서로를 비난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슨 오디션 투표하는 것도 아니고 무슨 쓸모가 있나요. 필요하신 분은 읽고, 필요하지 않은 분은 안 읽으면 되는 거죠. 저는 둘 다 읽습니다. 안목만 있다면 자기 계발 서적에서도 얼마든지 월척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아, 그런데 청소년, 대학생들은 자기 계발 서적도 많이 읽었으면 좋겠어요. 읽고나서 아무것도 못 얻는 것 같더라도 읽는 동안 꿈을 꾼다는 게 어딥니까. 몰랐던 내 꿈을 발견할 수도 있고. 인문학 서적을 보면서 오디션 1등을 꿈 꾸긴 어렵잖아요. 인문학 서적으로 쌓인 에너지를 자기 계발 서적으로 발산한다면 찰떡궁합이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1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7
113 내 글로 타인을 감동시키는 비법을 공개합니다 [15] 참세상 2014.06.27 3927
112 허위를 유포하고 그걸 쿨한양 받아들이는 세태가 더 지겹습니다. [7] 유디트 2012.06.06 3875
111 (기사링크) 사드 소설 '소돔의 120일' 배포중지·수거 결정 [25] chobo 2012.09.18 3761
110 책거지 1인 증가했습니다. [21] 오늘은테레비 2013.03.15 3728
» 자기 계발 서적의 효과 [16] 고구미 2013.03.19 3710
108 놀러와 '해결의 책' 구입하고싶은 분들 있나요? [6] 자본주의의돼지 2011.11.08 3666
107 [그림일기] 아이앰러브 보고 나서 강림한 청춘의 밤. [13] Paul. 2011.02.03 3649
106 이상한 기사: 한국은 달걀을 많이 먹는데 요리는 프라이 뿐 [20] 푸네스 2011.12.15 3585
105 요즘 난방 끄고 지내고 있는데요, [32] mockingbird 2011.02.11 3548
104 만화잡담- 히스토리에6권, 동경괴동, 킬링조크 [2] 룽게 2010.11.28 3547
103 허세 『모든 것은 빛난다』 [14] 닥터슬럼프 2013.11.07 3511
102 (어버이날 기념 바낭)인사 드리러 가서 이런 말을 들은 사람은 나 밖에 없을거야. [13] 엘시아 2013.05.08 3468
101 커트 보네거트 읽는 여자. [18] keira 2011.01.28 3450
100 일일 드라마에 완전 빠진 아부지 [10] 푸케코히 2010.07.01 3417
99 [듀나인] 책장 견적 너무 비싼 건가요? [10] 2011.01.31 3405
98 이제는 '국민화합'을 강조하시는 40대말 대구아저씨 박용모 씨 [16] 라곱순 2011.05.19 3398
97 바낭] 거의 15년만에 만난 친구 앞에서 '김대중 죽이기' 책을 들고 있었더니... [14] 푸케코히 2010.11.08 3354
96 소비자(시청자)는 왕이다? + 이택광 교수의 한예슬에 대한 글 [13] 13인의아해 2011.08.17 3340
95 나 모 작가, 도스토옙스키를 신랄하게 디스하다 [10] 닥터슬럼프 2012.10.12 3337
94 영드 미란다 좋아하세요? 책을 만들고 있어요 [16] 무름 2015.02.26 33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