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책강매'라기에 뭐 이런 교수가 있나 싶었는데,


인터뷰와 정황을 살펴보니 그게 아니더군요.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아래 유로스님이 잘 정리해서 올려 주셨네요.


다른 인터뷰를 살펴보니


마 교수는 2000년 초부터 이전과 다르게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감지했다고 합니다.


마 교수 강의는 저서를 읽어나가면서 강독 식으로 하는 거라 교재가 필수적이겠죠.

 

인터뷰 내용을 보니 결정적으로 작년에 맨 앞줄에 한 10명 앉았다 치면 ‘학생 읽어봐’ 하면 ‘책 두고 왔어요’,

 

뭐 ‘잊어버렸어요’ 이런 다고 하네요.


몇 해 전까지는 앞 줄에 있는 학생들 만큼은 교재를 갖고 진지하게 수업에 임했는데 작년 부터 그게 아니었다는 거죠.


그렇게 학생들 대부분 교재가 없다 보니까 딴짓이나 다른 공부하고, 그런 학생들 중에는 전자출결로 학생증만 찍어라


했더니 학생증만 찍고 도망가고, 마 교수가 불러도 가버렸다는 거죠.


순간 이게 막장 학원수업 분위기지 대학에서 있을 법한 상황인가 싶더군요.


강독식 수업에서 대다수 학생들이 교재가 없다고 할 때,


'나는 교재 없어도 수업 잘 듣고 리포트 잘 써낼 수 있어'란 말은 지독한 이기주의로 밖에 안들립니다. 


진지하게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에게 얼마나 민폐를 끼치는 행위입니까?


 

학생들 말대로 선배로 부터 물려 받았을 수도 있고 도서관에서 빌릴 수 도 있지만,

 

작년 600명 중에 50명이 교재를 구입해서 물려 받기 힘들고 도서관에도 3권 밖에 없다고 할 때,

 

대다수의 학생들은 교재를 사야 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중고서적을 사도 괜찮고 제본을 해도 좋지만 그게 돈이 더 든다는 거죠.


 

마 교수는 교육적 신념으로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수준이 질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우려한

 

특단의 조치라고 했는데, 이런 정황으로 볼 때 바른 조치였다고 생각되는군요.


마광수 교수가 어느 날 울컥해서 내린 조치가 아니라 10년 넘게 고민하다가 내린 조치란 겁니다.


인터뷰 마지막에도 그런 고뇌가 잘 드러나 있네요.


" '학생을 눌러야 한다'로 가게 되는 겁니다. 이 얼마나 비극입니까.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