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politics/all/newsview?newsid=20130723160209101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이 KBS의 수신료 인상 필요성을 재차 옹호했다.

이 위원장은 취임 100일을 앞두고 23일 기자들과 만나 KBS의 수신료 인상 문제에 대해 "공영방송이 광고를 바탕으로 수익을 내면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민간방송과 경쟁을 해야 해서 결국 질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공영방송이 자본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게 내 철학"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영국 BBC, 일본 NHK 등 해외 주요 방송도 세금에 준하는 수신료를 받아 운영하는데 재원 중 수신료 비율이 80%에 육박한다"며 "KBS는 이 비율이 38.5%로 광고(41%)보다 적다 보니 SBS나 MBC보다 공공성 지수가 더 낮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방송이 광고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자본주의 논리에 휘둘릴 수밖에 없어 사회의 정당한 여론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요즘은 정부에 의한 방송장악보다 오히려 자본주에 의해 좌우되는 게 더 크지 않느냐"면서 "자본이나 광고로부터 공영방송이 독자적으로 가려면 광고를 하지 않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KBS 수신료 인상이 기업의 광고 예산을 종합편성채널로 돌리기 위한 의도라는 지적을 의식한 듯 "방통위가 조만간 광고와 관련한 영향력 지수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며 "KBS가 광고를 줄이면 SBS, MBC가 상당한 광고를 가져갈 테고 종편으로 가는 비율은 전체의 2~4%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오는 26일로 취임 100일을 앞둔 이 위원장은 향후 관련 정책 추진에 있어 '공정성'을 제일 우선시하겠다는 의사도 분명히 했다.

이 위원장은 "앞으로 다채널방송, 클리어쾀 등 여러 것이 나오면 미디어 간 싸움이 예상되는데 무조건 원칙대로 할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다면 국민의 행복과 편의를 더 많이 제공하는 쪽으로 선택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이동통신 3사에 대한 영업정지와 과징금 부과 처분도 같은 맥락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이번 이통사 일 처리에서 봤듯이 원칙에 있어서는 단호하다"며 "미래부와 분리되면서 뒤늦게 출발해 이제야 조직 정비가 완료됐는데 이런 원칙 하에 앞으로 장기적인 프로젝트들을 하나하나 점검하고 시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ucid@yna.co.kr

 

다른때라면 어느정도 동의하겠지만 KBS의 현 상황을 볼때 이게 실현되면 자본의 압력에서 벗어나는 대신 정부에 철저하게 중속되겠죠, 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77
» 이경재 방통위원장, KBS 수신료인상 필요성 옹호 [2] 킴스클럽 2013.07.23 968
1146 넌 누구냐!!! [3] 여름숲 2013.07.22 1428
1145 펭귄,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2권이 나온 모양입니다. [10] 무비스타 2013.07.17 2020
1144 [바낭] 주중의 아이돌 잡담 [14] 로이배티 2013.07.16 2890
1143 아니, 지금 거울들은 보시고 우리 마코짱 못생겼다고 하시는 겁니까? [8] 룽게 2013.07.16 3556
1142 비싼 다이아몬드 [1] 가끔영화 2013.07.14 1449
1141 서울 경기 호우경보 [5] walktall 2013.07.13 2886
1140 [지름자랑] 내가 자이언트 로보 BD를 지르지 않았던 것은... [11] Mk-2 2013.07.12 1955
1139 [듀나무숲] 부서 워크샵 [5] 가라 2013.07.04 1811
1138 일련의 스노든 사태, 과연 한국에서는? [8] JKewell 2013.07.02 1632
1137 의외로 축구 이야기도 없는 듯 해서, 컨페더레이션스컵 스페인 VS 브라질 한줄평. [3] chobo 2013.07.01 1331
1136 [기사링크] 근래 본 중에 가장 찌질한 인간유형이네요.. [3] clancy 2013.07.01 3704
1135 [INFOGRAPHIC] 한국의 가사분담에 대한 인식과 실태 [4] JKewell 2013.06.30 2231
1134 호주에는 비가 오는가 [1] 가끔영화 2013.06.29 1597
1133 [바낭] 오늘자 '너의 목소리가 들려' 간단 잡담 [16] 로이배티 2013.06.21 3579
1132 웹상 개인정보 보안이 개인의 문제인가요? (흥분과 횡설수설 주의) [2] 안수상한사람 2013.06.20 999
1131 [바낭] PS3 최후의 기대작 '라스트 오브 어스' 엔딩을 봤습니다. (스포일러 없어요) [8] 로이배티 2013.06.20 1921
1130 미드 한니발을 다 봤습니다. [2] 닥호 2013.06.19 1678
1129 [바낭] 방금 새를 한 마리 주웠(?)는데 말입니다 [16] 로이배티 2013.06.14 4772
1128 그리스 방송국 폐쇄. [5] 킴스클럽 2013.06.13 279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