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politics/all/newsview?newsid=20130723160209101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이 KBS의 수신료 인상 필요성을 재차 옹호했다.

이 위원장은 취임 100일을 앞두고 23일 기자들과 만나 KBS의 수신료 인상 문제에 대해 "공영방송이 광고를 바탕으로 수익을 내면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민간방송과 경쟁을 해야 해서 결국 질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공영방송이 자본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게 내 철학"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영국 BBC, 일본 NHK 등 해외 주요 방송도 세금에 준하는 수신료를 받아 운영하는데 재원 중 수신료 비율이 80%에 육박한다"며 "KBS는 이 비율이 38.5%로 광고(41%)보다 적다 보니 SBS나 MBC보다 공공성 지수가 더 낮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방송이 광고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자본주의 논리에 휘둘릴 수밖에 없어 사회의 정당한 여론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요즘은 정부에 의한 방송장악보다 오히려 자본주에 의해 좌우되는 게 더 크지 않느냐"면서 "자본이나 광고로부터 공영방송이 독자적으로 가려면 광고를 하지 않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KBS 수신료 인상이 기업의 광고 예산을 종합편성채널로 돌리기 위한 의도라는 지적을 의식한 듯 "방통위가 조만간 광고와 관련한 영향력 지수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며 "KBS가 광고를 줄이면 SBS, MBC가 상당한 광고를 가져갈 테고 종편으로 가는 비율은 전체의 2~4%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오는 26일로 취임 100일을 앞둔 이 위원장은 향후 관련 정책 추진에 있어 '공정성'을 제일 우선시하겠다는 의사도 분명히 했다.

이 위원장은 "앞으로 다채널방송, 클리어쾀 등 여러 것이 나오면 미디어 간 싸움이 예상되는데 무조건 원칙대로 할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다면 국민의 행복과 편의를 더 많이 제공하는 쪽으로 선택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이동통신 3사에 대한 영업정지와 과징금 부과 처분도 같은 맥락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이번 이통사 일 처리에서 봤듯이 원칙에 있어서는 단호하다"며 "미래부와 분리되면서 뒤늦게 출발해 이제야 조직 정비가 완료됐는데 이런 원칙 하에 앞으로 장기적인 프로젝트들을 하나하나 점검하고 시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ucid@yna.co.kr

 

다른때라면 어느정도 동의하겠지만 KBS의 현 상황을 볼때 이게 실현되면 자본의 압력에서 벗어나는 대신 정부에 철저하게 중속되겠죠, 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8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2
28 안후보도 떠나고 "살인소설"이나 보고싶은데.. [2] 연금술사 2012.11.23 1060
27 iTunes가 이상해요 ㅠㅠ [2] 롸잇나우 2012.07.04 1058
26 아래글에 이어 세상 참 가끔영화 2011.04.11 1055
25 티아라 높이뛰기 [1] 가끔영화 2012.01.16 1054
24 [시국좌담회] 13회기 녹취록입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일단 미완성입니다. (좌담회 멤버들 접속해 있으면서 댓글도 없고 난 자플 달 뿐이고 OTL) [6] nishi 2011.05.17 1033
23 {영상} Do As Infinity-遠くまで(멀리까지) [5] miho 2011.07.13 1015
» 이경재 방통위원장, KBS 수신료인상 필요성 옹호 [2] 킴스클럽 2013.07.23 968
21 [자동재생영상]오랜만에 에이핑크 ㅋ [2] 2012.04.28 963
20 비례대표 꼴지 맞춰봅시다. [3] chobo 2012.04.11 962
19 유튜브 임베드법 배운 기념으로 올리는 첼로워즈! [7] 걍태공 2011.12.05 959
18 비틀즈 [2] 가끔영화 2011.12.29 956
17 올해의 마지막 정치 잡담 글을 적어 봅니다. [4] 로이배티 2012.12.20 931
16 인터넷뉴스 댓글 "추천" 알바 (?) [2] 에스씨 2012.01.12 900
15 [바낭+듀9] 이탈리아 근대사 이후의 역사에 대해 책 추천좀 부탁드려요 [2] 에아렌딜 2012.04.01 879
14 나탈리우드,깨우는 노래 추가 [1] 가끔영화 2012.02.18 874
13 이번주 일요일 하루종일 집에 계실 분들은 오후 1시부터 채널 CGV를! 다이하드 1~4편 연속 상영! [7] chobo 2013.02.01 850
12 '희망버스', 국회로 향하다 [7] 사이비갈매기 2012.03.09 827
11 <정치바낭> 단어 정의를 바꿔야 할 판. 반론 없는 토론이라니? 치트키는 제발 게임할때만;; cnc 2012.11.30 825
10 [언제나처럼 바낭]새해 언저리에 생각한 것, 한 것. [2] 밍고 2012.01.03 811
9 영화일기 5 : 침묵(잉마르 베리히만), 8과 1/2(페데리코 펠리니), 경멸(장 뤽 고다르), 뉘른베르크의 재판(스탠리 크레이머) [3] 비밀의 청춘 2015.06.22 78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