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가 구경하는 일부 바이크 동호회를 보면 일본 방사능에 대해 걱정하면서 일본음식, 일본재료 피하고 싸다고 일본여행 가는 젊은이들이 철없다고 탄식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동호회에서 일본산 바이크 타는 사람이 대부분인데...?

아직까지 방사능 때문에 후쿠시마 사태 이전 연도 중고를 찾는 사람은 못봤습니다....

조심하고 비난하는 거야 해야 하겠지만,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면 그 스트레스 때문에 더 안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 저는 나이브 한걸까요.


사촌동생이 일본 오사카 지사 발령났는데 가족이랑 애들 안데리고 가고 혼자 갔다는군요.

하긴 저도 아기들 데리고 일본 가는건 께림직 할것 같네요. 칸사이쪽이나 오키나와라면 덜하려나...

(어.. 오사카는 칸사이쪽 아닌가..)



2.

제가 다니는 회사는 임금피크제를 도입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나이가 들수록 대학 학자금이나 자식 결혼 같은걸로 돈 들어갈때는 많은데 임금을 깎는다는게 이해가 안갑니다만..

도입 첫해에 2년 연장하고, 아마 올해 1년 더 연장하는걸로 노조랑 합의할 것 같다고 하네요.

뭐 노조원이 아닌 사무직으로서는 다른 나라 얘기입니다만...


저희 파트장님의 목표는 정년 채우는 겁니다. 사기업에서 노조원도 아닌 관리자가 정년을 채우는 일은 흔하지는 않죠.

하지만 올해 임금피크제로 정년이 1년 더 연장될것 같다는 말을 듣고 기대를 하고 계십니다. 4년정도 남았네요. 

이건 이해 합니다. 저도 오래 돈벌고 싶으니까요. 한참 팔팔할때 회사 그만두고 모아놓은 돈도 없으면 막막하지요.


그런데 저의 희망사항는 우리 파트장이 퇴직하기전에 그만 두는 겁니다.

규정과 방침대로 처리하면 문제가 되거나 평가에 마이너스 될일을 묻어두거나 비공식적으로 처리하는게 너무 많습니다.

제가 아직 회사 정치를 이해하지 못해서 인지.. 잘한건 잘했다고 칭찬 받고, 못한건 질책받고 책임지고 문제는 이슈화 시켜서 해결해야 하는거 아닌가 생각하는데, 파트장은 묻어놓기만 합니다.  이 과정에서 '을'입장인 사람들에게 은근한 압박도 자주 넣고요.

나중에 그만두고나서 묻어놓은게 불거져서 제가 책임을 져야 한다거나.. 아니면 '전임자때는 문제가 없었는데 왜 가과장이 맡으니까 자꾸 문제가 생겨?' 하는 소리를 들을 것 같아요. 막상 그런 일이 닥치면 저도 역시 묻어두기만 할까요? 그렇게 변하고 싶진 않은데...


가장 큰 고민은.. 자기 퇴직할때까지 사람 충원 안받는다고 하고 다닌다는거.. --;;

6명이었던 조직원이 점점 줄어 2명이 되었는데 사람을 안 받는다고 하고 다니면 어쩌라는건지.. 사람을 받으면 자기 자리가 위태로와진다고 생각하는것 같은데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경력 20년이 넘는 부장이 신입사원 받았다고 잘릴까?  신입 받아서 한사람 역활 하도록 트레이닝 시키는데 2~3년은 걸리는데..... 

위에서 몇번 '가과장 너무 오래 근무했는데 다른 부서 보내야 하지 않음?' 하고 찔러볼때마다 팀장이 '그 파트에 2명 밖에 없어서 안됩니다. 빠지면 일 빵꾸 납니다!' 라고 방어했다는데.. 팀장님 걱정되면 신입사원 좀 받아주세요. 네? ㅠ.ㅠ




3.

결혼을 하면 주말이 정말 바빠지는게 일단 가족행사가 더블로 늘어나는데다가 분가를 하니 본가와 처가도 방문을 해야 합니다.

특히나 저희는 9~11월에 행사가 많이 몰려 있어서...

(장인어른 생신->아버지 생신->조카 돌잔치->여보님 생일->추석->우리 결혼기념일->어머니 생일->장모님생일->부모님 결혼기념일..)

거기에 고교 동창 모임이랑 대학 동기 모임이 끼어드니... 거의 매주 서울로 올라가야 하네요. 아 교통비... orz..

대충 계산해 보면 서울 나들이 한번 할때마다 평균  5만원정도 나가더라고요.


어떻게든 여보님을 설득해서 연비가 좋은 디젤 세단이나 하이브리드로 바꾸고 싶습니다. (윙?)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