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아프셨던 아빠

2013.10.31 11:30

여름숲 조회 수:3091

1.

저 아래 회사 직원의 아버지가 10년 병치레를 마감하시고 가셨다는 글을 보니..저도 저희 아빠 보내드리던 생각이 나서 몇글자 써봅니다.

벌써 2년이 다되어 가네요.

아빠도 5년을 아프셨어요.

조기위암이라 진단이 나와  내시경을 통한 간단한 수술로 해결될 줄 알았던 것이 수술로 이어지고, 수술 후 또 염증발생으로 거의 두달을 물 한모금 못드시고 고통스러운 병원생활을 견뎌내셨고

퇴원 후 즉시 항암치료..

일년반 후 재발

이후 계속되는 항암치료- 정맥주사, 경구투약, 토모테라피, 일반 방사선 치료, 할 수 있는 것들은 다해봤지요.

그리고 2년 전 여름 주치의가 치료를 포기하고 초겨울 돌아가실 때까지 통증케어밖에 없었지만 일정 정도의 통증을 벗어나니 집에서는 감당이 되지 않더군요.

통증 완화 패치를 온 등에 빈틈이 없도록 빼곡히 붙이고, 보통사람은 반알만 먹어도 정신이 혼미해질만한 강력한 진통제를 수시로 한주먹씩 드시고, 몰핀을 링거에 섞어 맞고 계셔도 순간적인 통증이 올때는 추가로 또 진통제를 맞으셔야만 했고, 밤이면 강력한 수면제 없이는 두시간도 수면이 불가능한 시간을 보냈어요.

나중에는 제발 이제는 나를 보내달라셨지만 오빠도 저도 그 눈길을 외면할 수 밖에 없었어요. 자식으로서 차마 그 손을 놓을 수는 없었으니까요. 아니 더 적극적으로 아빠의 남은 삶을 연장하기 위한 노력을 했어요. 지나고 생각해보니 그 긴 고통의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여드렸어야 맞는게 아닌가 싶지만, 그 당시는 그날그날의 혈액검사 수치가 조금만 안좋아도, 식사량이 조금만 떨어져도,  알부민이다 뭐다 영양제를 놔달라고 주치의나 레지던트를 붙잡고 늘어졌었죠.

위암이 폐로 전이되고 나중에는 뼈까지 전이되는 극심한 고통속에서 마지막에는 폐렴이 와서 열이 펄펄 끓어오르는 와중에도 아빠는 끝까지 정신을 놓치지 않으셨고 신변 청결 또한 철저하셨죠. 그래서 더욱 더 우리 가족들은 아빠가 그리 급하게 가실거라 생각을 못했던 거 같아요. 전날까지 또렷하게 계시다가 다음날 그리되셨으니...

 

2.

아빠가 가시고 아빠 지인들께 부고를 전해야 했습니다.

일견 예견되어 있었기에 아빠 수첩을 받아 연락처를 모두 미리 엑셀에 정리를 해두었던걸 출력해 전화를 돌렸어요.

거의 모든 전화번호가 011, 017, 018, 019 로 시작되고 있었고

70%이상의 전화가 결번이거나 명의가 바뀌어 있었어요.

아빠가 아프시기 전까지는 꾸준히 사회활동을 하고 계시고 인맥이 제법 넓었었는데 5년이 채 안되는 투병기간 동안 주변의 사람은 거의 떨어져 나가고

동창과 오랜 친구, 한동네에 오래 거주했기에 동네분들만 남아있더군요.

다행히 오빠와 제가 장성해서 각자의 직장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었기에 장례식장은 정신없이 북적거렸죠.

그런 북적거림 속에 아빠 잃은 슬픔을 조금이나마 뭉쳐두고 있을 수 있었던거 같네요. 어쨌든 해내야 하니까요. 엄마는 거의 실신 지경이고 오빠도 문상객을 맞이하느라 정신없었고, 저도 제 문상객을 맞으면서 또 어찌되었던 이틀간의 살림을 꾸려내야 했으니까요..

 

3.

오랜 아빠의 투병 끝에 기억에 남는 사람이 몇몇 있습니다.

큰 수술을 하고 난 후 환자 본인도 가족들도 정신이 없을 때 오지 말래도 부득불 찾아오시던 아빠의 지인들.. - 이후 예의상의 전화도 없으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병문안..그거 본인이 원치 않으면 엄청난 민폐이니.. 자제했으면 좋겠습니다.

 

눈이 펑펑 내려 저도 병원을 들러 일찍 집으로 나선 날

제가 병원에 없었는데도 겨울철 귀했던 고급과일 들을 한아름 챙겨서 찾아와 엄마와 아빠의 손을 따뜻하게 잡아주고 갔던 친구

 

그리고..마지막으로.. 아빠가 돌아가시기 전날 문병을 왔던 대학 선배..

제법 멀리살던 선배인데 마치 이웃동네 놀러오듯 그냥 보고 싶어서 왔다며 와서 너만 봐도 되고 아빠가 허락하시면 아빠 뵙고 가겠다고 조심스레 물어보던 선배..

가족이 아닌 사람으로서 마지막으로 아빠를 뵈었던 사람이예요.

그리고 직장이 있었는데도 이틀 밤을 함께 지세워주었고요.

겨울 북해도 여행을 다녀와서.. 그냥 생각나서 샀어 아빠 가져다 드려~~ 하며 타르트를 한통 쑥 내밀던 것도 기억이 납니다.

아마 평생을 두고 고마운 사람으로 기억될 거 같네요.

 

4. 마지막으로....

오늘이 제가 지금 회사에서 일한지 만으로 14년 되는 날입니다.

오늘 밤 조촐히 자축파티라도 할까합니다..

그 파티는 두산의 코시우승 파티를 겸하리라 믿어의심치 않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8
416 성장과정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받게되는 요인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28] soboo 2010.11.22 3087
415 감기, 다이어트, 감정정리 등등 [1] 바이바이 2010.11.22 1751
414 [대나무숲성바낭] 이건 바보도 아닐텐데... [26] 가라 2010.11.26 3365
413 비틀즈 박스 세트, 그 분들의 은혜는 끝나지 않았다 [3] 남자간호사 2010.11.27 2524
412 오랜만에 올리는 팝송(The Field Mice - Canada) [2] catcher 2010.12.01 1405
411 스마트폰 이상 없이 오래 쓰는경우가 더 많은거죠? [5] 자두맛사탕 2010.12.03 2368
410 시 한수 가끔영화 2010.12.05 1759
409 [바낭] 무상 급식 이슈에 대한 두서 없는 잡담 [4] 로이배티 2010.12.06 1387
408 네이버는 늙은 군인이 죽이겠다! [7] 데메킨 2010.12.08 3221
407 [바낭] 과연 지금까지 기억하고 좋아하는 사람이 있기는 할까 싶은 옛날 가요 하나 [18] 로이배티 2010.12.09 2610
406 강타 1집 :) [6] 점양 2010.12.11 2786
405 현대자동차 Too Old, Too Young, Guys Only 광고요. [9] 프레데릭 2010.12.13 2520
404 케이크 취향 [8] 당근케잌 2010.12.16 2773
403 크리스마스는 영화와 함께...... [3] 걍태공 2010.12.19 1512
402 겨울 유럽 여행 별론가요? [9] 호두 2010.12.23 3732
401 오늘 구글 첫화면 정체는 뭐죠? [14] 자본주의의돼지 2010.12.23 4215
400 [바낭] 좋아하는 크리스마스 노래 한 곡. 로이배티 2010.12.24 1217
399 짧은 뻘질문 -10 학번부터는 학번을 어떻게 읽죠? [13] 안녕핫세요 2011.01.03 3460
398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 중에서. [3] 필수요소 2011.01.05 2442
397 민주당 ‘실질적 무상의료’ 당론 확정 [4] beer inside 2011.01.06 156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