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에서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을 틀어주어서 봤습니다

1920년대 아일랜드가 배경이지만 다루는 사건은 보편적입니다

당시 식민 지배를 받았던 국가에서 일어날 수 있었던 일이라고만 한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어떤 체제에 반대해서 생긴 모든 단체는 외부의 적이 없어지면 

그 화살을 자기 안으로 돌릴 수밖에 없게 되니까요

영화에서도 데미안 역을 맡은 킬리언 머피가 이런 대사를 읊죠

무엇인가에 대항해서 싸우기는 쉽지만, 무엇인가를 위해서 싸우기는 어렵다.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은 데미안의 행적을 따라가면서 진행됩니다

영화 안에서 데미안의 운명과 관련하여 중요한 세 개의 장면이 있습니다.

그 세 개의 장면들은 모두 죽음과 연결되어 있죠.

첫 장면에서 데미안은 영국군이 17살 소년을 죽이는 것을 보게 되지요.

병원이 있는 런던으로 가려던 데미안은 이 사건의 여파로 인해 아일랜드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형 테디가 이끄는 아일랜드 독립 운동 단체에 투신하게 되지요.



열심히 독립 운동을 하던 데미안은 두 번째 죽음과 마주합니다.

자신들의 행방에 대해서 밀고를 한 크리스를 자신의 손으로 처형하게 되죠

아이러니하게도 크리스도 영국군이 죽인 소년과 또래입니다. 사실 데미안 쪽이 더 끔직하죠.

영국군은 소년의 이름도 몰랐지만 데미안과 크리스는 서로 아는 사이였습니다

크리스는 죽기 전 두려움에 떨면서 자신의 마음을 계속 말하지요데미안의 이름을 부르기도 하고요. 

크리스를 죽이고 나서 데미안이 조국이 이렇게까지 할 가치가 있는 것이겠지?, 라는 의미심장한 대사를 뱉습니다

이 대사로 조금 눈치가 빠른 이들은 눈치를 챘겠죠

영국에서 아일랜드가 벗어난 뒤에 이어질 혼란을 버티지 못 할 데미안의 운명을요

데미안이 꿈꾸는 이상적인 조국이 그리 쉽게 이룰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요.



아일랜드는 협정을 통해 영국에서 벗어나지만 데미안이 보기에 그 협정은 반쪽짜리입니다

데미안은 자연스럽게 그 협정을 진두지휘한 테디와 날을 세우게 됩니다

사실 둘의 이념적 지향점은 같은 지점이었던 때가 없었습니다

영국이라는 외부의 커다란 적이 있어서 둘의 갈등은 가려진 채로 곯아가고 있었지요

이제 둘의 갈등은 터져 나옵니다. 테디를 따르는 쪽과 데미안을 따르는 쪽은 서로를 죽고 죽이기 시작합니다.

데미안이 맞이하는 세 번째 죽음은 자신의 죽음입니다. 테디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병사에게 총살을 당합니다

사실상 같은 편이었고, 자신과 평생을 보낸 테디에게 죽게 된 것이지요.



어떤 면만 보자면 데미안은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죽은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저는 과연 그럴까 의문이 듭니다. 제가 보기에 데미안은 신념이, 이상이 필요한 사람이었습니다.

조국을 가치 있는 것으로 믿은 데미안은 어긋난 모습을 용납할 수 없습니다

조국은 가치 있는 것이어야 했습니다. 자신이 한 일들을 정당화해야 하기 위해서는요. 

데미안은 자신이 믿었던 그대로를 끝까지 밀어 붙여야 했습니다.

협정 이후 그가 쓰는 글을 보고 형은 말하죠. 이런 걸 읽을 사람이 어디에 있겠느냐고

글의 내용을 떠나서, 데미안은 글로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라 일방적인 비난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각에서 본다면 데미안이 테디에게 무기가 있었던 장소를 끝까지 말하지 않은 것은

다른 이들을 지키기 위한 행동으로만 보이지 않습니다

자신과 뜻을 같이 하던 댄이 죽고 난 후 회의를 느낀 것이겠죠.

댄이 죽는 장면은 절묘합니다. 무기를 찾으려는 쪽과 숨기려는 쪽이 분명 대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둘을 적으로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신을 죽으려는 적인데 둘은 서로의 이름을 부릅니다.

데미안은 총을 들이밀고 있는 적에게 댄이 총에 맞았다고, 말하죠.

댄이 다쳤다고 이제 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적에게 할 수 있는 부탁이 아닙니다

자신을 아는 이에게 인정으로 호소하는 것이지요

마치 크리스가 죽기 전 데미안의 이름을 불렀던 것처럼요.

하지만 자신을 적으로 여기고 있는 이들에게 그런 말이 먹혀 들어갈 리는 없지요.

데미안 자신이 크리스를 끝내 처형한 것처럼요.



어쩌면 데미안은 그 때서야 깨달았는지도 모릅니다

자신이 어떤 이상에 잠식당했다는 것을요

이상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회의가 들었을 지도 모릅니다

데미안은 댄이 죽고 나서야 앞서 말한 문장을 유서에 쓸 수 있게 됩니다

무엇인가에 대항해서 싸우기는 쉽지만, 무엇인가를 위해서 싸우기는 어렵다.

한 때 혁명투사였던 남자에게, 이제는 죽음을 목전에 둔 남자에게 듣는 이 고백은 

목표를 위해 싸우는 일의 어려움을 어렴풋이 보여줍니다.

거기에 더해 진정한 목표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기도 합니다.

 


+

 


그런데, 데미안의 부인으로 나오는 시니드에 대해 아시는 분 있나요?

배우 이름이 올라 피츠제럴드라는데 위대한 개츠비를 쓴 그 유명한 피츠제럴드와 혈연 관계 인가요

활동을 많이 한 배우가 아니라서 자료가 별로 없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085 이즈의 무희 [7] 가끔영화 2010.11.24 4693
1084 [듀인] 보건소에서 채용 신체검사 가능한가요? [10] 異人 2012.05.29 4689
1083 뒷북 - 이혼가정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0] soboo 2010.11.22 4684
1082 [19금] 그냥 [18] 1분에 14타 2011.05.18 4650
1081 신생아 육아만 중요한줄 아세요? ㅠ ㅠ [21] Apfel 2010.08.12 4633
1080 상반기 최고 베스트셀러 '덕혜옹주' 표절논란 [21] 사과식초 2010.09.27 4601
1079 냉장고 바지가 유행? [21] 데메킨 2014.07.27 4599
1078 유이가 왜 폼이 좋은지 아시나요 [8] 가끔영화 2011.07.28 4588
1077 박시탈 [7] 자본주의의돼지 2012.08.11 4573
1076 [YTN뉴스] 대통령 "단호히 대응하되 더이상 확전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 [63] 고인돌 2010.11.23 4563
1075 요즘 눈에 들어오는 처자 [17] 아.도.나이 2010.08.10 4492
1074 크윽 요즘 성스 완전 물이 올랐군요. [12] Paul. 2010.10.04 4483
1073 (축구 이야기) 대표팀 엿드세요. [32] chobo 2014.06.30 4452
1072 기분이 묘해지는 블로그 [10] catgotmy 2011.12.24 4449
1071 논란 많은 그 방법... [20] 아.도.나이 2010.07.14 4444
1070 일부러 느릿느릿하게 말하는 사람들이 싫어요. [12] poem II 2011.10.19 4436
1069 다이소 마실가기, 취미의 시작은 역시 지름부터! [6] 호롤롤롤 2012.06.29 4436
1068 로열패밀리 더 이상 보지 않기로 하면서 [9] chobo 2011.03.02 4419
1067 동양증권 부도설이 떠돕니다. [3] chobo 2013.09.23 4416
1066 [바낭] 연봉협상, 절반의 성공. [34] 떼인돈받아드림 2013.08.28 44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