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의 글에 이은 논란예상글입니다

 

 

 

 

저의 답변은 배급의 방식입니다

 

티비는 전파나 케이블 혹은 위성시설등 방식이 다양합니다

 

영화는 현재로선 "필름위주의 스크리닝 in 멀티플렉스"가 현실입니다 - 그게 수익성이 최고니까요

 

- 티비가 일년에 벌어 들일 시청료보다 영화 한편의 관람료가 대체로 더 비쌀겁니다

  광고수입이 그사이 커져서 티비사업이 이제는 더 큰 사업이 되긴 했으나 시간당 수익은 여전히 영화매체가 더 우위인 듯 합니다

 

  따라서 티비 프로그램 한-두편 보다 영화투자금액은 높아질 수가 있고 제작시간도 훨씬 더 길어질 수가 있겠죠

  그 전제가 되는 환경은 대량배급 - 와이드 릴리스라고 하던가요? - 입니다

 

분미 어쩌고 ,..란 영화의 배급방식을 잘 살펴보세요 , 처음 상영프린트는 한벌이었습니다 그게 깐느로 보내진거죠,................................

 

 

아직도 낡은 대학교의 영화학강의 시간 , 특히 미디어학과가 아닌 영화학과등에서야 바른 소리를 할 분위기가 아니겠지만

 - MBA코스에서 금융위기에 대한 바른 소리를 하지 못하듯

 

영화의 존재는 설령 필름에서 대형 20000인치 L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D 디스플레이로 바뀌더라도

 

별로 바뀔 게 없는 것이 그것이 컨텐츠의 배포방식, 즉 유료인 대중상영방식에 있는 듯 합니다 - 꼭 상영관이 어두울 필요도 없겠죠

 

 

 

- 컨텐츠는 거기에 맞춰 집니다,  아주 오래된 이론 :  맥루한의   '미디어는 메시지이다'    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렇듯 지배력이 90%쯤 되는 원인요소는 배제한 채 10% 영역만의 요소분석이나 감상으로  영화를 이해하려 하는 것은  너무 아마추어적이지 않을까요?

 

그렇다고 영화업이 생계인 - 헐리우드처럼 티비와 공생하는 것도 아니니까 - 분들의 이야기만 들어서는 전체적인 그림이 이해가 될 리도 없구요

 

  - 김지운같은 사람 이야기를 들어서 이해될 게 뭐 있겠습니까?  그저 고용감독일 뿐인데

 

 

안타까운 건 영화 '시'의 경우에는 사실 영화미디어에 최적화된 극히 드문 컨텐츠인데 어이없게도 와이드 리릴스하여 스스로 상업적 재난을 초래한다는거죠

 

 - 몇번 상영만 되고 버려진 그 거대한크기의 복제필름들은 어디에 사용해야 할까요?    -   아주 오래된 예전 어디 영화제를 가니 필름 2-4컷씩 잘라서 팔더군요

 

      - 그런 면에서는 필름재활용은 예전 60년대 모자장수들이 더 앞서갔습니다  모자라는 물자의 시대의 지혜인 셈이죠

 

 

 

 

 

 

 

......

 

 

, 아마도 평소 그리 중요하게 생각들 해보시지 않은 문제일겁니다,     :    순응의 시대이기 때문입니다   -   결국 남는 것은 투정밖에 없어 보이더군요

 

 

 

  최근 인터넷미디어를 통해 알기로

 

 어느 멍청한 이미지의 연예인 하나는 너무나 쉽게 번 돈 수십억을 병적인 도박으로도 날리고도 해외에서 투정버리더군요, 그렇게 길러졌기 때문이겠죠 

 

 

 제 생각에 그는 몇년전 황기순씨처럼도 재기하기 힘들듯 합니다  50대인 황씨의 경우야 지킬 가족이라도 있는 그런 세월의 세대였지만

 

 , 그는 정신적으로  아닌  세대이기 때문입니다, 기본적 죄책감조차 없는...... 

 

   - 까부는 유일한 재주로 벌어들인 돈의 소중함을 멍청한 그가 알 리가 없겠죠

 

 

   헛된 연예산업의 돈들이 그런 사람에게 지금도 줄줄 새고 있을 뿐입니다

 

   그걸 제도적으로 막지 않는 건 극보수파에겐 정치적으로도 유리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디어는 대체로 사람을 멍청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기에......

 

 

 이제 제 2의  SBS가 또 생긴다더군요

 

 그 기회로 몸값이 더 오를 다음번 연예인 멍청이는 수백억원을 도박으로 날릴 겁니다 줄줄 새는 불건전한 돈의 규모만 점점 더 커집니다   그런데 그걸 '문화'로 볼 수는 없겠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1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7
111512 [펌]세계최초 에이즈 환자 완치, 오늘의 구글 로고. [4] 말린해삼 2010.12.16 3911
111511 드라마 '시크릿가든'에 대한 궁금증 [6] darko 2010.11.14 3911
111510 생겨먹은 값도 못하는 나... [14] 셜록 2010.09.17 3911
111509 기도 세레머니로 말들이 많은 와중에 [9] 푸른새벽 2010.06.23 3911
111508 이번 코네티켓 주 총기난사 사건은 정말 미국에 충격적일 것 같습니다. [11] poem II 2012.12.15 3910
111507 으으.. 도와주세요. 아기 고양이 [15] Jade 2012.07.04 3910
111506 아카데미 수상결과가 유출되었다네요. [13] 쥬디 2012.02.26 3910
111505 2011 kbs 연예 대상 [63] 감동 2011.12.24 3910
111504 스티브잡스, 박완서 [10] 무비스타 2011.01.22 3910
111503 햄버거 비싼것 같아요. [21] 자두맛사탕 2010.11.15 3910
111502 배가 째지도록 웃긴 영화 추천해주세요! +대륙산 로봇 청소기 [9] 메잇 2010.06.22 3910
111501 나르샤, 7월 22일자 엠카운트다운 무대. 망사 의상 [6] mezq 2010.07.23 3910
111500 미생 드라마판은 msg가 많이 첨가됐군요. [6] 자본주의의돼지 2014.10.18 3909
111499 [생활법률상식] 근로자의 날은 왜 빨간날이 아닌가? [21] 떼인돈받아드림 2014.05.01 3909
111498 밀회 3,4회 보고 잡담 [18] 가라 2014.03.26 3909
111497 심각하게 웃기네요 아파트 한동에 군장성 28명이 함께 [4] 가끔영화 2013.03.16 3909
111496 명품미드제작 HBO사의 BOB, Pacific 두 미드를 보면서... [12] 무비스타 2012.11.09 3909
111495 싸이 강남스타일 저는 별로...싸이의 최고곡으로 무엇을 꼽으시나요? [18] dragmetothemoon 2012.08.15 3909
111494 라스폰트리에 작년 칸 나치발언 전문은 지금에야 읽었는데 뭔가 빵 터지는 구석도 있네요; [10] toast 2012.03.20 3909
111493 '아웃팅' [18] hybris 2012.01.21 390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