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민주노동당의 이정희 대표가 북한의 3대 세습에 대해 입장을 밝히라는 경향신문 논설에 대해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10081738301&code=910303


  간략히 요약하자면, 남북 평화의 문제가 더 중요하므로 3대 세습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진보의 길이라는 것입니다. 당연히 비판적인 반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진중권도 트위터에서 괴벨스 수준도

안 되는 논리라고 코멘트했고요.


  그런데 저는 진중권과 좀 생각이 다른 게요, 이정희의 발언 정도라면 그래도 아슬아슬하게 세이프 범주에 드는,

나름대로 논리로 내세울 있는 수준은 되지 않나 싶습니다. 


  민주노동당과 달리 진보신당 쪽에서는 발 빠르게 북한의 3대 세습 문제를 비판하고 있고, 또 이러한 비판을

거부하는 민주노동당에 대해서도 공격을 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정당이 북한 내부의 정치적 변동에 대해서 코멘트를 할 필요는 없다, 앞으로 진행될 외교적

처신을 위해서 그냥 침묵하는 편이 낫다"는 입장도 나름의 타당성은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북한의 3대 세습이

혐오스러운 작태인 것은 분명하지요. 그러니 그에 대해 비판을 가하는 것은 정의로운 일이 맞습니다. 허나 그런 명쾌한

태도가 북한의 혐오스러운 정치 변동을 개선시키는 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이건 

그냥 자신의 정의로움을 확인하고 드러내는 작업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국내용인 것이지요. 반면 그냥 침묵하는 것은 앞으로 

북한의 권력을 장악할 가장 유력한 인물과 대화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둘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교적으로 '실용적'인 태도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북한의 3대 세습이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근대 국가에서는 굉장히 보기 힘든 괴상한 정치적 시도이기 때문에

실패할 가능성도 높다고 봅니다. 만약 김정은이 세습에 실패해 몰락한다면, 새로운 북한의 권력집단은 한국에서 김정은의 세습

에 비판적이었던 집단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기 쉬울 것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북한 사회의 특수성으로 김정은의 3대 세습이 무사히

완료된다면, 그의 세습에 대놓고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던 남한 세력은 북한과 관계 맺기가 좀 껄끄러울테죠. 


  따라서 정말 실용적인 시각에서 접근한다면, 저는 김정은 체제로의 전환이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할 경우에 모두 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남한 내에 강하게 북한의 3대 세습을 비판하는 정당과 그냥 침묵하는 정당이 모두  존재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면 북한의

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북한과 소통할 수 있는 라인은 유지할 수가 있겠죠.


  물론 저는 성격상 아닌 건 아니라고 속시원하게 욕하는 쪽을 선호하므로, 북한의 3대 세습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겠습니다. 허나 남한 내 어떤

정치 집단이 남북 관계의 특수성과 북한 유력 세력과의 대화채널 유지를 위해 이 문제에 침묵하겠다는 입장을 취한다면, 뭐 그럴 수도 있다고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대신 그들의 몫까지 두 배로 북한 체제를 욕해 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북한만으로도 충분히 욕할 거리는 넘쳐나는데

굳이 욕하지 않겠다는 걸 욕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하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뱀발 : 위의 글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민주노동당 내 종북세력들 문제가 있는데요, 물론 종북세력들은 북한의 세습문제에 침묵하는 걸

선호하겠죠. 민주노동당의 공식입장이 당을 장악한 종북 세력들의 입김이 반영된 것이라는 짐작도 충분히 할 수 있겠고요. 그러나 그것과 무관하게

철저히 보수적이고 실용적인 입장에서 접근하더라도 북한 세습문제에 대한 '침묵'이라는 선택은 나름의 논리 구조와 타당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게 제 판단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9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01
111308 개 이야기 나와서 [9] 푸른새벽 2010.12.16 2740
111307 20'00'년대 TV아니메 Top 13 [스왑주의] [29] catgotmy 2010.12.16 2984
111306 [듀9] 컴퓨터 스펙 비교.. [10] 그러므로 2010.12.16 1933
111305 jyj 미국케이블방송 쇼케이스 [3] 에어 2010.12.16 2400
111304 Santana 내한공연 소식 [5] amenic 2010.12.16 1769
111303 다시 돌아온 단추와 짜장 (야옹이 사진) [16] 단추 2010.12.16 2954
111302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봤어요.(약 스포) [5] 자본주의의돼지 2010.12.16 2286
111301 인간과 반려동물의 평등? [8] troispoint 2010.12.16 2812
111300 구글 크롬 쓰시는 분들 탭 많이 열어 기부하세요. Chrome for a Cause [4] gourmet 2010.12.16 1657
111299 U2 360° 백 스테이지 돌아보기 [2] 양자고양이 2010.12.16 1262
111298 언제일까요 [3] 가끔영화 2010.12.16 1793
111297 무슨 국을 끓여야 할까요? [26] 새나리 2010.12.16 3138
111296 장 롤랑 선생이 세상을 떴습니다. - Jean Rollin (1938 - 2010) [3] DJUNA 2010.12.16 1736
111295 [기사] 패션 사업에서 손 뗀 이혜영, 지분 10억원 기부. [3] 고인돌 2010.12.16 3153
111294 [듀9] 현대미술 관련 잡지 추천 부탁드려요 [3] 절망속아름다움 2010.12.16 1960
111293 고양이 관련 질문+여자 노트북 백팩 추천 [10] 기본 2010.12.16 3029
111292 오늘 어떤 다큐멘터리에서 본 놀라운 사랑 [6] Wolverine 2010.12.16 2495
111291 Hello,my friend - 마츠토야 유미 1994 [2] bialy 2010.12.16 1948
111290 국수처럼 탄력 받고 있는 즐거운 나의 집 14회 달려봅시다!!! [23] 비밀의 청춘 2010.12.16 1743
111289 칸트 철학 잘 아시는 분 도움좀~ ㅜㅡ [1] Goodieyoung 2010.12.16 150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