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것과 이해하는 것

2023.08.30 10:06

Sonny 조회 수:687

예전에 친구와 서태지 이야기를 하다가 다툰 적이 있습니다. (친구와의 갈등 이야기만 계속 하는 것 같군요 ㅋㅋ 저는 인간관계를 소중히 합니다) 저는 나름 서태지를 좋아하는데, 그 친구는 서태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서태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그 친구가 서태지가 북공고 짱이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너무 황당해서 그건 말도 안되는 소리다, 서태지를 조금이라도 알면 그 사람이 얼마나 그런 육체적인 다툼을 싫어하고 지배하는 거에 관심이 없는지 알 거다 라고 하면서 서태지가 데뷔초에 자기 일기 형식으로 칼럼을 썼던 것까지 말했는데 안믿더군요. 서태지 몸뚱아리만 봐도 이 사람이 짱이 될 수 없는 조건이라는 건 너무나 명확하지 않습니까? 그 친구의 논리가 저를 더 얼빠지게 했는데, 너는 서태지 친구나 지인이 아니고 우리 모두 그에 대해 정확한 사실은 모르니 자기 말이 맞을 수도 있다는 슈뢰딩거의 서태지 같은 논리였습니다. 이 탈진실 post-truth 스러운 소리에 정을 떼버렸죠. 앞으로도 이 친구는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이런 고집을 부리겠구나...


그 때 대화를 하면서 느꼈던 건 어떤 것을 이해하는데는 애정이나 호감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이게 조금 편향된 단어라면, 호의가 섞인 호기심이라고 해야할까요. 뭔가를 알고 싶어하는 그 욕구 자체가 이미 무언가에 대한 강한 지적탐구심을 일으킵니다. 흔히들 차갑고 객관적인 진실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상에 대해 냉정하고 감정이 섞이지 않은 상태에서의 성실한 관측이 제일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만... 애정없이는 도달하기 힘든 어떤 깊이가 있습니다. 그 안까지 깊숙히 파고들어갔을 때만 보이는 진실 같은 게 있죠. 그 진실은 때로 직관적으로 머릿속을 스치고 지나갑니다. 


그런 점에서 어떤 작품을 비평적으로 다가간다는 건 그 작품이 됐든 그 장르가 됐든 어떤 애착을 가지고 접근을 하는 것이 첫번째인 것 같습니다. 안좋아하는데 뭔가를 어떻게 깊이 파고 들어가고 디테일들에 매달릴 수 있겠습니까. 모든 탐구는 한편으로는 '덕질'의 최종단계이기도 하지 않을까요. 왜 이 부분이 이렇게 이뤄져있을까, 왜 이 부분은 이렇게 강렬한 감흥을 일으키는 것일까... 이렇게 그 탐구심들을 쓰고 보니 한편으로는 그 호기심과 지적 열망이 자신의 결여된 무엇이기도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아하는 것을 찾아다니고 좋아할 수 있게 된 무엇이 일으키는 그 감정적 화학작용의 원리를 기어이 분석하려는 걸 생각해보면 좋아하지 않는 채로 이해하는 것은 얼마나 진실을 많이 흘려보내는 일인지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43
124316 [티빙바낭] 간만에 아주 짧은 영화!!! '언씬'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9.24 305
124315 디플에 꽤 재밌는 신작영화가 올라왔네요. [15] LadyBird 2023.09.24 921
124314 로키 시즌 2 티저 예고편(10월 6일 공개) 상수 2023.09.23 158
124313 잡담 - 당근마켓에서 당근, 로켓배송보다 더 빠른 배송, 어른의 태도 - 중년의 태도, (추가) 남이 틀린만큼 나도 틀렸다는 걸 알았을때 [5] 상수 2023.09.23 304
124312 가렛 애드워즈의 오리지널SF 블록버스터 크리에이터를 보고(스포 좀 있음) [2] 상수 2023.09.23 263
124311 오늘 알게된 힘빠질 때 들으면 힘나는 신인걸그룹 노래 하이키(H1-KEY) - 불빛을 꺼뜨리지마 상수 2023.09.23 119
124310 디플 - 무빙 다 봤어요. 노스포 [3] theforce 2023.09.23 485
124309 프레임드 #561 [4] Lunagazer 2023.09.23 103
124308 전자책 단말기 크레마 모티프 샀습니다 [7] 2023.09.23 407
124307 [더쿠펌] 돌판 문화를 스포츠판에 가져와서 빡쳐버린 스포츠 팬들 daviddain 2023.09.23 369
124306 유행어의 어원 - "상남자"의 사례 [15] Sonny 2023.09.23 528
124305 디즈니플러스 [12] thoma 2023.09.23 436
124304 [티빙바낭] (더) 옛날 옛적 할리우드는... '바빌론' 잡담입니다 [9] 로이배티 2023.09.22 361
124303 송과체 독서 꿈 catgotmy 2023.09.22 103
124302 바낭 - 하루에 한 두번씩, 현재와 미래의 죽음을 생각한다 상수 2023.09.22 140
124301 프레임드 #560 [2] Lunagazer 2023.09.22 65
124300 일본인 케이팝 아이돌 XG를 보며 - 케이팝이란 무엇인가? [4] Sonny 2023.09.22 453
124299 시대극에서 언어 고증을 놓쳤을때('국가부도의 날'을 보고) [27] 하마사탕 2023.09.22 685
124298 고윤정이 로코 영화 찍으면 좋겠네요 catgotmy 2023.09.21 280
124297 [왓챠바낭]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고령가 소년 살인 사건' 잡담입니다 [17] 로이배티 2023.09.21 5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