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황금의 여인들

2018.02.18 17:17

Bigcat 조회 수:1931

1024px-Meissen-Porcelain-Table.JPG

독일 드레스덴의 마이센 도자기 박물관에 전시된 양파꽃 문양의 테이블 식기 세트








유럽 도자기의 시작이 동아시아의 백자에서부터 유래했다는 것 아십니까? 그것도 청화백자에서 말입니다. 오늘날 화려하고 세련된 유럽의 도자기들을 보다 보면 이들의 기원이 동아시아에서 시작됐다는 것이 믿기어지지 않을 만큼 낯설어 보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유럽 도자기가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모습을 갖고 있다는 얘기도 되겠지요. 다만 한 가지 이색적인 것은, 전통적으로 도자 문화가 발달한 동아시아의 미술문화에서는 도자기의 역사가 당당한 한 축을 차지하고 있습니다만, 서양의 미술문화에서는 전혀 사정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놀랍게도, 서양의 미술문화에서는 공예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낮습니다. 동아시아 미술사에서 회화, 조각, 건축, 공예 이렇게 네 분야의 장르가 있다면, 그리고 분명히 도자사가 중심이 되는 공예사가 미술의 주요 장르로서 당당히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생각해 본다면, 서양의 미술사에서 공예장르는 아예 실종된 상황이나 다름이 없다는 사실만 살펴봐도 뭔가 이색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마도 서구인들은 실제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그릇 음식과 음료를 담아 마시는 물건 에 까지 예술적 의미 부여를 할 필요까지는 못 느꼈던 듯합니다. 그들에게 있어서 그릇이란, 실용적인 물건일 뿐 인간의 정신세계를 담아내는 어떤 미학의 주형으로까지는 인식되지는 못하고 있었던 것이죠. 아마도 이러한 태도가 서양미술사에서 공예장르의 실종을 가져온 것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봅니다. 사실 이 뿐만이 아닌 것이, 17세기부터 유럽에 설립되기 시작한 미술아카데미만 해도 교육 과정에는 회화, 조각, 건축만 있을 뿐 공예 과정이 없었습니다. 공예 분야는 별도로 장식미술학교를 설립하여 기술교육을 하고 있었을 뿐이죠. 서양인들에게 있어서 이른바 도자 공예란, 예술이라기보다는 기술의 한 측면으로만 이해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Teller_Zwiebelmuster.jpg

양파꽃 문양의 마이센 접시(기본형)







그렇다면 이들 서양인들은 언제부터 도자기(그릇과 타일)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던 것일까요? 특히 중국 도자기(백자)에 말입니다. 사실 고대 그리스 때부터 도자기를 사용하긴 했기 때문에 서양인들에게도 도자기의 존재가 그리 낯선 것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고대 이후 중세부터 서양인들은 평범한 질그릇의 사용과 함께 신분이 높은 사람들은 주로 금이나 은으로 된 그릇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니까 지금 이 글의 주제가 되는 도자기 열풍은 르네상스를 지나고서도 한참 이후에 일어난 것이었던 겁니다.

 


 

도자기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뉩니다. 토기와 도기 그리고 자기이지요. 이 세 단계의 분류는 소성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가볍고 단단한 정도에 따라 이와 같이 분류합니다. 가장 무겁고 두꺼운 두께의 토기와 그 중간 단계인 도기 그리고 가장 가볍고 단단한 자기. 특히 이 자기는 바로 도자의 완성된 단계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가벼우면 잘 깨지고 그래서 두껍다면 단단하겠지만 무거운. 이같은 당연한 물리법칙을 거스르는 가볍고 단단한경질 도자 백자는 바로 그렇기 때문에 도자문화의 완성품으로 불립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가장 흔한 도자기가 바로 이 도자의 가장 완성된 단계인 백자인 것입니다. 그리고 유럽 특히 독일의 작센에서 처음으로 이 백자를 스스로 만들어 내면서(1710) 오늘날 유럽 백자의 기원인 쯔벨무스터( zwiebelmuster양파꽃 문양)’의 전설이 시작되기도 하는 것이죠. 독일인을 비롯한 서양인들은 지난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 내내 백자 만드는 기술을 알기 위해 엄청난 사투를 벌였습니다. 이는 당시 최고의 백자 만드는 기술을 가졌던 중국의 청조가 백자 기술의 유출을 엄금한 탓도 있지만 서양의 상류층 전반에서 불었던 중국식 백자에 대한 열정도 있었던 것입니다. 현재 우리들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이들 도자기들이 아마도 처음부터 그렇게 당연한 것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면, 문득 드는 생각은, 그렇다면 대체 언제부터 서양인들은 도자기에 그러니까 중국의 백자와 일본의 백자까지 - 이렇게 열광하게 되었을까요?









1024px-Blue_Onion_Pattern.jpg

여러가지 모양의 마이센 접시들(1900 년경 다른 독일 제조업체가 생산한 파란 양파꽃 문양의 테이블 도자기 세트)







서양인들에게도 물론 그들 나름대로의 토기와 도기 문화는 있었습니다. 일상생활의 물그릇부터 우유단지와 올리브 단지에 이르기까지 일찍부터 다양한 토기와 도기를 사용해 왔죠. 그런 그들에게 마침내 도자기, 그것도 백자 세트가 일률적으로 필요한 문화의 단계에 들어왔던 것은 18세기에 들어서였습니다. 18세기는 유럽 문화사에 있어서 로코코시대라고 불리는 아주 독특한 시기였습니다. 이전의 르네상스나 바로크적인 이상주의, 혹은 웅장한 미술 사조는 아니었지만 로코코의 시대는 특히 장식미술이 발달했던 시기로 문화 전반에 걸쳐 우아함과 사치스러움이 절정에 달했었고, 그런 분위기 때문인지 여성의 시대라는 별명이 붙기도 하는 시절이기도 합니다. 여성의 시대라는 표현에는 비단 로코코라는 미술 양식 자체가 웅장하고 남성적인 바로크에 비해 섬세하고 부드러운 여성적 분위기가 있다는 뜻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그래도 이런 뜻으로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만) 왜냐하면 로코코 시대 자체가 문화적으로는 여성들의 영향이 실제적으로 커지는 시대였던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절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각국에는 살롱 문화라는 것이 크게 유행했는데, 살롱이란, 이 당시의 귀족이나 부르주아 계층 같은 상류 사회의 사람들이 일정 기간을 두고 모임을 가지면서 다과를 즐기며 철학과 사상을 논하는 모임 문화를 말합니다. 일종의 상류층 사교 문화인데, 이 시절에는 상류 계층의 사람들 중 주로 귀부인들이 중심이 되어 모임을 형성했고 이 귀부인들이 자신의 저택에 모임 사람들을 초대하여 책읽기 모임을 하거나 실내악 연주를 듣거나 하면서 학문과 사상을 논하는, 예술과 철학을 탐구하는 지성의 장소가 되었던 것입니다. 특히 이런 지적인 모임의 자리는 여성들에게 뜻밖의 기회를 제공했는데, 바로 지속적인 독서와 함께 다른 이들과의 토론의 기회가 주어지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모임을 위해 책을 계속 읽을 기회가 주어진 귀부인들과 부르주아 여성들은 단순히 모임의 중재자 역할만 한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모임 주도자가 되어 갔습니다. 책읽기를 통해 단련한 논리와 언변으로 남성들과 토론 중 상대 남성을 지력으로 제압하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실질적인 모임을 이끄는 주역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들 중에는 스스로 책을 쓰는 작가가 되기도 하는 등 살롱 자체가 모임을 주도하는 여성들에게 명사로서 성장할 기회를 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실로 여성의 시대라는 말이 나올법한 분위기가 조성된 측면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분위기에서 무엇보다도 모임 장소가 되는 살롱이 이들 여성들의 저택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모임을 준비하는 귀부인들로서는 손님을 대접할 식기 세트에 무엇보다도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유럽인들 앞에 제일 먼저 눈에 띈 것은 중국 청의 도자기였습니다.

 


 








Ming plate 15th century Jingdezhen kilns Jiangxi

15세기 경 명나라 청화백자(작가 미상, 1403~1424, 지름 41cm 높이 7cm, 대영박물관 소장






시누아즈리(chinoiserie), 중국풍이라는 프랑스 어로, 이 당시 불던 중국식 유행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살롱 문화의 발달과 함께 유럽에서 도자기 세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당시 동아시아에서 최고 수준의 도자기를 생산하던 중국의 도자기가 순식간에 이들 서양 상류층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사실 그동안 유럽인들에게 도기란 올리브 오일을 담는 투박한 항아리나 우유를 담는 질박한 단지에 다름 아닌 것이었습니다만 이제는 저 멀리 바다 건너 중국의 하얀 도자기들이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그 전까지는 유럽 상류층의 고급 식기란 금그릇과 은그릇이 도맡아왔지만 이제는 그 몫이 중국산 도자기 청화백자가 도맡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런 살롱 문화의 발달과 함께 지난 시절 신대륙의 발견과 함께 동방항로의 개척으로 유럽 땅에는 낯선 지역의 기호 식품들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작물들인 차, 커피, 설탕 그리고 카카오였지요.(카카오는 정제에 따라 코코아와 초콜렛으로 나뉩니다.) 문제는 서양 사람들이 이러한 기호 식품에 엄청난 열광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이었고, 그런데 딱하게도 이런 작물들은 유럽 땅에서는 결코 재배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죠.(그렇기 때문에 서양 열강들의 식민지 개척 작업이 이 시기부터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더 탄력을 받기 시작합니다.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두 대륙은 실로 커피와 설탕 때문에 절단이 났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올 정도) 이 시기, 18세기 살롱 문화의 발달과 함께 도입되기 시작한 차와 커피같은 기호 식품의 발달은 손님을 접대하고 함께 근사한 간식거리를 찾고 있던 살롱의 주인들에게는 더 할 수 없는 최상의 기호식품이 되었고, 이들을 담을 그릇 세트들은 더할 나위없는 매혹적인 아이템들이 되었지요.





Meissen 하드 도자기 꽃병 1735

마이센의 경질백자 화병, 1735년 작, 파리 장식미술박물관 소장



문제는 당시에 이들 서양인들의 그릇 만드는 기술이 경질의 가볍고 단단한 백자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 못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자기 만드는 기술 수준은 아직은 투박한 단지나 질그릇 정도였기 때문에 저 멀리 바다 건너 들어온 중국()의 백자 청화백자 - 와는 전혀 비교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었던 것입니다. 한마디로 청화백자는 명품이었고 유럽인들의 그릇들은 단순한 일상 용품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지요.(물론 금그릇이나 은그릇 같은 충분히 고급스런 식기 세트들이 있었지만 이는 살롱의 손님 접대에 걸맞는 차나 커피를 담을 식기로서는 그닥 어울리지 않았다는 얘깁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주 오랫동안 최상의 도자기를 만들어왔던 중국 도자기들이 유럽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건 무리가 아니었습니다. 특히 그 가볍고 단단함 그리고 순백의 하얀색에 은은한 푸른색의 꽃과 식물 문양은 단순하고 소박한 아름다움으로 오랫동안 질리지 않는 매력을 선사했는데, 이 시기 서양인들의 요란하고 장식적인 로코코와도 썩 잘 어울리며 숱한 도자기 애호가들이 생겨났지요. 이 때문에 유럽의 왕공귀족들을 비롯한 부르주아의 상류층 문화에서는 중국풍의 일대 유행이 생겨납니다. 웬만큼 산다는 집들은 중국 도자기 세트를 한 벌씩 갖추는 것이 유행이 되었고, 왕공귀족들은 결혼이나 생일같은 경조사 혹은 국가간의 국혼이나 국빈 방문시 중국의 도자기를 선물하는 것이 하나의 관례가 될 정도로 크게 유행했습니다.

 

이런 분위기하에서 도자기는 돈이 된다는 생각을 누구나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특히 백자의 하얀색을 가리켜 하얀 황금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죠. 이런 상황이니 너도 나도 나서서 백자를 만들고자 하는 나라들이 있었던 것은 당연했죠. 그러나 문제는 가볍고 단단한 경질의 백자를 만든다는 것은 보통의 기술로는 되는 일이 아니었고, 그 기술을 선점하고 있는 중국 청 정부는 도자기 기술을 독점하기 위해 기술 유출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하고 있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사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곳까지 가서 도자기 만드는 기술을 배워 온다는 것도 상상만 해도 엄청난 일이긴 합니다만. 게다가 도자기라는 것은 단순히 기술의 문제만이 아닌, 백자를 만들 수 있는 흙의 산지를 찾는 것도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마침내 유럽 국가들 중의 하나가 백자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합니다.

바로 작센 공국의 마이센에 있는 공방에서였죠.(1710) 요한 뵈트거(1682 ~ 1719)라는 전직 연금술사가 각고의 노력 끝에 마침내 경질의 백색 도기를 만들어냈는데(1708) 이후 수 차례 실험을 거듭하여 마침내 시장에 판매가 가능한 중국 도자기 수준의 경질 백자를 만들어내기 시작합니다. 이후 마이센에 도자기 공장을 설립하여 본격적인 백자 제작에 착수하죠.(1710) 이것이 바로 유럽 최초의 백자 생산 그리고 독일 도자기 마이센의 시작이었습니다.

 

당시 사람들이 중국의 백자를 하얀 황금으로 불렀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이는 정말 재밌는 우연의 일치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들은 백자가 워낙 고가의 상품이었기 때문에, 그리고 그런 고가의 명품들을 유럽의 좀 산다는 사람들이 돈을 아끼지 않고 사들였기 때문에 그런 별명을 붙인 것이긴 합니다만, 실제로 유럽에서 최초로 자력 생산한 마이센 백자의 창조주가 실은 연금술사출신이니 말입니다.








Salon_de_Madame_Geoffrin.jpg

 마담 지오핀의 살롱에서 볼테르의 작품 읽기, 샤를 가브리엘 르모니에, 1812년 작, 캔버스에 유채, 프랑스 말메종 성 소장









1024px-Cheverny19.jpg

Château de Cheverny, Loir-et-Cher, France - grand salon






1024px-Montresor04.jpg

 Petit salon du château de Montrésor dans le département d'Indre-et-Loire en France.





살롱의 귀부인들, 미하일 문 카치, 1878년, 패널에 유채, 88.9cm☓116.8cm,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1024px-Munk%C3%A1csy_A_zeneszoba.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527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381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2320
123323 [게임바낭] 플랫포머 게임 둘 엔딩 봤습니다. '플래닛 오브 라나', '서머빌' [1] 로이배티 2023.05.30 232
123322 Peter Simonischek 1946-2023 R.I.P. [1] 조성용 2023.05.30 153
123321 오늘 마지막 글: 윤석열은 죽을때까지 간호 못받았으면 좋겠네요 [2] 예상수 2023.05.30 548
123320 프레임드 #445 [4] Lunagazer 2023.05.30 105
123319 우주는 어떻게 끝나는가 [3] catgotmy 2023.05.30 267
123318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05.30 513
123317 크리에이터, 거미집, 킬러 오브 더 플라워문, 미션 임파서블: 데드레코닝 파트1 새 예고편 예상수 2023.05.30 239
123316 점심시간을 빌려, 한달만에 잠깐 쓰고 갑니다:비뚤어진 어른들 [4] 예상수 2023.05.30 465
123315 ‘다음 소희’ 없도록…경기도의회, 현장실습생 안전보장조례 입법예고 [1] 왜냐하면 2023.05.30 183
123314 버호벤의 <캐티 티펠>/안데르센/<늑대의 혈족> daviddain 2023.05.30 178
123313 [웨이브바낭] 세상의 모든 영화 감독 지망생들에게 바칩니다 '달은... 해가 꾸는 꿈' [18] 로이배티 2023.05.29 626
123312 Yesterday, Ditto, I am, DibloVI,지브리스튜디오 애니 그리고 수영 [4] soboo 2023.05.29 282
123311 '큐어' 짧은 잡담 [11] thoma 2023.05.29 429
123310 외로우니까 좋네요 [6] catgotmy 2023.05.29 411
123309 누구일까요? [5] 왜냐하면 2023.05.29 208
123308 뻔뻔한 유베/레비/컨퍼런스 리그 [2] daviddain 2023.05.29 135
123307 프레임드 #444 [4] Lunagazer 2023.05.29 83
123306 가장 기억에 남는 죽음씬은 무엇인가요? [12] 말러 2023.05.29 528
123305 인어공주 박스오피스 [4] theforce 2023.05.29 554
123304 인어공주... [5] 메피스토 2023.05.29 731
XE Login